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 중국화가 주언생(周彦生)의 <추국(秋菊)> 경광(鏡框) (1989年作, 設色紙本, 19×56cm)
霜露悴百草 時菊獨姸華
物性有如此 寒暑其奈何
掇英泛濁醪 日入會田家
盡醉茅簷下 一生豈在多
(상로췌백초 시국독연화
물성유여차 한서기내하
철영범탁료 일입회전가
진취모첨하 일생기재다)
서리 이슬 내려 온갖 꽃 시들게 할제
때맞춰 국화 홀로 아름다운 꽃 피우지
사물의 본성에는 이와 같음이 있는데
추위 더위가 그를 어찌할 것인가
꽃을 따 막걸리에 띄워 두었다가
해가 지면 농가에 모여
띳집 처마 아래서 한껏 마시고 취하니
일생이 어찌 재부의 많음에 있겠는가
☞ 위응물(韋應物/唐), <효도팽택(效陶彭澤)>
- 陶彭澤: 동진(東晉) 때의 전원시인 도연명(陶淵明). 그가 귀거래를 단행하기 직전 팽택(彭澤)현의 현령(縣令)을 지냈다.
- 其奈何: 無奈其何.
- 濁醪: 막걸리(濁酒).
- 田家: 농가(農家)
◇ 근현대 중국화가 진반정(陳半丁)의 <秋菊> 경심(鏡心) (設色紙本, 33×95cm)
◇ 진반정(陳半丁)의 <秋菊> 선면(扇面) (1940年作, 紙本, 17×51cm)
◇ 진반정(陳半丁)의 <秋菊> 성선(成扇) (設色紙本, 18×48cm)
◇ 진반정(陳半丁)의 <秋菊> 횡폭(橫幅) (設色紙本, 35.5×65cm)
◇ 진반정(陳半丁)의 <秋菊> (設色紙本, 68×34cm)
◇ 진반정(陳半丁)의 <秋菊> (設色紙本, 92.5×28cm)
◇ 진반정(陳半丁)의 <秋菊> (設色紙本, 98×30cm)
출처 : 청경우독(晴耕雨讀)
글쓴이 : 경화수월鏡花水月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