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 도서관 ♣/[참고용 책]

동남아시아의 역사와 문화 - 여성이 이끄는 세계/ 조흥국

Bawoo 2020. 4. 10. 21:03


동남아시아의 역사와 문화

동남아시아의 역사와 문화 -  여성이 이끄는 세계

[소감]동남 아시아 지역 소재 국가의 역사에 대해 궁금했는데 알 기회가 없다가 이번에 신간이 나온 것을 알고 구독-도서관 희망도서-하게 된 책. 이 지역 국가 역사 특히 식민통치기 이후의 역사를 알고 싶었는데 다루는 분야가 방대하여 분량이 제법 됨에도 역사는 깊이 못 들어간 단점이 있어 간독으로 끝냈다. 소득이라면 이 지역 국가의 역사만 다룬 책이 2004년에 나와 있다는 것.

책소개

2017년 현재 약 6억 5천만 명의 인구가 사는 동남아시아는 세계의 주요 수입 시장일 뿐만 아니라 비교적 저렴한 노동력을 갖춘 주요 인력 시장이기도 하다. 오늘날 중국·인도·일본·미국 등 강대국이 동남아시아 국가들로 영향력을 확산하고 이들을 자기편으로 끌어들이려고 노력하는 것은 이 지역이 갖는 천연 및 인적 자원과 지정학적 위치 그리고 물류의 중요성 때문이다. 동남아시아는 우리나라에게도 정치·경제적으로뿐만 아니라 사회·문화적으로도 갈수록 중요해지고 있으며, 인적 교류의 규모도 매년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동남아시아에 대한 우리의 이해는 여전히 왜곡되어 있다. 많은 사람이 동남아시아를 정치적으로 혼란하고 사회·경제적으로 낙후되었으며 문화적으로 미개한 지역으로 생각한다. 또한 야자수가 우거진 이국적 정취의 열대 관광지 정도로 생각하기도 한다. 이러한 선입견과 편견은 동남아시아 지역을 남만(南蠻) 즉 ‘남방의 미개한 오랑캐’로 보는 중국의 전통적인 시각의 답습과 서양인의 동남아시아에 대한 정치·경제적 및 문화적 우월의식을 모방한 서구적 가치관 및 세계관에서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다. 동남아시아에 대한 이러한 선입견은 동양을 퇴보된 곳으로 보아 서양에 의해 문명화 내지 근대화되어야 할 지역으로 간주하는 식민주의 시대 이후 오리엔탈리즘의 발상에 속한다.
이제 이러한 선입견과 편견에서 벗어나 동남아시아를 정당하게 이해하려고 노력할 필요가 있다. 있는 그대로의 동남아시아는 과연 어떤 모습일까? 동남아시아 각국의 문화적 다양성과 사회적 역동성을 제대로 이해해야만 비로소 동남아시아에서 살고 있는 사람들의 생생한 현재 모습과 미래를 이야기할 수 있을 것이다.


저자 : 조흥국
서강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한 후 독일 함부르크대학교의 동양학부 동남아시아학과에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의 초빙교수와 일본 교토대학 동남아시아연구소 초빙교수를 역임했으며, 부산대학교 국제전문대학원 교수로 십수 년간 가르치고 연구하다가 2019년 8월에 퇴직했다. 강의와 연구의 주 분야는 동남아시아의 역사, 종교, 민족, 여성, 화인, 한국-동남아 교류사, 동남아시아 국제개발협력 등이다.
동남아의 화인사회(2000 공저), 불교군주와 술탄?(2004 공저), 태국 - 불교와 국왕의 나라?(2007), 한국과 동남아시아의 교류사(2009), 제3세계의 역사와 문화?(2015 공저), 근대 태국의 형성(2015) 등 스무여 권의 저서와, 밀턴 오스본의 메콩강 - 그 격동적인 과거와 불확실한 미래(2018)를 포함한 세 권의 역서가 있으며, 수많은 논문을 국내외 학술지에 발표했다.


목차


책을 펴내며
외국어의 한글 표기방식

제1장 | 동남아시아는 어떤 곳인가
1. 동남아시아를 알아야 할 이유
2. 다양성과 통일성의 동남아시아
3. 동남아시아 국가들의 개관

제2장 | 동남아시아의 자연환경과 역사지리
1. 동남아시아의 지리적 환경의 특징
2. 대륙 동남아시아의 자연환경
3. 도서 동남아시아의 자연환경

제3장 | 동남아시아 역사의 개관
1. 동남아시아의 역사와 문화를 어떤 시각에서 볼 것인가
2. 동남아시아의 선사 문명
3. 동남아시아의 고대 왕국
4. 도서 동남아시아의 유럽과의 접촉
5. 16~18세기 대륙 동남아시아 왕국들의 흥망성쇠
6. 18세기 말~20세기 초 식민주의 시대
7. 19세기 말~20세기 중엽 민족주의 시대
8. 독립과 현대 동남아시아의 변화

