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 22

Franz Schubert: String Quartet No. 13 in A minor (the Rosamunde Quartet), D. 804, Op. 29

슈베르트(Schubert) (1797~1828/오스트리아)    String Quartet No. 13 in A minor (the Rosamunde Quartet), D. 804, Op. 29  Sini Simonen, Benjamin Bowman, Steven Dann, Richard Lester at the 15th Esbjerg International Chamber Music Festival 2013. 25th August at South Denmark's Music Academy,            The String Quartet No. 13 in A minor (the Rosamunde Quartet), D 804, Op. 29, was written by Franz Schubert be..

[서양미술 관련 책 두 권]사유하는 미술관:김선지/미술관에 간 역사학자:이석우

사유하는 미술관: 그림 속 잠들어 있던 역사를 깨우다 저자:김선지출간:2024.7.29 [소감] 도서관에서 책을 빌려와 읽다 보면 "아! 이 책은 직접 사서 곁에 두고 틈틈이 꺼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드는 책이 있다. 살 날이 얼마남지 않았고 물려줄 자손이 있는 것도 아니어서 포기하고 살지만 이 책이 그런 책 중의 하나이다. 꾸준히 나오는 서양미술 관련 신간 중에 가장 알찬 내용이 담긴 책중 하나.  처음에는 이미 읽은 책이 아니었나 생각했는데 내 블로그 검색 결과 안 읽은 책인 걸 확인해서 읽기 시작했다. 책의 앞부분에 익히 아는 내용(그림)이 많아서 긴가민가 하면서 읽어 내려갔다. 그러다가  알차고 깊이 있는 내용에 감탄하며 빠져들어 읽었다. 새로이 알게 된 작품, 화가도 많았다.  사실 우리가 익히..

[중국(조선족) 기록문학]잊혀진 진실:흑설

잊혀진 진실저자:흑설출간:2025.1.20 [소감] 재외동포(조선족)의 작품이란 걸 알게 되어 읽어보기로 한 작품. 조선족이라면 일제강점기에 일제의 학정을 못 견디고 중국의 만주 지역으로 이주한 것이 뿌리이니 그들의 삶이 얼마나 신산했을까를 알려주는 내용일 거로 기대해서였다.  작품은 작가가 가족소설이라고 소개했지만 기록문학으로 이해하며 읽었다. 소설적 장치가 전혀 없는 단순 구성이라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어서였다. 이런 류의 작품으로 최근에 읽은 게 대만을 배경으로 한 작품인 "홀여귀"인데 읽다가 중간에 그만두었었다. 다른나라의 유명인이 아닌 평범한 사람들의 가족사까지 굳이 알 필요가 있겠는가 싶어서였다. 그래도 글의 완성도가 높았다면 끝까지 읽어볼 생각을 했을 텐데 그렇지도 못해서 이래저래 중간..

Johann Franz Xaver Sterkel (1750-1817) - Piano Concerto No.1, 2

Johann Franz Xaver Sterkel    (3 December 1750 in Würzburg – 12 October 1817 in Würzburg) was a German composer and pianist in the 18th century.    Piano Concerto No.1 (1785)        Piano Concerto No. 2 in D major Op. 26, 1Kai Adomeit (piano), Bohuslav Martinu Philharmonic Orchestra, Zlin, Peter Lücker (conductor) [모차르트와 관련된 내용]His creative genius is evidently in this Concerto No.2 in D Major . ..

Antonín Vranický - Violin Concerto in C major,

Antonin Vranický (Wranitzky)   (June 13, 1761 in Nová Říše – August 6, 1820 in Vienna),was a famous Czech violinist and composer of the 18th century. He was the half brother of Pavel Vranický.  He was a pupil of Mozart, Haydn and Albrechtsberger, as mentioned in a letter from Pavel Vranický to the music publisher André.  Violin Concerto in C major  1. Allegro giusto2. Adagio. Romanza. Andante ca..

