세계사 속의 한국근현대사:박찬승 외
[소감] 우리 역사 전체를 개설서로 읽어본 건 입시공부하던 1970년 그리고 제대 후 취업 공부하면서 읽은 한국사 신론-당시 서강대 이기백 교수 저-이 전부다. 이후론 많은 분야 중에 역사 관련 책 읽기를 가장 좋아하면서도 개설서 쪽은 일부러 멀리해 왔다. 전문학자들이 전문 분야를 교양 수준으로 깊이 있게 써 놓은 책을 선호했다. 그럼에도 이 책을 읽어보려고 한 이유는 우리 근현대사 특히 근대사를 나름대로 정리하고 싶은 생각 때문이었다.
한 나라의 역사도 다른 나라의 역사 흐름과 무관할 수가 없다. 특히 이웃한 나라가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면 말할 나위도 없다. 우리나라의 경우 중국과 일본이 이에 해당할 것이다. 그런데 큰 흐름으로 본다면 유럽 여러 나라, 미국의 의 영향이 직, 간접적으로 미쳤음을 알 수 있다. 이들 나라는 서로 경쟁하는 사이 커진 국력을 이용하여 아프리카, 남미, 아시아 등 다른 지역에 거의 절대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를 발 빠르게 받아들인 일본은 근대화에 성공하여 부강해졌고 이 국력을 이웃나라들을 침탈하는데 이용했다. 식민통치를 하는 유럽 여러 나라, 미국을 본떠서. 결과, 우리나라, 대만을 식민지로 중국, 동남아, 태평양 지역을 전장으로 만들었다.
일본은 비록 미국에 패해 한반도에서 물러갔지만 그 후유증(영향력)은 계속 중이다. 해방 후 남북 분단, 전쟁, 거의 30여 년 간 지속된 군사독재와 이에 따른 경제 발전을 시작으로 최빈국에서 선진국이 되고 민주화도 이뤄냈지만 독자적인 힘만으로 이뤄낸 것이 아닌 거다.
이 책은 이런 우리 역사를 요약식으로 보여준다. 특히 각 장마다 세계사의 흐름을 보여주는 게 특징이랄 수 있겠다. 사실 머릿속에 대충 들어있는 세계사의 흐름을 전문학자들은 어떤 식으로 표현했을까가 가장 궁금했다. 당연히 주목해서 읽은 부분은 해방되기 전까지 일본에게 핍박당한 시기의 내용이다. 우리나라 근현대 역사의 흐름을 세계사 속에서 어떠했는가를 알고자 한다면 꼭 일독할 만한 양서로 추천하고 싶다.
* 책 내용에 대한 상세 해설은 아래 책소개-출처:인터넷 교보문고-를 참고 바랍니다.
책소개
한국근현대사는 개항 이후 냉전시대까지 세계사에 의해 사실상 규정되어 왔다고 말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것은 조선-대한제국-남북한으로 이어지는 국가들이 약소국으로 강대국의 힘을 이길 수 없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한국사는 세계사에 의해 일방적으로 규정 당해온 것만은 아니었다. 한국인들의 저항은 특히 거세어서 3·1운동과 같은 경우는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졌고, 다른 약소민족들의 저항운동에 영향을 미치기도 했다. 해방 이후 외세의 영향력을 물리치면서 정치 외교적으로 민주적인 국가, 자율적인 국가, 경제적으로 자립적인 국가를 만들기 위해 치열하게 노력한 결과 한국인들은 한국을 경제발전과 민주화에 어느 정도 성공한 나라로 만들었다.
저자
한양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국회기록보존소 기록연구사, 강릉원주대학교 부교수 등을 역임했다. 현재 한양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근대 한국의 법과 재판에 관한 연구를 하고 있다. 주요 논저로는 『조선총독부 법제 정책』(2008), 『조선통독부 공문서』(공저, 2010), 『기록의 역사-한국의 국가기록관리와 아카이브즈』(2011), 『근대 한국의 법, 재판 그리고 정의』(2021), 『국역 한국 근대민사판결문』(공저, 2021) 등이 있다.
