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사(歷史) 마당 ♣/< 중국 >

[삼국지 - 위나라 오자양장(五子良將) 중 한 명]서황(徐晃)

Bawoo 2016. 7. 20. 22:38


   

서황(徐晃, ? ~ 227년)은 중국 후한 말 ~ 삼국 시대 위나라장군으로 는 공명(公明)이며 사례 하동군 양현(楊縣) 사람이다. 양봉 휘하에 있다가 조조에게 귀순한 후 맹활약하여 오장군 중 한 명이 되었다.


생애

양봉 휘하에서

하동군의 관리로서 이각의 부하 양봉을 섬기며 공적을 세워 기도위에 임명되었다. 195년(흥평 2년)[1] 이각과 곽사의 내전으로 수도 장안이 혼돈에 휩싸였다. 서황은 양봉에게 헌제를 모시고 낙양으로 돌아가자고 진언하였다. 이런저런 일들을 겪은 끝에 헌제 일행은 황하를 건너 안읍(安邑, 지금의 산시성 샤 현)에 당도했고 서황은 도정후(都亭侯)에 봉해졌다. 196년(건안 원년) 헌제는 마침내 낙양으로 돌아왔고 양봉은 하남윤 양현(梁縣, 지금의 허난성 루저우시)에 주둔했다. 서황은 양봉에게 조조잡을 것을 제안하였다. 조조는 양봉을 지원하는 척하면서 헌제를 로 빼돌렸다. 양봉이 후회하며 조조와 격돌했으나 무참히 깨지고 원술에게로 달아났다. 서황은 조조에게 귀순했다.

이적 후 종횡무진

하남윤 권현(卷縣)과 원무현(原武縣)을 평정하고 비장군(裨將軍)을 받았다. 198년 여포 토벌에 참여해 따로 조서(趙庶), 이추(李鄒) 등을 항복시켰다. 199년 사환, 조인과 함께 하내군수고(휴고)를 쳐부수고 참하였다. 200년 서주에서 거병했던 유비를, 백마(白馬, 지금의 허난성 화현)에서 원소의 선봉장 안량을, 연진(延津)에서 문추를 칠 때도 활약하고 편장군이 되었다. 유벽, 유비 등이 여남군 은강현(㶏彊縣) 등 허도 근방을 교란하기에 조홍과 같이 가 축비(祝臂)를 무찔렀다. 순유한순[2](한맹)의 운송대를 습격하자며 적임자로 서황을 추천했다. 사환과 함께 가 그 물자들을 사르고 도정후에 봉해졌다.


204년 조조가 포위해두고 한단현(邯鄲縣)을 함락하였다. 역양현령(易陽―) 한범(韓範)은 일단 항복했다가 다시 무기를 들었다. 이를 서황이 맡았는데 편지를 단 화살을 날려 설득하였다. 한범은 무기를 내렸고 서황은 조조에게 “원담원상이 아직 망하지 않았고 많은 들이 추세에 를 기울이고 있습니다. 지금 역양을 밀어버린다면 다른 성들은 죽음을 불사할 것이고, 항복을 허락한다면 우러러보지 않는 성이 없을 것입니다.”라 견해를 밝혔다. 조조가 옳다 하였다. 이어서 복병을 활용한 기습으로 모성(毛城)도 접수하였다. 205년 남피(南皮)에서 원담을 격멸하는 데 공을 세우고 평원국의 잔당들도 소탕하였다.


207년 백랑산(白狼山)에서 답돈정벌할 때도 따라가 횡야장군(橫野―)에 임명되었다. 208년 형주 정벌을 수행하여 중려(中廬), 임저(臨沮, 지금의 후베이성 위안안 현), 의성(宜城) 방면을 정리하였다. 만총과 한진(漢津)에서 관우를 물리치고 조인과 더불어 강릉(江陵, 지금의 후베이성 징저우 구)을 방어했으나 주유에게 패하였다.