차이나 크라이시스-돌아온 트럼프, 위기의 중국:오세균

차이나 크라이시스: 돌아온 트럼프, 위기의 중국 저자:오세균출간:2024.12.23 [소감] 거침없이 질주하던 세계 2위 경제대국 중국의 경제가 심상치 않다는 얘기가 곳곳에서 들리고 있다. 성장세가 멈추고 본격적인 침체기에 접어들었다고도 한다. 경쟁국인 우리나라 입장에서는 다행한 일이라고 해야 하나? 그러나 중국의 이런 실정과 관계없이 걱정인 건 우리나라이다. 중국이 단순 제조업은 물론 첨단 산업 부문까지 우리나라를 앞지르고 있는 게 현실이어서이다. 철강, 조선, 화학, 소비재 분야는 물론 수출 효자 업종인 반도체 부문도 동등 내지는 추월할지도 모르는 단계에 와 있다고 한다. 이는 중국의 저임을 앞세운 수출 경쟁력 면에서의 우세가 주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또 전기타, 태양광 같은 일부 업종에서는 이미 우..

[일본(오키나와) 장편소설] 생명의 강, 시이노 가와:오시로 사다토시

생명의 강, 시이노 가와저자:오시로 사다토시출간:2020.9.15. [소감] 오키나와 문학 작품(소설)에도 관심이 많은 편이다. 이유는 딱 한 가지이다. 태평양 전쟁기에 같은 일본에 속하면서도 자국 군인에 의해 비참하게 죽은 민간인이 많다는 내용을 알게 된 때문이었다. 국가 권력을 휘두르는 인간들에 의해 무참하게 죽어나가는 민간인들의 삶이 평범한 삶을 사는 나도 같은 상황에 처했다면 똑 같은 운명이었을 거라는 동병상련의 마음이 작용한 때문인 것 같다.  오키나와는 원래 독립왕국이었다, 그러나 에도막부 시절인 1606년 규슈지역의 웅번( 雄藩 :  에도 시대 일본에서 세력이 강한 번)인 사쓰마 번에 의해 반 속국이 되었다가 1875년 강제 병합당한 이후로 본토인과 다른 차별 속에 살았다. 그러다가 1945..

François Devienne - Symphonie Concertante for Flute, Oboe, Bassoon, Horn and Orchestra

François Devienne  François Devienne, attributed to Jacques-Louis David François Devienne (French: [dəvjɛn]; 31 January 1759 – 5 September 1803/44세)was a French composer and professor for flute at the Paris Conservatory. Symphonie Concertante for Flute, Oboe, Bassoon, Horn and Orchestra  He was the seventh of eight children born to Pierre Devienne and his second wife Marie Petit. Following early..

어떻게 극단적 소수가 다수를 지배하는가 - 우리의 민주주의가 한계에 도달한 이유:Steven Levitsky , Daniel Ziblatt

어떻게 극단적 소수가 다수를 지배하는가: 우리의 민주주의가 한계에 도달한 이유 저자:Steven Levitsky ,  Daniel Ziblatt 출간:2024.5.21 [소감] 유권자 1인당 1표에 의해 선출되는 방식을  통해  국가권력을 통치할 권력을 쥐어주는 민주주의란 제도가 권력을 올바르게 행사하지 않는 인물에게 주어졌을 경우 얼마나 취약한 제도인가를 실예를 들어 설명해 주는 양서. 읽을수록 현 우리나라가 처한 상황이 얼마나 심각한가를 뼈저리게 느낄 수 있었다. 자칫하면 몇십 년 간 숱한 피를  흘려 겨우 뿌리를 내린 민주주의가 그저 자신과 자신의 주변 인물들을 위해 권력을 독점하려고 했던 한 인물 때문에 망가질 뻔했던 현재가, 그리고 아직도 미해결 상태인 현재 상황이.  우리나라에 민주주의 제도(..

Isidore Bertheaume - Symphonie concertante pour deux violons (1787)

Isidore Bertheaume (ca. 1752 – 20 March 1802) was a French classical composer and violinist.             Symphonie concertante pour deux violons (1787)https://youtu.be/YX0iljzWQZ8Performers: Pierre Doukan (1927-1995, violin); Robert Gendre (violin); Orchestre de Chambre Louis de Froment; Louis de Froment (1921-1994, conductor) Symphonie concertante pour deux violons (1787) 1. Allegro moderato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