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읽는 정유재란 1597 저자 허남린, 김경태 외 | 푸른역사 | 2019.3.29.
명나라 시절엔 일본을 저지했으나-도요토미 히데요시가 병사하지 않았다면 결과는 모른다. 울산성 전투, 사천성 전투 모두 패했으니까- 청 나라 시절엔 패배하여 종주권을 잃고 결국엔 명나라 시절 그토록 염려하던 한반도 경유 중국 본토 침공을 당했으니 일본이란 나라 얼마나 무서운 나라인가? 영국과 마찬가지로 섬 나라가 가질 수 있는 장점- 외침에서 비교적 자유로워 지도층만 유능하다면 강대국으로 발전할 수 있다는 걸 역사가 증명하고 있다. 뭐 그래서 유능할 수 있게 된 건지도 모른다. 한반도 지배계층은 중국의 눈치를 보면서 자신들이 살아남기 위한 전략을 짠다는 것이- 여기에 피지배 계층의 안위는 안중에 없었다. 그저 착취의 대상이었을 뿐- 결국 외세에 무기력하게 되어 나라를 빼앗기고 말았으니.....
책소개 - 인터넷 교보문고
정유재란 발발 7주갑(420년)이 되던 2017년 10월 임진왜란 특성화 박물관인 국립진주박물관(관장 최영창)이 주최했던 국제학술심포지엄 ‘정유재란 1597’에서 발표되었던 글을 정리, 보완한 『처음 읽는 정유재란 1597』. 임진왜란을 온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정유재란 발발 전후 동아시아 3국의 전략과 강화협상 과정 등 총체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이 책에서 저자는 조선이 취한 일본과의 무타협주의와 조선의 굴복을 통한 철군 명분을 확보하기 위해 재침에 나선 일본의 선택, 최소한의 희생으로 전쟁을 끝내려 한 명군 지휘부의 전략 등을 통해 정유재란을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을 제시한다.
저자 : 허남린
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대학
저자 : 김경태
고려대학교 CORE사업단
저자 : 나카노 히토시
일본 규수대학
저자 : 완밍
중국 사회과학원 역사연구소
저자 : 천상승
중국 산둥대학
목차
책을 내며
1. 정유재란을 어떻게 볼 것인가_허남린
명분 대 무타협주의|일본군의 ‘복수전’과 조선?명의 격퇴 노력(1597년 7월~1598년 1월)|조선?명의 격퇴 재준비와 일본의 철병 명분 모색(1598년 1~9월)|조선?명 총공세의 허와 실(1598년 9~11월)|전근대 동아시아의 지정학적 지형의 변모
2. 정유재란 직전 조선의 정보 수집과 재침 대응책_김경태
또 다시 일어난 전쟁|강화교섭 결렬 원인과 통신사의 정보 파악|통신사의 정보 전달|조선의 대응책과 의의|조선의 외교력은 성장하였는가
3. 정유재란기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정세 판단과 정책_나카노 히토시
‘중국 공략’의 종결|동아시아 패권이 목표|강화교섭 과정|강화교섭의 파탄|게이쵸의 재파병
4. 정유재란 시기 명 조정의 재정 문제_완밍
은의 화폐화, 새로운 관점|전쟁 시기 명나라 재정 지출의 특징|전쟁 시기 명나라 재정 지출 개괄|명 조정의 전시 재정 조달 조치 다원화|전쟁 종료와 사후 처리|전체 전쟁 경비 추산
5. 정유재란 발발 후 명군의 전략과 남원 전투_천상승
들어가며|명조의 대일정책 조정과 전쟁 지휘체계의 중건|명조의 조선 원조 군사전략 구상|남원 전투와 그 실패 원인|마치며
6. 명량해전에 대한 몇 가지 이해의 방향_노영구
명량해전에 대한 그간의 이해를 뛰어넘어|명량해전에 대한 근현대 이해의 흐름|명량해전 직전 정유재란의 국면과 조?일 수군의 동향|명량해전 이후 전라도 지역 국면과 수군의 동향|육군과 수군의 움직임을 함께 보아야
7. 울산성 전투와 울산왜성_나동욱
들어가며|울산성 전투|울산왜성|마치며
8. 고니시 유키나가와 순천성 전투_도리쓰 료지
히데요시의 교섭 창구, 고니시 유키나가|순천 입성|순천성 모습|개전 전야|전투 양상|고니시 유키나가?유정의 화평교섭|일본군의 철수|종전 후 일본 상황
9. 사천왜성을 통해 본 한일관계: 왜성에서 선진공원으로_오타 히데하루
들어가며|사천왜성과 통양창성|사천왜성의 지성과 시마즈군|사천읍성에서 사천 선소로|근대의 사천왜성|현대의 사천왜성|한일관계의 표상, 왜성
주
참고문헌
찾아보기
출판사서평
한.중.일 3국 역사학자 9명 머리를 맞대다
눈이 번쩍 뜨이는 정유재란 뜯어보기
정유재란, 총체적으로 읽기
익숙하지만 생소한 정유재란
16세기 말 조선에서 벌어졌던 임진왜란은 한?중?일 동아시아 3국의 역사에 큰 파장을 일으켰다는 점에서 ‘동아시아 세계대전’ 또는 ‘동아시아 7년 전쟁’으로 불린다. 하지만 7년 내내 싸움만 한 것이 아니다. 1593년 제2차 진주성 전투 이후 명나라와 일본 간에 평화협상이 4년여 진행됐으며 이것이 결렬되자 1597년 일본군은 한반도를 재침한다. 정유재란이다.
