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무라 헤이타로 木村 兵太郎 | |
생몰연도 : 1888년 9월 28일 ~ 1948년 12월 23일 (60세) |
1. 개요
진짜로, 사람이 아니야!
다른 건 다 참아도 이 놈과는 같이 일하기 싫다!전임 육군차관 아나미 고레치카
솔직히 이놈과는 말하기가 싫다!
일본 제국의 군인으로, 구 일본군 육군 장성. 별명은 버마의 도살자 (Slaughter of Burma)였다.
삼간사우에서 사우에 해당되는 인물. 이 인간은 다른 삼간사우들에 비해서는 물론이요, 심지어 삼대오물들보다도 더 욕을 먹으며, 나아가 혹장(酷將)으로 유명한 하나야 타다시보다도 훨씬 많은 욕을 먹는다. 오죽하면 오카무라 야스지와 더불어 최악의 일본군 중 한 명인 일본군 위안부 공동 창시자였던 오카베 나오사부로(岡部直三郎)마저 "솔직히 이놈과는 말하기가 싫다."라고 학을 뗐을 정도다. 게다가 오카무라 야스지 역시 사람 취급을 안했다.
삼간사우에서 사우에 해당되는 인물. 이 인간은 다른 삼간사우들에 비해서는 물론이요, 심지어 삼대오물들보다도 더 욕을 먹으며, 나아가 혹장(酷將)으로 유명한 하나야 타다시보다도 훨씬 많은 욕을 먹는다. 오죽하면 오카무라 야스지와 더불어 최악의 일본군 중 한 명인 일본군 위안부 공동 창시자였던 오카베 나오사부로(岡部直三郎)마저 "솔직히 이놈과는 말하기가 싫다."라고 학을 뗐을 정도다. 게다가 오카무라 야스지 역시 사람 취급을 안했다.
2. 생애
2.1. 출생과 성장
1888년 사이타마에서 출생한 기무라는 1908년에 육사 20기로 졸업한 후 야포병 제16연대에 소위로 부임했다. 1916년 육군대학 28기를 수료한 기무라는 1917년부터 참모본부에서 일했는데 1922년에는 독일 주재 무관으로 파견되기도 했다. 1923년 귀국 후 소좌로 승진한 기무라는 1925년까지 육군대학에서 교관직을 맡다가 1926년에 포병 제24대대장으로 임명받아 현직부대로 돌아왔다. 1928년 중좌 계급이었던 기무라는 포병감 부원으로 일하다가 1929년 런던 군축조약에 일본대표의 일원으로 참석도 했다. 1931년 대좌로 승진해 야포병 제22연대장을 했는데 1935년 육군성의 정비국 과장을 거쳐 1936년 소장으로 승진해 육군성 병기국의 국장에 올랐다. 1939년 중장으로 승진해 제32사단장으로 부임한 기무라는 1940년 만주로 파견가 관동군 참모장을 지냈다. 1941년엔 육군차관이었다가 1944년 8월에 버마 방면군의 사령관으로 현지에 부임했다.
2.2. 만행
기무라 헤이타로가 군부에 있었을 시절 저지른 만행은 뭣 모르는 사람들 입장에서도 경악할 만큼 가히 충격적이었다. 오죽하면 별명에 '도살자'라는 이름이 붙었겠는가. 이 사람 하나 때문에 죽어나간 사람만 해도 수십만 명에 달한다. 이 때문에 주변 동료들도 이 작자만큼은 사람 취급을 안했다.
제32사단장 시절 산둥 지역에 근무할 당시, 중국인들을 끌고와서 2,000여명의 주민들을 강제 노동으로 혹사시키고 반항하는 8,000여명의 주민들을 대량학살하고 끔찍한 고문을 자행하는 만행을 저질렀다.
그리고 만주지역 사령관시절, 만주지역 주민들을 강제 노동으로 쓰고자 수만명을 동원했으며 이중 저항하는 수천 명의 주민들을 무자비하게 학살했다. 그리고 끌려간 주민들에게 도망도 못가게 고압선을 치고 추위와 굶주림으로 수천명, 고문으로 수천명을 죽였다. 이때, 얼마나 많은 시민들이 죽었는지, 시체가 산을 이루었다고 한다.
