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음악 감상실 ♣/[協奏曲(Concerto)]

Franz Liszt - Hunnenschlacht (1857) Symphonic Poem, No. 11

Bawoo 2021. 3. 27. 12:28

Franz Liszt

Liszt in 1858(48세)

(22 October 1811 – 31 July 1886)

was a Hungarian composer, virtuoso pianist, conductor, music teacher, arranger, and organist of the Romantic era. He is widely regarded as one of the greatest pianists of all time. He was also a writer, philanthropistHungarian nationalist, and Franciscan tertiary.

 

Hunnenschlacht (1857) Symphonic Poem, No. 11

[훈족의 전투]

[Dedication: Princess Carolyne zu Sayn-Wittgenstein (1819–87)]

[헤르만 쉐르헨 - 지휘 빈 국립 오페라 오케스트라,1959]

 

450년 지금의 헝가리 지역을 점령하고 있던 Hun族 (중국은 "흉노族이라 칭하였음)은 西로마제국을 침략하여 갈리아 지방(라인강 유역의 서쪽 지역)의 도시 들을 약탈하였으나, 다음 해에 카타뤼니안(Catalaunian)이라 불리는 평원에서 로마제국의 군대와 큰 전투 끝에 패퇴하게 된다. 이후 서유럽 국가에서는 이 전투를 "동방세계에 대한 서방세계의 승리" 혹은 "이교도 들에 대한 기독교도의 승리" 라 부르게 되었으며 많은 화가 들이 그 날의 전투를 그림으로 남기어 이를 기념하였다. 독일의 프레스코(벽화) 화가 카울바흐(Kaulbach,1805 - 1874)도 그런 화가 들 중의 하나이었는데, 1855년 비트겐 스타인의 공주가 그가 그린 전투 그림 (2차대전 시에 베를린 박물관에서 소실됨)을 복사하여 리스트에게 보냈다. 그 그림은 리스트에게 큰 감명을 주어 그로 하여금 그림의 내용을 테마로 하는 교향시를 만들게 하였으며, 뿐만아니라 차후에도 역사적 사실 들을 테마로 하는 교향시를 쓰도록 만들었다. 이런 배경을갖고 1856 - 1857년에 걸쳐 완성된 것이 교향시 "Hunnenschlacht "이다. "Hunnenschlacht"는 전투 음악이라는 뜻으로, 리스트는 이곡에서 훈族은 헝가리 音調로, 로마군은 6세기 멜로디인 그레고리 성가(기독교의 빛은 이교도의 어둠을 밝히네)를 오르간을 동원하여 표현하였다. 대포소리만 없지 베토벤의 "웰링톤의 승리"를 생각나게 하는 곡이다.

Zubin Mehta · Berliner Philharmoniker

 

Hunnenschlacht (The Battle of the Huns), S.105, is a symphonic poem, written in 1857 after a painting of the same name by Wilhelm von Kaulbach. Liszt conducted the premiere himself in Weimar on 29 December 1857. The painting depicts the battle of the Catalaunian Fields around 20 June 451 AD, where the Hun armies led by Attila fought a savage battle against a Roman coalition led by Roman General Flavius Aëtius and the Visigothic king Theodoric. According to legend, the battle was so ferocious that the souls of the dead warriors continued their fighting in the sky as they rose to Heaven. The first section of the piece, marked Tempestuoso, allegro non troppo carries Liszt's instruction: "Conductors: the entire colour should be kept very dark, and all instruments must sound like ghosts."[2] Liszt achieves much of this effect by scoring the entire string section to play with mutes, even in fortissimo passages. This section depicts an atmosphere of foreboding and suppressed rage before the battle breaks out. The second section, Più mosso, begins with a "Schlachtruf" (battle cry) in the horns, which is then taken up by the strings. The main battle theme is then stated, a fully formed version of material from the very opening. This entire section makes use of the so-called gypsy scale, which Liszt frequently used in his Hungarian-themed compositions. In this section Liszt introduces an unusual effect: against the current of the raucous battle music in the rest of the orchestra, the trombones play the ancient plainchant melody "Crux fidelis". Liszt's own description of this section was of "two opposing streams of light in which the Huns and the Cross are moving." The "Crux fidelis" theme is later taken up by the strings in a quiet, peaceful contrasting section. The music grows in intensity, eventually including an organ and offstage brass section, and it ends triumphantly.

 

[우리말 자료]

훈족의 전투 프란츠 리스트, Symphonic poem “Hunnenschlacht”, S.105

리스트의 열한 번째 교향시로, 1857년에 작곡되었다. 카탈라우눔 전투를 묘사한 카울바흐의 동명의 그림에서 영감을 받아 탄생한 작품이다. 훈족과 로마연합군의 전투를 생생하게 묘사하는 부분과 연합군의 승리를 표현하는 두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그림에서 영감을 얻은 작품 〈훈족의전투〉는 리스트가 1857년 ...

시대 : 낭만 분류 : 낭만주의 음악 > 관현악곡 > 교향시 제작시기 : 1857년 작곡가 : 프란츠 리스트(Franz Liszt, 1811~1886) 출판 : 1861년 편성 : 피콜로, 플루트2, 오보에2, 클라리넷2, 바순2, 호른4, 트럼펫3, 트롬본3, 튜바, 팀파니, 퍼커션, 오르간, 현5부 [클래식 백과 | 서양음악 , 음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