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문 관련 ♣/ 중국 고전 12

공자(孔子) - 논어(論語)

공자(孔子) - 논어(論語) 《논어》(論語)는 공자와 그 제자들의 대화를 기록한 책으로 사서의 하나이다. 저자는 명확히 알려져 있지 않으나, 공자의 제자들과 그 문인들이 공동 편찬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한 사람의 저자가 일관적인 구성을 바탕으로 서술한 것이 아니라, 공자의 생애 전체에 걸친 언행을 모아 놓은 것이기 때문에 여타의 경전들과는 달리 격언이나 금언을 모아 놓은 듯한 성격을 띤다. 공자가 제자 및 여러 사람들의 질문에 대답하고 토론한 것이 '논'. 제자들에게 전해준 가르침을 '어'라고 부른다. 구성 현재 논어는 전20편, 482장,600여 문장으로 전해 내려오고 있다. 서술방식과 호칭의 차이 등을 기준으로 앞의 열 편을 상론(上論), 뒤의 열 편을 하론(下論)으로 구분하여 앞의 열 편이 더 ..

노자(老子)

노자(老子)        노자 도덕경(원문/해석-출처:cafe.daum.net/kigc/9PW2/159)   1.  道可道非常道(도가도비상도) : 라고 말 할 수 있는 는 가 아니다 名可名非常名(명가명비상명) : 이름 지을 수 있는 이름은 영원한 이름이 아니다 無名天地之始(무명천지지시) : 이름 붙일 수 없는 것이 천지의 원천이며 有名萬物之母(유명만물지모) : 이름 붙일 수 있는 것이 만물의 모태다 故常無欲以觀其妙(고상무욕이관기묘) : 그러므로 언제나 욕심내지 많으면 그 오묘함을 볼 수 있으며 常有欲以觀其徼(상유욕이관기요) : 언제나 욕심냄이 있으면 그 나타남만을 볼 수 있다 此兩者同(차량자동) : 이 두 가지는 근원 같으나 出而異名(출이이명) : 나타나 이름이 다르다 同謂之玄(동위지현) : 같이 이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