관서에서의 활약

211년 태원군 대릉현(大陵縣)을 근거지로 들고일어난 상요(商曜)를 하후연의 지휘 하에[3] 진압하고 참하였다. 조조군의 한중을 향한 기동에 위협을 느낀 한수마초관중의 세력들이 동관(潼關)으로 동진해왔다. 서황은 분음현(汾陰縣, 지금의 산시성 완룽 현)에 머무르며 하동군을 진무(鎭撫)하였다. 7월(음력) 조조가 대군을 이끌고 동관 앞에서 대기하자 관중군도 황하 서쪽을 비우고 남쪽에 전력을 집중하였다. 서황이 포판진(蒲坂津)을 건너 그 서쪽을 확보하겠다며 병사를 청하니 조조가 승낙하였다. 중에 주령과 아울러 보병, 기병 4,000명으로 황하를 넘어갔다. 해자울짱을 미처 완성하지 못했는데 5,000명으로 강습해온 양흥을 격퇴하였다. 하후연과 같이 우부풍 유미(隃麋, 지금의 산시성 첸양 현)·견현(汧縣, 지금의 산시성 룽현)의 저족을 평정하고 안정(安定)에서 조조와 합류하였다. 섣달 조조는 업으로 귀환하고 하후연 등과 장안에 남았다. 212년 부(鄜), 하양(夏陽)의 잔당들을 처치하고 양흥을 베었다.


215년 장로 정벌에 종군하였다. 별도로 독(櫝), 구이(仇夷)의 저족들을 깨트리고 평구장군(平寇―)으로 옮겼다. 장순(張順)의 포위를 풀고 진복(陳福) 등 30여 둔을 격파하였다. 이번에도 하후연 밑에 남아서 한중을 수비하였다. 유비가 진식 등 10여 영을 보내 마명각도(馬鳴閣道)를 확보하려는 것을 분쇄하였다. 조조가 그 잔도는 한중의 험하고 중요한 목구멍과 같은 곳이라며 크게 칭찬하였다.

번성 구원

219년(건안 24년) 번성(樊城)의 조인을 뒷받침하여 남양군 완현(宛縣)에 주둔했다. 8월(음력) 억수로 불은 한수우금군은 수몰당하고 번성과 양양은 관우에게 포위당했다. 서황에게 조인을 구하라는 명령이 떨어졌지만 다수가 신병이라 육탄전을 치르기 어려워 일단 양릉피(陽陵陂)에 진을 치고 원병을 기다렸다. 장수들의 비난을 받았으나 조엄의 조언으로 구원군이 왔음을 알려 조인군의 사기를 높였다.[4] 10월 과연 조조가 서상(徐商)·여건 등을 보내와 병마가 전부 집결하면 전진하라 하였다. 이내 은서(殷署), 주개(朱蓋) 등의 열두 영이 도착하고 동소의 조언을 받은 조조의 칙령에 따라 손권까지 진격한다는 것도 알렸다.[5]


그러는 사이 거짓으로 해자를 파며 언성(偃城)의 뒤를 끊는 척하였다. 언성의 관우군이 진지를 불태우고 철수하였다. 양릉피와 언성을 연결하고 점차 전진하여 관우군의 포위망에 3장(丈) 거리까지 다다랐다. 관우군은 위두(圍頭)와 사총(四冢)에 진영이 있었다. 위두를 친다고 선전하고는 사총을 강타하였다. 사총의 급작스런 사태에 관우가 몸소 보병과 기병 5,000명을 데리고 달려왔다. 서황이 여지없이 박살 내고 그대로 포위망 깊숙이까지 짓쳐 들어가 모두 무너트렸다.