거기다가 팔로군을 진압한답시고 팔로군이건 민간인이건 방해되는 것은 모조리 죽여버리라는 명령을 하달해서 대량학살을 저질렀다.
그리고 육군 차관시절 바탄 죽음의 행진을 비밀리에 명령한 것도 바로 기무라 헤이타로이다. 어느날 갑자기 14군 전체에 미군 포로를 처형하라는 구두명령이 왔는데, 바로 츠지 마사노부가 자기가 진심으로 존경하는 기무라 헤이타로의 비밀명령을 그대로 따라서였다. 그 때문에 수많은 포로들이 죽었다.
게다가 기무라 헤이타로 역시 위안부 범죄와 관련이 되어 있는데 원래 일본 여성 중에서 고용되어 장교들의 현지처 역할을 했던 위안부를 병사 대상으로 확대해, 현지 조달 방식을 채용하고 대량 차출로 바꾼 장본인 되겠다. 물론 창시한 건 오카무라 야스지지만, 규모를 키워 전쟁범죄로 만든 것은 바로 기무라다.
여기서 충격적인 일화가 있는데, 당시 상하이 일본군 참모장 츠지구치 게이시치로가 인간 쓰레기 기무라에게 “위안부 50명 무사히 도착. 부족하니 20명 추가 요청. 앞으로 인원이 더 필요하면 다시 문서를 보낼 테니 양지 바람.”이라고 문서를 보내자 당장에 달려와서 뺨을 갈기면서 호통을 지르며 "70명 가지고 뭐하겠다고? 소꿉장난하냐? 적어도 1000명은 더 보내 달라고 해야 될 거 아냐!"라는 망언을 했다고 한다.
제32사단장 시절 산둥 지역에 근무할 당시, 중국인들을 끌고와서 2,000여명의 주민들을 강제 노동으로 혹사시키고 반항하는 8,000여명의 주민들을 대량학살하고 끔찍한 고문을 자행하는 만행을 저질렀다.
그리고 만주지역 사령관시절, 만주지역 주민들을 강제 노동으로 쓰고자 수만명을 동원했으며 이중 저항하는 수천 명의 주민들을 무자비하게 학살했다. 그리고 끌려간 주민들에게 도망도 못가게 고압선을 치고 추위와 굶주림으로 수천명, 고문으로 수천명을 죽였다. 이때, 얼마나 많은 시민들이 죽었는지, 시체가 산을 이루었다고 한다.
거기다가 팔로군을 진압한답시고 팔로군이건 민간인이건 방해되는 것은 모조리 죽여버리라는 명령을 하달해서 대량학살을 저질렀다.
그리고 육군 차관시절 바탄 죽음의 행진을 비밀리에 명령한 것도 바로 기무라 헤이타로이다. 어느날 갑자기 14군 전체에 미군 포로를 처형하라는 구두명령이 왔는데, 바로 츠지 마사노부가 자기가 진심으로 존경하는 기무라 헤이타로의 비밀명령을 그대로 따라서였다. 그 때문에 수많은 포로들이 죽었다.
게다가 기무라 헤이타로 역시 위안부 범죄와 관련이 되어 있는데 원래 일본 여성 중에서 고용되어 장교들의 현지처 역할을 했던 위안부를 병사 대상으로 확대해, 현지 조달 방식을 채용하고 대량 차출로 바꾼 장본인 되겠다. 물론 창시한 건 오카무라 야스지지만, 규모를 키워 전쟁범죄로 만든 것은 바로 기무라다.
여기서 충격적인 일화가 있는데, 당시 상하이 일본군 참모장 츠지구치 게이시치로가 인간 쓰레기 기무라에게 “위안부 50명 무사히 도착. 부족하니 20명 추가 요청. 앞으로 인원이 더 필요하면 다시 문서를 보낼 테니 양지 바람.”이라고 문서를 보내자 당장에 달려와서 뺨을 갈기면서 호통을 지르며 "70명 가지고 뭐하겠다고? 소꿉장난하냐? 적어도 1000명은 더 보내 달라고 해야 될 거 아냐!"라는 망언을 했다고 한다.
2.3. 전술상의 실책
1945년 영국군이 버마로 진공을 개시하자 버마의 방위는 수세에 몰렸다. 기무라는 영국군의 버마 침입을 알고는 공포에 질려 부들부들 떨면서 아무런 지휘를 하지 못했다. 정말 어이없게도 학살을 저지를 때에는 아주 기분이 좋았다고 한다.