제4장 | 식민주의의 배경 및 동기와 영향
1. 동남아시아에서의 식민주의의 의미
2. 식민주의의 배경 및 동기
3. 식민주의의 영향

제5장 | 동남아시아의 토착 문화
1. 기층문화로서의 토착 문화
2. 주택 문화
3. 음식 문화
4. 의복 문화와 몸 장식
5. 촌락공동체 문화
6. 항해 · 조선 기술 및 산후조리

제6장 | 동남아시아 민간신앙의 특징과 역할
1. 동남아시아 종교 문화에서 민간신앙의 위치
2. 태국의 민간신앙
3. 미얀마의 민간신앙
4. 베트남의 민간신앙
5.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의 민간신앙


제7장 | 여성의 지위와 역할
1. 여성의 역할이 강한 동남아시아
2. 상좌불교권 국가들에서의 여성의 지위와 역할
3. 유교권 베트남에서의 여성의 지위와 역할
4. 이슬람권 국가들에서의 여성의 지위와 역할

제8장 | 인도의 영향과 동남아시아 문자의 형성
1. 동남아시아에 대한 인도의 영향 개관
2. 동남아시아 문자의 형성에 대한 인도의 영향
3. 동남아시아 주요 문자들의 발달

제9장 | 상좌불교의 형성과 실제
1. 상좌불교의 특징
2. 동남아시아 상좌불교의 역사
3. 동남아시아 상좌불교의 실제
4. 현대 동남아시아에서의 불교의 정치적 · 사회적 역할

제10장 | 이슬람의 형성과 실제
1. 동남아시아 이슬람의 특징
2. 동남아시아 이슬람의 역사
3. 동남아시아 이슬람의 실제
4. 현대 동남아시아에서의 이슬람의 정치적 · 사회적 역할

제11장 | 동남아시아의 종족 · 종교 갈등
1. 동남아시아 종족 · 종교 갈등의 성격
2. 태국에서의 무슬림-불교도 갈...
3. 필리핀에서의 모로 분리주의 운동
5. 미얀마에서의 무슬림-불교도 갈등

제12장 | 동남아시아의 화교 · 화인
1. 화교 · 화인 개념
2. ‘화인 문제’의 성격
3. 19세기까지의 화교 · 화인 사회의 형성
4. 20세기 이후 화교 · 화인 사회의 변화
5. 동남아시아의 혼혈 화인 사회
6. 화인의 경제적 위상 및 성공의 원인
7. 동남아시아 화인 사회의 정체성과 전망

제13장 | 한국과 동남아시아의 관계
1. 한국-동남아시아 접촉 및 교류의 의미
2. 선사 및 고대 시기 동남아시아-한반도의 해양 교류
3. 6~8세기 한반도-동남아시아의 관계
4. 고려 시대 한국-동남아시아의 교류
5. 14세기 말~15세기 초 태국 및 인도네시아와의 무역 접촉
6. 조선 시대 한국-필리핀의 접촉
7. 조선 시대 한국과 베트남의 교류
8. 20세기 한국과 동남아시아의 관계