형주에서의 활약

220년(연강 원년) 조비가 조조를 이어 에 올라 서황을 우장군에 앉히고 녹향후(逯鄕侯)로 진봉하였다. 얼마 안 가 황제에 즉위하고 양후(楊侯)로 올려 봉했다. 정남장군(征南―) 하후상, 건무장군(建武―) 맹달과 함께 상용(上庸)으로 가 유봉을 축출했다.[6] 221년(황초 2년) 조인과 힘을 합쳐 진소(陳邵)를 물리치고 양양을 되찾았다.[7] 222년 조비가 남정을 개시하여 서황도 조진, 하후상, 장합과 더불어 남군을 포위했지만 함락시키지 못하고 돌아왔다.[8] 앞뒤를 정확히 알 수 없는 황초 연간에 양평(陽平)을 진수하며 양평후로 이봉됐다. 226년 조비가 죽고 조예가 황위를 계승해 어수선한 틈을 타 양양으로 북진해온 제갈근을 무군대장군(撫軍―) 사마의 아래서 격퇴하고[9] 식읍 200호를 하사받아 총 3,100호가 되었다. 227년(태화 원년)에

병사해 시호는 장후(壯侯)라 했다.

성품

검약하며 신중하여, 장군이 되어서는 항상 멀리까지 척후 활동을 했다. 또 스스로 우연히 현명한 군주인 조조를 만났다 하여 교우 관계를 넓히지 않았다. 먼저 싸워서 이길 수 없다고 여기면 나중에 싸웠고, 추격할 때에는 장병들에게 식사 시간도 주지 않았다. 공과 사를 구분하였다. 관우와는 서로 경애하는 사이였다.[10]

평가

조조는 서황의 공적을 손무, 전양저에 비하여 칭찬하였다. 또한 번성 전투의 승리를 축하는 연회를 개최할 때 조조는 서황에게 술을 권하고 그를 칭송했다. 이때 다른 군대도 집결하였는데, 다수의 군 병졸들은 위치했던 장소를 떠나 매우 어수선했지만, 서황의 군대만은 장병이 정연하게 진형을 갖추고 위치한 장소를 떠나는 이들이 없었다. 이걸 본 조조는 더욱더 서황을 두텁게 신뢰하여 "서황에게는 주아부의 풍격이 있다."라고 아주 크게 칭찬하였다.

삼국지연의

사서가 아닌 소설삼국지연의》에서는 대부(大斧;큰 도끼)를 능숙하게 사용하는 무장으로 등장한다. 양봉의 부하로 등장하나, 조조의 부하가 된 친구 만총의 권유로 양봉을 떠나 조조에게 들어간다. 관도대전에서는 안량에게 일대일로 대항하나 20합을 당해내지 못하고 도망친다. 한중전투에서는 무리하게 배수진을 고집하여 부장인 왕평과 의견이 맞지 않아 충돌하고 결과적으로 패하였으나 그 책임을 왕평에게 물어 왕평이 촉나라로 가버렸기에 격노하는 등 급한 성질의 성격도 보여주지만, 관우와 일대일 결투에서 80합을 싸워도 물러서지 않는 등 위나라 굴지의 용장으로 묘사되었다. 또, 죽는 장면이 예전 촉나라 신하였던 맹달의 배반을 응징하기 위해 선봉으로 출진했다가 맹달이 쏜 화살에 이마를 맞아 전사하는 장면으로 각색되었다.

가계

  • 아들 : 서개(徐蓋)
    • 손자 : 서패(徐覇)

각주

  1. 이동 후한서》9권 본기 제9 효헌제 유협 흥평 2년
  2. 이동 《삼국지》10권 위서 제10 순유
  3. 이동 《삼국지》9권 위서 제9 하후연
  4. 이동 《삼국지》23권 위서 제23 조엄
  5. 이동 《삼국지》14권 위서 제14 동소
  6. 이동 《삼국지》40권 촉서 제10 유봉
  7. 이동 《삼국지》9권 위서 제9 조인
  8. 이동 《삼국지》47권 오서 제2 오주 손권
  9. 이동 《삼국지》3권 위서 제3 명제 조예
  10. 이동 《촉기》 ; 배송지 주석, 《삼국지》36권 촉서 제6 관우에서 인용

참고 문헌

  • 삼국지》17권 위서 제17 서황
  • 《삼국지》1권 위서 제1 무제 조조
  • [출처: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