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사(歷史) 마당 ♣/[아세아] 23

[인도] 벵골 대기근(1943년)[Bengal famine of 1943]

Bengal famine of 1943 From the photo spread in The Statesman on 22 August 1943 showing famine conditions in Calcutta. These photographs made world headlines and spurred government action, saving many lives 벵골 대기근 개요 1942년 말부터 1944년까지 인도 제국에서 진행된 대기근. 약 200~300만명의 인도인이 아사한 사건으로 원인과 경과, 그리고 대처 과정에서 논란이 있는 대기근이다.[The Bengal famine of 1943 was a famine in the Bengal province of British India (now Ba..

[필리핀 -마젤란이 살해당한 전투]막탄 전투(Battle of Mactan)

세부에서 막탄 섬의 위치 막탄 전투(Battle of Mactan)는 1521년 4월 28일 세부의 막탄 섬에서 마젤란이 이끄는 스페인군과 라푸라푸가 이끄는 원주민들 사이에 벌어진 전투이다. 막탄 섬의 원주민 지도자 라푸라푸는 페르디난드 마젤란이 이끄는 라자 후마본의 군대에 대항해서 마젤란을 격살했다. 배 페르디난드 마젤란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521년 3월 16일, 마젤란은 말라카 제도로 향하는 서진 항로를 찾기 위한 임무로 현재의 마사르 산맥을 관찰하고 있었다. 이 사건은 군도에 유럽인이 도착한 최초의 사건이었다. 다은 날, 마젤란은 호모논 섬의 해안에 병사들에 배를 정박하라고 명령을 내렸다.[1] 그곳에서 마젤란은 라자 쿨람부와 이후 세부로 안내해 준 리마사와 부족의 추장이었던 라자 시아구와 친교..

[필리핀-마젤란을 죽인 막탄섬 영주]라푸라푸(Lapu - Lapu)

막탄 섬의 라푸라푸 상 라푸라푸(Lapu - Lapu 1491년 - 1542년)는 필리핀 막탄 섬(세부 섬의 동쪽 앞바다)의 영주이며, 이슬람 부족장이다. 페르디난드 마젤란은 세계 일주 항해 도중에 필리핀에 내항하여 기독교로 개종하고 스페인에게 복종할 것을 요구했다. 라푸라푸는 1521년 4월 27일 새벽에 그러한 부당한 요구에 저항하여 막탄 전투에서 마젤란의 군대를 격파한 후, 마젤란을 죽였다. 이 전투는 마젤란의 탐사를 중단시켰고, 필리핀 섬의 스페인 점령을 1564년 미겔 로페스 데 레가스피의 탐사대가 올 때까지 40년 이상 지연시켰다. 세부의 라자 후마본의 라이벌이라는 것 외에는 라푸라푸의 생애에 대해 알려진 것은 거의 없다. 현존하는 유일한 삶의 기록은 안토니오 피가페타가 쓴 문서이다. 그의 이..

[인도- 급진적 독립운동가]수바스 찬드라 보스(Subhas Chandra Bose)

수바스 찬드라 보스 수바스 찬드라 보스(Subhas Chandra Bose, 벵골어: সুভাষ চন্দ্র বসু, 오리야어: ସୁଭାଷ ଚନ୍ଦ୍ର ବୋଷ), 1897년 1월 23일 ~ 1945년 8월 18일)는 인도의 급진적 독립 운동가로, 인도 국민회의 총재와 자유 인도 임시 정부의 국가 주석 겸 인도 국민군 최고 사령관을 지냈다. 그는 벵골인으로, 지도자라는 의미인 네타지 (नेताजी, Netaji) 라는 경칭으로 불리기도 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나치 독일과 일본 제국의 도움을 받아 인도를 대영 제국으로부터 독립시키려고 하였다.[위키백과] ------------------------------------------------------------------------------------..

[인도- 도쿄 전범재판에서 일본 전범을 옹호한 변호사]라다비노드 팔

벵골 주 출신 인물,1886년 출생,1967년 사망,친일파 법조인 Radhabinod Pal 1886년 1월 27일 ~ 1967년 1월 10일 1. 개요 인도 제국의 법률가. 2. 이력 1886년에 인도 벵골 주에서 태어났다. 법률가의 길을 지망하여 캘커타 대학을 졸업하고, 1920년에 법학 석사 시험에 합격하여 변호사로 등록했다. 1924년에 캘커타 대학에서 법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캘커타 대학 법학부 교수를 지내면서, 1941년에는 캘커타 고등법원의 판사로 취임했다. 1944년에는 캘커타 대학 총장에 취임하여 1946년까지 재직했다. 태평양 전쟁 중 찬드라 보세가 일본군과 협력한 사실이 인도에 알려지자 이를 지지하는 시위에 참여한 전력이 있다. 1946년 5월에 극동국제군사재판 인도 대표 판사로 ..