정유재란 하면 우리에게 다소 생소하다. 임진왜란의 뒤끝, 명량?노량해전의 승리, 이순신의 장렬한 죽음 등 이순신과 수군의 활약이 떠오른다. 그러나 임진왜란을 온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정유재란 발발 전후 동아시아 3국의 전략과 강화협상 과정 등 총체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이 책은 정유재란 발발 7주갑(420년)이 되던 2017년 10월 임진왜란 특성화 박물관인 국립진주박물관(관장 최영창)이 주최했던 국제학술심포지엄 ‘정유재란 1597’에서 발표되었던 글을 정리, 보완한 것이다. 그간 정유재란을 정면으로 다뤘던 책이 거의 없었던 점에 비추어 이 책은 출간 자체만으로도 한국사에 관심 있는 독자에게는 드물고 귀한 선물이라 할 만하다.
전쟁사를 넘어 외교?경제?건축 등 입체적 조명
이 책의 가장 큰 미덕은 한?중?일 3국 학자들의 ‘합작’이라는 점이다. 저마다의 관심사를 가지고 자국 사료를 분석한 덕분에 정유재란 당시 당사국 내부에서 어떤 일이 벌어졌는지를 다각적으로 보여준다. 예를 들면 소유구(필리핀)에 입공入貢을 재촉하는 서한에서 “스페인 왕도 바닷길이 멀다 하니 내 말을 가벼이 여기지 말라. …… 대명이라고 할지라도 정토하려고 한다. 너희 나라도 빨리 본조에 복속하는 것이 지려 깊은 선택일 것이다”(92쪽)라는 둥 히데요시의 자존망대한 내면을 보여주는 사료를 소개한 대목이 그것이다.
불과 9편의 글이지만 울산성?순천성 전투와 명량해전 등 전쟁사 복원에 그치지 않고, 일본 현지에서 벌어진 숨 가쁜 강화교섭은 물론 《만력회계록》 등 명나라의 전비戰費 규모와 조달 조치, 고고학적 발굴 성과를 바탕으로 한 울산왜성 탐구 등 정유재란의 다양한 얼굴을 보여준다.
정유재란을 이해하는 새로운 프레임
정유재란은 임진왜란의 단순한 재판이 아니었다. 서론 격인 허남린 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대UBC 교수의 글이 이를 분명히 보여준다. 일본에 대한 조선의 무타협주의와 철군 명분을 확보하기 위해 기를 쓰다 결국 재침에 나선 일본, 최소한의 희생으로 전쟁을 끝내려 한 명군 지휘부의 전략이 어우러지는 모습은 정유재란에 관한 이해의 폭을 넓혀준다.
일본 수군의 서해 진입을 저지한 명량해전을 다룬 6장 ‘명량해전에 대한 몇 가지 이해의 방향’도 마찬가지다. 일본은 일본 측 자료에서 확인되지 않는다는 이유로 명량해전의 존재를 부정하고 있...다든가 “거제 현령 안위는 이순신의 분부를 받아 큰 전함 한 척을 가지고 조수를 이용해 명량의 적진에 충돌한 다음 혈전을 벌여 적선 500여 척을 벽파정 아래에서 격파했다”(216쪽)는 이항복의 글을 통해 명량해전의 주역과 장소에 관한 이설異說을 소개하는 대목이 그렇다.