4월 13일에 버마의 수도 랑군 북서부의 방위선을 지휘하던 28군 사령관이던 사쿠라이 쇼조 중장은 현지에서 벗어나려는 기무라에게 "전쟁 진행 속도가 빨라 랑군이 전장이 되는 건 시간 문제다. 랑군이 공격받는데 방면군 사령관이 이동하거나 달아나면 작전상 곤란을 초래한다."라고 비판했다. 사쿠라이 쇼조 중장은 다시 "방면군 사령부를 빨리 시암 고원으로 전진시켜 제1선에서 지휘하시오."라고 진언했지만 기무라는 이를 기각했다.
방면군 참모장이던 다나카 신이치(田中新一)(위에서 언급한, 학살 반대했다고 같이 처형당한 참모장의 후임)도 "방면군 사령부는 의연하게 랑군에 남아 현실적인 통제를 가하면서 정신적으로 중심을 잡아야 방면군 스스로가 랑군을 지켜낸다."고 주장했지만 기무라는 다나카가 출장을 나가 있는 때를 틈타서 사령부의 철수를 결정했다.
4월 23일에 기무라는 막료들과 함께 비행기로 랑군을 탈출해 태국 국경지대인 몰메인으로 철수(사실상 도주)했다. 전선에서 고생하던 예하 부대 및 일본이 지원하던 버마 정부의 바 모우 수상, 자유 인도 정부의 찬드라 보스 주석 및 일본 거류민들을 헌신짝처럼 버리고 만 것이다. 남은 사람들은 육지로 탈출했는데, 거기서 많은 희생자가 나왔다. 여기서도 일제에도 사람이 있었다라고 평가될 정도로 참된 군인인 미야자키 시게사부로도 이 당시에 버마에 있었는데 이 막장 사령관이 도망갔다는 소식에 어쩔 수 없이 후퇴하다가 자신의 부대원들이 분리되어 정글 속에서 죽었는지 살았는지 알 수 없어서 죽을 때까지 평생 PTSD로 앓았다고 한다. 죽을 때 혼수상태에서 남긴 말이 "작중 분리된 부대를 어떻게 해서든 장악해야 한다!"[2]라고 말했고 시게사부로는 평생동안 부하들을 살리지 못한 자책과 고통에 시달렸어야 했다.
4월 13일에 버마의 수도 랑군 북서부의 방위선을 지휘하던 28군 사령관이던 사쿠라이 쇼조 중장은 현지에서 벗어나려는 기무라에게 "전쟁 진행 속도가 빨라 랑군이 전장이 되는 건 시간 문제다. 랑군이 공격받는데 방면군 사령관이 이동하거나 달아나면 작전상 곤란을 초래한다."라고 비판했다. 사쿠라이 쇼조 중장은 다시 "방면군 사령부를 빨리 시암 고원으로 전진시켜 제1선에서 지휘하시오."라고 진언했지만 기무라는 이를 기각했다.
방면군 참모장이던 다나카 신이치(田中新一)(위에서 언급한, 학살 반대했다고 같이 처형당한 참모장의 후임)도 "방면군 사령부는 의연하게 랑군에 남아 현실적인 통제를 가하면서 정신적으로 중심을 잡아야 방면군 스스로가 랑군을 지켜낸다."고 주장했지만 기무라는 다나카가 출장을 나가 있는 때를 틈타서 사령부의 철수를 결정했다.
4월 23일에 기무라는 막료들과 함께 비행기로 랑군을 탈출해 태국 국경지대인 몰메인으로 철수(사실상 도주)했다. 전선에서 고생하던 예하 부대 및 일본이 지원하던 버마 정부의 바 모우 수상, 자유 인도 정부의 찬드라 보스 주석 및 일본 거류민들을 헌신짝처럼 버리고 만 것이다. 남은 사람들은 육지로 탈출했는데, 거기서 많은 희생자가 나왔다. 여기서도 일제에도 사람이 있었다라고 평가될 정도로 참된 군인인 미야자키 시게사부로도 이 당시에 버마에 있었는데 이 막장 사령관이 도망갔다는 소식에 어쩔 수 없이 후퇴하다가 자신의 부대원들이 분리되어 정글 속에서 죽었는지 살았는지 알 수 없어서 죽을 때까지 평생 PTSD로 앓았다고 한다. 죽을 때 혼수상태에서 남긴 말이 "작중 분리된 부대를 어떻게 해서든 장악해야 한다!"[2]라고 말했고 시게사부로는 평생동안 부하들을 살리지 못한 자책과 고통에 시달렸어야 했다.