[네델란드령 동인도(현 인도네시아)]방카섬 대학살(Bangka Island massacre)

싱가포르에 위치한 오스트레일리아 종합병원 간호사들의 단체사진(1941년 9월) 사진 속 인원중 6명이 학살로 희생되었다. 1942년 2월 16일 인도네시아 방카섬 일본군 제229연대 군인과 간호사, 민간인의 사망 일본군 연대 대대장의 자살로 재판 종결 영국군과 오스트레일리아군 포로 민간인과 오스트레일리아 육군부대 소속 간호사 100명 이상 60여명의 영국-오스트레일리아군 포로 및 민간인 오스트레일리아 육군부대 소속 간호사 21인 기타 인원수 불명의 민간인 비비안 블린켈(Vivian Bullwinkel) 및 2명 방카섬 대학살(Bangka Island massacre)은 1942년 2월 16일, 네덜란드령 동인도(현재의 인도네시아) 수마트라섬 동쪽에 위치한 방카섬에서 일어난 일본군에 의한 대량 학살 사건으..

[인도네시아]스마랑 강간 사건

스마랑 강간(스마랑 위안소)사건은 일본군 점령 중 인도네시아 자바섬 스마랑(Semarang)에서 벌어진 일본군 군인의 네덜란드 여성 약 3백명을 위안부로 활용한 사건이다. 유일하게 자기 신원을 공개한 피해자 증인의 이름으로 '오헤른 사건'으로도 알려져 있다. 전시 일본군의 일본군 위안부 강제연행의 증거이기도 하다. 1994년 네덜란드정부는 최소 65명은 명확히 강제로 끌려간 증거가 있다고 밝혔으나, 2020년 현재 일본 아베내각은 스마랑 사건의 강제성도 인정하지 않는 입장이다. 개요 1944년 2월 일본군 남방군 관할의 제16군 간부후보생 부대가 민간인 억류소에서 네덜란드인 여성을 강제 연행한 뒤 스마랑에 있던 위안소에 3개월간 감금하고 강간한 사건이다. 이 지역 위안소 총 4곳에 네덜란드 백인 여성만도..

[몽골 제국 - 명장] 수부타이

수부타이(몽골어: ᠰᠥᠪᠡᠭᠡᠳᠡᠢ 수부게테이[Sübügätäi], 한국 한자: 速不臺 속불대, 1176년 ~ 1248년)는 몽골 제국의 개국공신으로 사구 중 한명이다. 우랑카이족(族) 출신으로, 용맹하고 말타기와 활쏘기를 잘하였고, 젤메·제베·쿠빌라이와 더불어 칭기즈칸의 4선봉(四先鋒)으로 불리며, 천호장(千戶長)에 임명되었다. 메르키트족의 잔병(殘兵)을 소탕하는 작전에서 큰 공을 세웠고, 칭기즈칸의 서정(西征) 때는 제베와 함께 코라즘 국왕 추격명령을 받고, 그를 카스피해(海)의 한 작은 섬으로 몰아넣어 죽게 했다. 뒤이어 이란·캅카스의 여러 도시를 공략하였고, 이어 남루스 초원으로 진격, 1223년 킵차크족과 루스 제후(諸侯)의 연합군을 궤멸시키고, 이 초원을 널리 공략한 후 돌아왔다. 1233년 ..

[인도네시아 - 네델란드령 동인도] 암보이나 학살 사건[Amboyna Massacre]

암보이나의 네덜란드와 잉글랜드의 거주지 (위)와 반다네이라 (아래), 1655년 판화 암보이나 사건(네덜란드어: Ambonse Moord, 영어: Amboyna Massacre)은 1623년에 네덜란드령 동인도(현 인도네시아) 말루쿠 제도의 암보이나 섬(암본 섬)에 있는 잉글랜드의 길드 사무소를 네덜란드가 습격해 길드 사무소 직원을 모두 살해한 사건이다. 암본 사건 또는 암보이나 학살이라고 불린다. 이로 인해 잉글랜드의 향신료 무역은 좌절되었고, 네덜란드는 섬의 이익을 독점했다. 동남아시아에서 철수한 잉글랜드는 인도에 화살을 조준하게 되었다. 이 사건은 향신료 무역을 둘러싼 영국 동인도 회사와 네덜란드 공화국 간의 치열한 경쟁의 결과였으며, 17세기 후반까지 두 나라의 긴장 관계의 근원으로 남았다. 암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