새로우면서도 꼼꼼한 사실史實 수두룩
역사책의 미덕은 뭐니뭐니해도 새롭거나 잊혔던 사실의 발굴, 소개다. 이 책은 그런 면에서 눈부신 역사적 정보가 가득한 보고寶庫라 할 수 있다.
정유재란을 맞는 조선의 대응은 무기력했던 임진왜란 때와 달랐다. 일본군이 언제 내습할지 파악했고 한강 사수 방침을 세우는 한편 승군?복수군, 그리고 북방 병졸 징발 등 병력 확보책을 세우고 조보朝報에 “적들이 나오더라도 내년 봄에는 나오지 못할 것”이라 기재해 민심 안정을 도모하기도 했다. 나름 만반의 대책을 세웠던 것은 우리 대부분이 몰랐던 뜻밖의 사실이다.
일본 측 사정도 낯선 것이 여럿이다. 히데요시의 최측근 고니시 유키나가와 가토 기요마사가 화전和戰 양면으로 갈려 내분 상태였고, 화의 조건으로 조선 왕자의 인질과 하3도 할양을 요구하는 등 명분 확보와 조선 점령을 겨냥했다는 사실이 나온다. 조선 백성들의 코를 베어 전공으로 삼은 ‘코 베기’가 임진왜란이 아니라 정유재란 시기에 자행됐다는 것도 기존 상식과는 다르다. 명나라 장수가 선조를 대하는 자세나 군량 조달과 전후 처리를 둘러싼 고심도 이 책에서나 만날 수 있는 디테일한 사실들이다.
비단 임진왜란에 국한된 이야기는 아니지만 언제까지나 일본은 악, 한국은 피해자란 틀로 양국 관계를 바라볼 수는 없다. 새로운 한?일 관계를 정립하기 위해선 극일克日이 선행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선 역사를 제대로 알아야 한다. 400여 년 전 정유재란을 정확히 보아야 하는 이유다. 이 책은 ‘처음 읽는’이라는 제목에 걸맞게 정유재란을 늦었지만 제대로 보기 위한 뜻깊은 첫 걸음이다.
처음 읽는 정유재란 1597, 무엇을 말하고 있는가
정유재란 어떻게 볼 것인가: 전쟁 추이와 삼국의 전략 구도
일반적으로 정유재란 발발 직전 강화협상과정에서 조선은 항상 수동적이었으며, 명의 강요로 어쩔 수 없이 교섭에 동참할 수밖에 없었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허남린 교수는 조선이 취한 일본과의 무타협주의와 조선의 굴복을 통한 철군 명분을 확보하기 위해 재침에 나선 일본의 선택, 최소한의 희생으로 전쟁을 끝내려 한 명군 지휘부의 전략 등을 통해 정유재란을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을 제시했다.
정유재란 직전 조선의 정보 수집과 재침 대응책
1596년 9월 강화교섭이 결렬되었다는 소식을 접한 후 조선이 이러한 정보에 대내외적으로 어떻게 대응했으며, 1597년 7월 도요토미가 ‘재침’하기까지 어떠한 조치를 취했는지 상세하게 검토했다. 특히, 교섭의 결렬의 상황을 가장 가까이에서 기록한 황신의 《일본왕환일기日本往還日記》를 재검토하여 조선은 도요토미의 재침에 결코 속수무책으로 당하지 않았고, 다시 전쟁이 재발하지 않도록 외교적으로 모든 수단과 방법을 동원했다는 점을 부각시켰다.
정유재란기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정세 판단과 정책
1593년 4월 말, 명의 칙사를 항복의 사절로 해석한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명나라와의 관계가 대등하지 않으며 일본 쪽이 우위에 있다는 인식을 바탕으로 7개 교섭 조항을 요구했다. 결과적으로 교섭은 불발되었지만 히데요시는 명과의 명목상 강화를 성립시키고 오직 조선과 전쟁을 계속하려고 한 흔적들이 보인다. 명분이 서지 않는 형태로 전쟁을 끝낼 수는 없었던 히데요시는 전쟁 승리의 증거로 한반도 내의 영토를 확보해야 했고 이에 정유재란이 발발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정유재란 시기 명 조정의 재정문제-은을 중심으로 한 초보적 고찰
전쟁사에서 중요한 문제인 전쟁비용, 특히 장기간 지속된 임진왜란에 대해 경제사적 해석을 시도한 연구다. 《만력회계록萬曆會計錄》을 전거로 만력萬曆 초기 명 전국 재정의 총 수입을 추산했으며, 임진왜란?정유재란에 투입된 전쟁 비용을 2,000만 냥 이상으로 보고 있다. 이러한 재정 지출이 전쟁의 승리에 결정적이 요인이 되었다고 추정했다.