2.4. 어이없는 승진, 그리고 도망의 결과
그러나 황당하게도, 기무라 헤이타로는 도망 직후 육군 대장으로 승진했다. 기무라를 포함한 버마 방면군 사령부의 랑군 폐기로 방면군의 지휘계통은 큰 혼란에 빠졌다. 이라와디 강 서부에서 영국군과 교전하던 제28군은 적진에 고립되어 여기서 탈출하려던 부대원의 반수 이상이 죽었다. 버마와 인도에서의 일본군 피해는 전사자 총 약 14만 4천 명이었는데, 버마에서의 전사자 대부분은 기무라 헤이타로가 도망친 직후에 급증했다. 스스로 도망쳐 군인으로서의 지휘 책임도 저버렸고, 동맹국의 요인들도 깡그리 무시하며 달아난 기무라 헤이타로의 처사는 버마에서 살아 남은 사람들의 격렬한 비판을 받아야 했다. 그래서 도미나가 교지의 적전도주를 크게 징벌하지 못했다.
2.5. 전쟁 이후
전후 A급 전범으로 기소된 기무라는 극동국제군사재판에서 사형을 선고받았다. 기무라의 죄목은 제3차 고노에 내각, 도조 내각에서 육군차관을 지낸 일이었다.[3] 당시 일본의 육군장관은 총리대신이 겸했기에 실질적인 군사 책임자로서 기무라가 지목된 것이었다. 이런 이유로 군국주의자 항목에도 볼드체로 지정했다.
그러나 버마 방면군 사령관의 행동은 기소되지 않았다. 기무라는 육군차관 재직시의 책임으로 기소됐을 뿐만 아니라, 버마에서 민간인을 학살했다는 증언까지 나왔다.[4] 그리고 여기서 희대의 망언이 나왔다.
그러나 버마 방면군 사령관의 행동은 기소되지 않았다. 기무라는 육군차관 재직시의 책임으로 기소됐을 뿐만 아니라, 버마에서 민간인을 학살했다는 증언까지 나왔다.[4] 그리고 여기서 희대의 망언이 나왔다.
3. 평가
한마디로 요약하자면, 하나야 타다시의 잔혹함과 무타구치 렌야의 뻔뻔함, 도미나가 교지의 무능함이라는 삼박자가 고루 어우러진 일본군 최악의 장군 중 하나라 할 수 있다.
다른 A급 전범들과 비교해 보더라도 기무라 헤이타로는 죄질이 훨씬 무겁고 최악이었다. A급 전범이 될만큼의 죄는 짓지 않았기에 억울한 희생양이라는 시각이 지배적인 히로타 고키는 말할 것도 없고 난징 대학살의 책임을 지고 처형당한 마쓰이 이와네 역시 본인의 부재 중에 부하들이 멋대로 벌인 학살의 책임을 진데다가 정작 본인은 멋대로 학살을 저지른 부하들을 크게 질책하고 억울하게 희생당한 중국인들의 명복을 비는 등 최소한의 인간성은 가진 사람이었다. 그 외에 이타가키 세이시로나 무토 아키라 역시 전범이기는 하나 대놓고 대량학살을 저지르진 않았다. 하지만 결국 이들도 전범이라는 사실은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결론지어 이 작자와 비견될 인간말종은 전쟁의 총책임자인 도조 히데키나 그 악명높은 신멸작전을 주도한 도이하라 겐지, 포로의 인육을 먹은 다치바나 요시오 같은 인간들을 예시로 들수 있겠다.