저자
서원대학교 역사교육과 교수다. 주요 저서로 「데탕트와 남북관계」 「남북을 잇는 현대사 산책」 등이 있다.
저자
한양대학교 비교역사문화연구소 연구교수다. 주요 논저로 「갑오개혁·대한제국기 지방제도 개편과 지방자치 논의」, 「전통적 華夷論의 변천과 崔濟愚의 文明觀」 「일본 외유기(1901~1905) 孫秉熙의 ‘文明’ 개념과 文明論」 등이 있다.
저자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선임연구원. 한양대학교 사학과 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저서로 《한미관계 20년사》(공역), 《4 · 19와 남북관계》(공저), 《한국 근현대사를 읽는다》(공저), 《역사학의 시선으로 읽는 한국전쟁》(공저), 《한국전쟁기 남·북한의 점령정책》(공저), 《전쟁과 휴전-휴전회담 기록으로 읽는 한국전쟁》 등이 있다.
저자
목차
서문
프롤로그 한국사 속에 세계사가 있고, 세계사 속에 한국사가 있다
1부 제국주의 세력의 침략과 근대한국의 개혁
제1장 동아시아 국제질서의 변동과 개항
세계사의 흐름 : 16세기 이후 서구의 해외팽창과 동아시아 진출
1. 전통시대 동아시아 국제질서와 해금 정책
2. 서구 열강의 동아시아 침략과 천하질서의 동요
3. 흥선대원군의 집권과 대내외 정책
4. 조일수호조규 체결과 서양 각국과의 수교
제2장 개화파와 갑신정변
세계사의 흐름 : 19세기 국민국가로의 세계사적 전환
1. 개화파의 형성
2. 초기 개화정책의 추진과 신사척사운동
3. 임오군란
4. 갑신정변
제3장 동학농민전쟁
세계사의 흐름 : 제국주의 침략과 아래로부터의 대응
1. 19세기 사회경제적 변화와 농민항쟁
2. 동학의 창도와 확산
3. 교조신원운동과 척왜양운동
4. 제1차 봉기와 집강소
5. 제2차 봉기와 농민군의 패배
6. 동학농민전쟁의 주체와 지향
제4장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세계사의 흐름 : 유럽의 팽창과 삼국간섭
1. 청일전쟁
2. 갑오개혁
제5장 대한제국과 독립협회
세계사의 흐름 : 식민지 쟁탈경쟁과 중국의 반식민지화
1. 대한제국의 수립
2. 독립협회 운동
3. 황제권 강화와 황실 중심의 근대화정책
제6장 러일전쟁과 일본의 한국 병합
세계사의 흐름 : 제국주의 세력의 만주와 한반도 침략 경쟁
1. 러일전쟁과 일본군의 한반도 주둔
2. 일본의 한국 보호국화와 열강의 지원
3. 통감부 설치와 내외정의 장악
4. 일본의 병합조약 강요
제7장 국권회복운동에서 입헌정체 신국가 건설운동으로
세계사의 흐름 : 사회진화론과 입헌정체론의 동아시아 확산
1. 자강 운동
2. 항일 의병전쟁
3. 근대 한국민족주의의 등장
4. 입헌정체 신국가 건설운동
2부 일본제국주의의 지배와 민족해방운동
제8장 1910~20년대 일제의 식민지배정책
세계사의 흐름 : 식민정책의 두 논리, 동화와 차별
1. 1910년대 식민지배 체제의 정비와 무단통치
2. 1920년대 문화통치로의 전환과 친일세력 육성정책
3. 조선총독부의 경제정책
4. 일제의 사회·문화 정책
제9장 1930년대 이후 일제의 침략전쟁과 인력・물자수탈
세계사의 흐름 : 대공황과 파시즘의 유행
1. 일본의 침략전쟁과 총동원체제의 구축
2. 황민화정책
3. 물자와 인력의 수탈
제10장 3・1운동과 대한민국임시정부