주석
참고문헌
지도ㆍ그림 출처
찾아보기
지도ㆍ그림ㆍ표 차례


출판사서평


다양성과 통일성의 동남아시아

동남아시아는 인도와 중동 지역에서 또한 유럽에서 동북아시아로 들어오는 관문과 같은 곳이며, 동북아시아를 인도양 연안 국가들로 연결시키는 징검다리의 역할을 하는 곳이다. 이러한 지정학적 위치 때문에 동남아시아에는 기원 전후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세계의 다양한 민족과 문화가 유입되었으며, 이것은 동남아시아의 가장 중요한 특징 중 하나로 꼽히는 ‘다양성’을 낳았다. 동남아시아의 다양성은 무엇보다도 문화적 구조에서 엿볼 수 있다. 동남아시아의 문화는 토착 문화를 바탕으로 한다. 이 토착 문화의 전통 위에 기원 전후부터 유입된 중국 문화와 인도 문화가 이식되어 발전했으며, 특히 중국의 유교와 인도의 힌두교 및 불교 등의 외래 문화는 동남아시아 고대 왕국들의 법과 행정체계 및 의례, 그리고 주민의 정신세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또한 13세기 말 인도네시아의 수마트라 섬 북단에 정착한 이슬람은 해상무역의 흐름을 타고 말레이 반도와 도서부의 여러 지역으로 퍼져나갔고, 16세기부터는 유럽의 서구 문화가, 19세기부터는 중국의 화교·화인 문화가, 19세기 말부터는 미국과 일본의 문화가 들어왔다. 이렇게 유입된 여러 외래 문화는 토착 문화와 함께 동남아시아 문화의 중층적 구조를 이루었으며, 이와 함께 중국, 포르투갈, 스페인, 네덜란드, 영국, 프랑스, 미국, 일본 등 다양한 식민 열강의 지배를 받은 식민주의 역사는 동남아시아를 세계의 어느 지역보다 다채롭게 만들었다.
그러나 동남아시아는 다양성의 측면으로만 이해될 수 없는 곳이다. 동남아시아가 세계의 다른 지역과 구별되는 한 지역으로서의 공통성 또는 통일성의 측면도 있다. 그 공통성은 우선 동남아시아 국가들이 모두 다민족 사회라는 점, 태국을 제외하면 모두 식민 지배의 역사적 경험을 갖고 있다는 점에서 드러난다. 또한 화교·화인의 중요성, 그리고 베트남과 싱가포르를 제외한 모든 동남아시아 국가들에서 특정 종교가 지배적인 위상을 갖고 있다는 점도 통일성의 측면이다. 그 밖에 윗도리를 입지 않는 의복 문화, 치아 검게 물들이기, 고상가옥의 주택 문화, 밥과 물고기 중심의 식사, 젓갈과 액젓의 중시, 빈랑 씹기 등 전근대 시기의 의식주 문화와 촌락공동체의 전통, 그리고 무엇보다도 민간신앙의 전통과 여성의 강한 역할 등에서 동남아시아의 통일성이 확인된다.


동남아시아의 자연환경, 역사, 토착 문화, 종교, 종족, 여성, 화인(華人)
그리고 한국과의 관계

이 책은 동남아시아의 자연환경, 역사, 토착 문화, 인도의 영향, 민간신앙, 불교와 이슬람, 종교·종족 갈등, 여성, 화교 및 화인(華人), 한국과 동남아시아의 관계 등 이 지역의 역사와 문화의 전반적인 측면들을 다룬다. 지리적·기후적 환경은 이 지역의 역사 및 문화의 형성과 발전에 적지 않은 영향을 주었다. 동남아시아의 역사에서 특히 인도와의 관계가 중시되는 이유는 인도가 북부 베트남과 필리핀을 제외한 동남아시아 모든 지역의 고대 국가 형성과 ‘고전’ 문화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기 때문이다.
또한 이 책에서는 동남아시아의 종교와 신앙을 심도 있게 다루고 있다. 동남아시아 역사와 문화의 형성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을 뿐만 아니라 오늘날의 정치·경제 및 사회·문화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동남아시아 도처에서 일어나는 지역 및 종족 분쟁의 배경에는 대개 종교가 놓여 있다. 동남아시아 국가의 대부분은 인구의 절대다수가 하나의 특정 종교를 믿는 구조이다. 미얀마·태국·캄보디아는 인구의 90퍼센트 이상이 불교도다. 인도네시아는 인구의 80퍼센트 이상이 이슬람을 믿는다. 말레이시아 역시 다수족인 말레이인을 기준으로 볼 때 무슬림 국가이며, 브루나이도 인구의 약 67퍼센트가 무슬림인 이슬람적인 국가다. 필리핀에서는 가톨릭 신자가 인구의 80퍼센트 이상을 차지하며, 동티모르는 무려 98퍼센트에 달한다.
여성에 대한 이해는 동남아시아의 문화와 사회를 제대로 알기 위한 기본적인 사항이다. 여성이 전통적으로 강한 역할을 해 온 동남아시아는 중동의 이슬람권, 남아시아의 힌두·이슬람권, 동북아시아의 유교권 등 남성 중심적 사회와 비교된다. 동남아시아를 이해하기 위한 또 다른 중요한 창은 화교·화인이다. 중국인 내지 화인은 동남아시아의 역사 형성에서 중요한 부분을 담당해 왔다. 오늘날 이 지역 인구의 약 6퍼센트를 차지하는 화교 및 화인은 동남아시아의 경제를 지배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여러 나라에서 정치적으로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끝으로 한국과 동남아시아는 전근대 시기의 상호 접촉에 이어 20세기 중엽 이후 외교와 무역, 한국전쟁과 베트남전쟁의 군대 파견, 관광과 스포츠 교류, 동남아시아 노동자와 결혼 이주 여성의 한국 유입, 최근의 한류 확산, ‘아세안+3’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긴밀한 관계가 발전되어 왔으며, 그 관계에 대한 이해는 한국인의 동남아시아 이해를 위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