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술(美術) 마당 ♣/[중국화-시와 그림] 242

[스크랩] 포청송풍청주면(飽聽松風淸晝眠)

◇ 명대(明代) 전공(錢貢)의 <청송도(聽松圖)> 선면(扇面 (設色金箋) 試問朝中爲宰相 何如林下作神仙 一壺美酒一爐藥 飽聽松風淸晝眠 (시문조중위재상 하여임하작신선 일호미주일로약 포청송풍청주면) 물어보세나 조정의 재상이 되느니 산림에 들어가 신선됨이 어떠한지 한 병의 맛..

[스크랩] 일총누각공강상(一叢樓閣空江上)

◇ 막시룡(莫是龍)의 <추산도(秋山圖)> (紙本, 133×49cm) 一叢樓閣空江上 日有群鷗伴苦吟 盡勝達官憂利害 五更霜裏佩黄金 (일총누각공강상 일유군구반고음 진승달관우리해 오경상리패황금) 한 무더기 누각은 빈 강가에 덩그렇고 때로 갈매기 떼 있어 시인의 짝이 되어주네 모든 걸 이..

[스크랩] 안락와중자재신(安樂窩中自在身)

◇ 청대(淸代) 방자이(方子易)의 <안락와도(安樂窩圖)> (設色紙本, 161×46.5cm) 安樂窩中自在身 猶嫌名字落紅塵 醉吟終日不知老 經史滿堂誰道貧 長掩柴荊避寒暑 只將花卉記冬春 料非空處打乖客 乃是淸朝避世人 (안락와중자재신 유혐명자락홍진 취음종일부지로 경사만당수도빈 장엄..

[스크랩] 우연즉종운종룡(遇緣卽宗雲從龍)

◇ 청말근대 화가 김몽석(金夢石)의 <풍호운룡(風虎雲龍)> 병(屛) (149×38cm) 遇緣卽宗雲從龍 隨處作主風從虎 大地撮來無寸土 倒嶽傾湫 興雲致雨 (우연즉종운종룡 수처작주풍종호 대지촬래무촌토 도악경추 흥운치우) 연분을 만나면 종지 되니 구름이 용을 따르고 이르는 곳마다 주인 ..

[스크랩] 귀쟁칠통무인견(鬼爭漆桶無人見)

◇ 명대(明代) 진홍수(陳洪綬)의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 (設色絹本, 97×45cm) 大悲觀音開正面 官不容針通一線 鼠拽葫蘆有底忙 鬼爭漆桶無人見 (대비관음개정면 관불용침통일선 서예호로유저망 귀쟁칠통무인견) 대자대비한 관음보살이 바로 얼굴을 보여주니 관에선 용납 않는 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