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사(歷史) 마당 ♣/- 이탈리아 13

[메디치 가문의 마지막 직계 후손]안나 마리아 루이자 데 메디치(Anna Maria Luisa de'Medici)

안나 마리아 루이자 데 메디치(Anna Maria Luisa de'Medici) 안나 마리아 루이자 데 메디치 안나 마리아 루이자 데 메디치(Anna Maria Luisa de'Medici, 1667년 8월 11일 ~ 1743년 2월 18일)는 메디치 가문의 마지막 직계 후손이다. 토스카나 대공 코시모 3세와 오를레앙의 마르게리타 루이사 사이에서 고명딸로..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기 우르비노 군주]페데리코 다 몬테펠트로(Federico da Montefeltro

페데리코 다 몬테펠트로 우르비노 공작배우자젠틸레 브란칼레오니(1437 - 1457) 바티스타 스포르차 (1460 - 1472)자녀코스탄차? 디 몬테펠트로(Costanza? di Montefeltro, 1460년 12월 - 1461년 2월) 조반나 디 몬테펠트로(Giovanna di Montefeltro, 1462 - 1514) 이사베타 디 몬테펠트로(Isabetta di Montefeltro, 1464 - 1521) ..

[산드로 보티첼리 그림의 실제 모델]시모네타 베스푸치[Simonetta Cattaneo de Candia Vespucci]

시모네타 베스푸치 Portrait of a woman, said to be of Simonetta Vespucci (c. 1490) by Piero di Cosimo 시모네타 베스푸치 시모네타 카타네오 데 칸디아 베스푸치(이탈리아어: Simonetta Cattaneo de Candia Vespucci, 1453년경 ~ 1476년 4월 26일)는 피렌체의 미녀로 칭송받던 여성으로, 산드로 보티첼리의 작품 《베누스의 ..

[신곡을 비롯한 많은 예술 작품의 주인공이 된 인물]프란체스카 다 리미니(Francesca da Rimini

《파올로와 프란체스카》  장 오귀스트 도미니크 앵그르 작품.  프란체스카 다 리미니(Francesca da Rimini, ? ~ 1285년) 또는 프란체스카 다 폴렌타(Francesca da Polenta)는 귀도 다 폴렌타의 딸이다. 《신곡》을 포함한 많은 예술 작품의 주제가 되었다.귀도 다 폴렌타는 말라테스타 가문과 원수 지간이었다. 화해를 하면서 귀도는 그의 딸 프란체스카를 말라테스타 가문의 장남인 지오반니 말라테스타와 결혼시키기로 약속했다. 지오반니는 가문의 용감한 후계자였지만 못생겼다. 프란체스카가 결혼을 거부할 것을 안 귀도는 잘생긴 지오반니의 동생 파올로를 프란체스카에게 지오반니로 속였다.프란체스카는 파올로와 사랑에 빠졌지만, 결혼식 다음날 아침에서야 신랑이 지오반니로 바뀌어 있는 것을 알아..

[18세기 초부터 19세기까지 이탈리아 북부지역에 존재했던 왕국]사르데냐 왕국

사르데냐 왕국 Regno di Sardegna ← 1720년 ~ 1861년 → 국기 국장 표어 (없음) 국가 Inno Sardo (샤르데냐의 노래) 수도 토리노 (1720~1805) 칼리아리 (1805~1815) 토리노 (1815~1865) 정치 공용어 이탈리아어 ² 프랑스어 ² 피에몬테어 ² 옥시타니아어 정부 형태 입헌군주제 국왕 1720년 ~ 1730년 1849년 ~ 1861년 ..

<자신을 강간한 아버지를 살해한 여인>베아트리체 첸치(이탈리아어: Beatrice Cenci)

엘리사벳타 시라니가 그린 베아트리체 첸치의 초상화. 1818년 셸리는 콜론나 궁전에서 이 그림을 보고 그녀의 비극을 주제로 한 시극을 썼다. 베아트리체 첸치(이탈리아어: Beatrice Cenci, 1577년 2월 6일 - 1599년 9월 11일)는 이탈리아의 귀족 여성이다. 그녀는 로마에서 일어난 끔찍한 살인 사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