세계사의 흐름 : 제1차 세계대전의 종전과 파리강화회의의 민족자결주의
1. 1910년대 국내외 민족운동
2. 3·1운동의 전개와 의의
3.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과 활동
제11장 1920년대 국내와 만주지역의 민족해방운동
세계사의 흐름 : 워싱턴체제와 일본의 팽창정책
1. 국내 민족주의운동
2. 의열단과 의열투쟁
3. 사회주의운동과 조선공산당
4. 민족협동전선 신간회
5. 만주지역의 무장투쟁
제12장 1930년대 이후 국내와 만주, 중국 관내의 민족통일전선운동
세계사의 흐름 : 세계대공황과 ‘만주사변’, 중일전쟁, 제2차 세계대전
1. 조선공산당 재건운동과 국내 민족해방운동
2. 만주 항일무장투쟁
3. 중국 관내 통일전선운동
제13장 사회운동의 성장
세계사의 흐름 : 전세계 사회운동의 전개
1. 노동운동
2. 농민운동
3. 청년·학생운동
4. 여성운동
5. 형평운동
제14장 식민지의 일상과 재난
세계사의 흐름 : 대량생산과 대량소비의 등장
1. 식민지의 사람들
2. 달라진 도시와 도시의 삶
3. 신여성의 출현과 가정생활의 변화
4. 반복되는 홍수와 가뭄
5. 전염병의 유행
3부 냉전기와 탈냉전기의 남북한
제15장 해방과 분단
세계사의 흐름 : 세계적 냉전 형성과 한반도의 분단
1. 8·15해방과 38선 획정
2. 모스크바삼상회의 결정과 미소공동위원회
3. 분단정부의 수립
4. 이승만 정권 초기
제16장 한국전쟁
세계사의 흐름 : 유엔 창설과 유엔군의 한국전쟁 참전
1. 전쟁의 원인과 배경
2. 전쟁의 군사적 전개과정과 점령지 통치
3. 끝나지 않은 전쟁 : 휴전협상과 정전협정 체결
4. 전쟁의 성격 및 결과와 영향
제17장 이승만 정권과 4·19혁명
세계사의 흐름 : 고착되는 냉전질서
1. 이승만 정권의 장기집권 시도
2. 이승만 정권기의 경제
3. 4·19혁명과 민주당 정권
제18장 박정희 정권기의 경제성장과 저항운동
세계사의 흐름 : 냉전의 균열, 저항의 씨앗
1. 5·16군사쿠데타와 박정희 정권의 탄생
2. 베트남전쟁 파병과 한일회담
3. 유신 체제와 중화학공업화
4. 대중문화의 성장과 저항운동의 대두
제19장 1980년대 한국 사회와 민주화
세계사의 흐름 : 신냉전의 형성과 동아시아 반공연대
1. 한미관계와 남북관계
2. 신군부 쿠데타와 ‘서울의 봄’
3. 5·18민주화운동의 전개와 의의
4. 전두환 정권과 6월 민주항쟁
5. 1980년대의 경제와 사회 변화
제20장 탈냉전기 한국사회의 변화
세계사의 흐름 : 탈냉전, 세계화, G2, IT혁명의 시대
1. 제6공화국 시대의 정치와 사회 변동
2. 세계화, 금융위기 및 대중소비사회
3. 탈냉전과 남북관계의 진퇴
제21장 북한사 Ⅰ : 냉전기의 북한
세계사의 흐름 : 국제 사회주의 진영의 형성과 분화
1. 해방과 북한 정부 수립
2. 한국전쟁과 사회주의체제 성립
3. 유일사상체계 확립
4. 냉전기 북한의 사회와 문화
제22장 북한사 Ⅱ : 탈냉전기의 북한
세계사의 흐름 : 냉전 질서의 해체와 미·중 갈등의 심화
1. 탈냉전과 후계체제의 시작
2. 김정일 시대
3. 김정은 시대: ‘정상국가’로의 길
4. 북한 핵 및 인권 문제의 원인과 전개
에필로그
찾아보기
편저자 및 공동저자 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