다른 A급 전범들과 비교해 보더라도 기무라 헤이타로는 죄질이 훨씬 무겁고 최악이었다. A급 전범이 될만큼의 죄는 짓지 않았기에 억울한 희생양이라는 시각이 지배적인 히로타 고키는 말할 것도 없고 난징 대학살의 책임을 지고 처형당한 마쓰이 이와네 역시 본인의 부재 중에 부하들이 멋대로 벌인 학살의 책임을 진데다가 정작 본인은 멋대로 학살을 저지른 부하들을 크게 질책하고 억울하게 희생당한 중국인들의 명복을 비는 등 최소한의 인간성은 가진 사람이었다. 그 외에 이타가키 세이시로나 무토 아키라 역시 전범이기는 하나 대놓고 대량학살을 저지르진 않았다. 하지만 결국 이들도 전범이라는 사실은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결론지어 이 작자와 비견될 인간말종은 전쟁의 총책임자인 도조 히데키나 그 악명높은 신멸작전을 주도한 도이하라 겐지, 포로의 인육을 먹은 다치바나 요시오 같은 인간들을 예시로 들수 있겠다.
4. 기타
- 기무라의 아내는 버마의 학살과 버마 죽음의 철도 사건을 상세히 알고 있었으면서도 남편이 전범 재판에 올라갔는데 낙관적으로 상황을 보고 있었다. 민간인들을 학살하는 게 중범죄라는 걸 아예 몰랐을 가능성이 크다. 이후 그녀는 전범자의 유족회인 <시라기쿠(白菊) 유족회>의 회장이 되어 전범자들의 명예회복에 나서기도 했다. 유유상종.
5. 주요 이력
- 1929: 육군포병학교 강사
- 1929: 정식 임관
- 1929~1931: 런던 군축 회의 당시 일본 대표단 일원
- 1931~1932: 육군 22포병연대장
- 1932~1934: 육군포병학교 강사
- 1934~1935: 해안포병학교 조교수
- 1935~1936: 통제부, 경제동원국, 전쟁수석장관
- 1936~1939: 육군 전쟁기술부 책임자
- 1937~1939: 육군본부 참모
- 1939~1940: 32 사단 사단장
- 1940~1941: 육군 만주 사령관
- 1941~1943: 육군 차관
- 1943~1944: 최고 전쟁위원회 위원
- 1944~1945: 버마 방면 사령관
- 1948: 전범재판으로 사형을 선고받고 교수형
[1] 시마다 시게타로는 도조 히데키 내각에서 해군 대신과 군령부 총장을 역임한 태평양 전쟁 수행의 최고 책임자로, 당연히 군국주의자로 유명하다. 다시 말하자면, 그런 자마저 이렇게 아연실색할 정도니 미쳐도 보통 미친 게 아님을 알 수 있다.[2] 해석하자면 퇴각하면서 잃어버린 내 부대원들을 어떻게든 구출해야 한다는 의미.[3] 그 당시 일본군이 저지른 학살도 전부 기무라에게 보고했었다. 당연하지만 학살을 몰랐을 리가 절대로 없다. 오히려 이런 학살을 저지른 당사자들에게 크게 칭찬을 했고 학살을 권장했다.[4] 심지어 이 증언은 미얀마 주민이 한 게 아니라 위의 사쿠라이 쇼조 중장이 했다.[5] 1939년도 버마의 인구가 1600만이었는데 민간인 약 25만 명이 사망한 것으로 집계된다.[6] 심지어 변호인 중에는 황국신민서사를 창시했던 조선총독부 학무국장이었던 시오바라 도키사부로라는 자도 있었다. 그런데 이런 작자마저 학을 떼고 변호를 포기해 버렸다.[7] 친일 판사였다. 그래서 일본 전범들에게 매우 관대한 처분을 곧잘 내렸다.[나무 위키]
'♣ 역사(歷史) 마당 ♣ > < 일본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육군 황도파 청년장교들이 일으킨 반란사건] 2·26 사건(二・二六事件) (0) | 2020.04.11 |
---|---|
[구소은 장편소설 "검은 모래"의 배경으로 나오는 섬]미야케지마(미야케) 섬 (0) | 2020.03.20 |
[일본의 대표적 우익, 일진회 후원자, 흑룡회 창설자] 우치다 료헤이(일본어: 内田良平 (0) | 2020.02.06 |
[독립운동가 김익상에게 암살당할 뻔한 인물,제26대 내각총리대신 ]다나카 기이치 [田中 義一] (0) | 2019.12.17 |
[동양의 마타하리로 불린 여인] 가와시마 요시코(일본어: 川島 芳子) (0) | 2019.1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