정유재란 발발 후 명군의 전략과 남원 전투
정유재란 발발 직후 명明 조정의 원조어왜援朝禦倭전략 변경과 전쟁 지휘체제의 개편, 조선 지원의 군사적 전략 수립에 따라 파견된 명군의 남원전투 패배 원인 등을 중국 측 자료와 시각으로 고찰했다. 이 논고를 통해 정유재란기 명군의 조선파건의 경위와 남원성 전투, 이후 정유재란 극복에 있어서 명군의 역할을 이해할 수 있다.
명량해전에 대한 몇 가지 이해의 방향
명량해전 이후 일본 수군의 서해 진입이 좌절되어 전쟁의 국면이 변화했고 이러한 조선 수군의 존재로 인해 일본 육군의 경상도 지역으로의 철수했다는 것을 언급했다. 한편 육상을 통해 조선의 해상 거점이었던 진도 일대를 장악한 일본군으로 인해 조선 수군은 진도 일대를 장악하지 못했다.
울산성 전투와 울산왜성
정유재란의 가장 중요한 전투 중 하나인 울산성 전투의 역사적인 전개상황과 울산왜성에 대한 고고학적인 조사내용을 정리했다.
울산왜성은 아사노 요시나가가 1597년 10월부터 40여 일간 16,000명을 동원하여 만들었으며, 가토 기요마사加?淸正가 주둔한 성곽이다. 울산성은 40여 일이라는 짧은 시간에 축조되었지만, 2차(1597년 12월/1598년 9월)에 걸친 조?명 연합군의 집중 공격에도 함락되지 않았을 정도로 방어력을 갖추고 있었다.
고니시 유키나가와 순천성 전투
임진전쟁에서 유키나가는 처음부터 히데요시로부터 일본 측 화평교섭의 창구 역할을 맡았고, 동시에 조선 재진의 각 장수에게 히데요시의 의향을 전달하는 역할을 맡는 등 히데요시의 뜻이 구체화될 수 있도록 행동했다. 1597년에 시작된 재침에서도 히데요시가 목적한 경상도, 전라도의 실효지배를 주도하고 이를 바탕으로 ‘일본의 체면’이 설 수 있는 조건으로 화평체결을 진행해야 할 입장에 있었다. 유키나가가 일관되게 순천성 유지와 화평교섭의 진전에 집착하는 것은 이러한 유키나가의 기본적인 입장에서 이해할 수 있다.
사천왜성을 통해 본 한일관계: 왜성에서 선진공원으로
왜성은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당시 남해안 일대에 일본군에 의해 만들어진 성곽이다. 왜성의 하나인 사천왜성은 시마즈 요시히로島津義弘가 주둔한 곳으로 정유재란 당시 치열한 격전지 중 하나인 사천전투의 무대이기도 하다.
조선시대에는 조선의 전승을 기념하는 장소에서 부터 일제강점기 식민지배의 정당성을 나타내고 사천왜성과 관련성이 깊은 시마즈 가문에 의한 조상의 현창을 위한 장소, 독립 후에는 이순신 등 조선 수군의 활약과 한국전쟁의 위령 장소로 시대에 따라 변화했다.
'♣ 책 도서관 ♣ > - 역사, 정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폴레옹 전쟁:저자 그레고리 프리몬-반즈, 토드 피셔 (0) | 2021.09.03 |
---|---|
[미국]기지국가-미국의 해외 군사 기지는 어떻게 미국과 세계에 해를 끼치는가 (0) | 2021.08.31 |
세종은 과연 성군인가, 우문에 대한 현답: 권오향, 김기섭 외 (0) | 2021.08.12 |
관점-오늘을 관찰하며 미래를 전망하다: 쑹훙빙 (0) | 2021.08.10 |
[일본 역사]조선을 탐한 사무라이 - 상투 잡은 선비, 상투 자른 사무라이/이광훈 (0) | 2021.08.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