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자혜(朴慈惠, 1895년 12월 11일 ~ 1943년 10월 16일)는 한국의 독립운동가이다.
1895년 12월 11일 경기도 고양군 숭인면 수유리(지금의 서울특별시 강북구 수유동)에서 출생하였고 지난날 한때 경기도 파주군 금촌면에서 잠시 유아기를 보낸 적이 있으며 그 후 한성부에서 성장하였다. 부친은 중인 출신의 박원순이고 모친에 대해서는 알려져 있지 않다.
한성부에서 자라던 그녀는 어린 시절 아기나인으로 입궁해 약 10여년 궁중생활을 하다 1910년 경술국치 이후 궁녀 신분을 벗어난 후 숙명여학교 기예과에 입학해 근대교육을 받고, 졸업 후 사립 조산부양성소를 다녔다. 졸업 후 경제적인 독립을 위해 조선총독부의원 산부인과의 간호부로 취업하였다.
1919년, 간호부 근무 당시 3·1 만세 운동으로 병원에 부상 환자들이 줄을 잇자, 많은 부상자들을 치료하던 과정에서 민족의 울분을 느끼고 함께 근무하는 간호사들을 모아 만세 시위에 참여할 것을 주장하였다.
그 후 일제 산하 기관에서 산파로 일하고 있는 자신이 부끄러워져 직접 행동에 나서기로 하고 직접 3·1 만세 운동에 참여하기 위해 ‘간우회’를 조직하였으며, 동 병원의 의사들과도 긴밀한 관계를 갖고 간호사들에게 동맹파업에 참여할 것을 주창하였고, 이로 인해 일경에 체포되었다가 병원장의 신병인도로 풀려났으며, 이후 북경으로 건너갔다.
북경에서 1919년 봄 회문(匯文)대학 의예과(1927년 연경대학으로 대학 개칭 후 연경대 의예과, 1949년 북경협화의원(北京協和醫院)에 전입)에 입학한 박자혜 선생은 북경 생활 1년 여를 지낸 1920년 봄, 평생의 반려자인 단재 신채호 선생을 만나 결혼하였고 대학을 중퇴, 이듬해 첫아들 신수범(신채호의 차남) 선생을 출산하였다. 그러나 1922년 둘째를 임신한 채 경제적 어려움때문에 남편과 헤어져 국내로 들어오고 말았다.
한편 신채호는 1923년 독립운동가인 약산 김원봉 선생을 만나 의열단 활동에 가담하였고, 박자혜도 남편 신채호와의 연락을 계속하면서 국내에서 가능한 독립운동을 지원하였다. 1924년 정의부가 결성된 후에 군자금을 모집하기 위해 정의부 요원이 국내로 파견되었을 때 박자혜 선생이 보천교 북(北)방주 한규숙을 중개하여 주었다. 나석주 의사가 토지수탈기관인 동양척식주식회사(1908년 설립)에 폭탄을 투척한 의거 당시에도, 서울의 길 안내를 지원한 것이 박자혜였다. 신채호 선생이 체포되어 1936년 2월 21일 여순감옥에서 전향하면 가출옥시켜주겠다는 유혹을 견디어내면서 옥고를 치르다 운명을 달리하기까지(조정래, 태백산맥 3권,해냄), 옥바라지는 물론 자녀 교육, 생계를 모두 떠맡아야만 했다.
신채호 선생이 세상을 떠난 후 둘째아들 신두범(신채호의 삼남) 마저 14세의 어린 나이로 생을 마감하자, 유일한 희망인 조국의 독립도 보지 못한 채 평생의 회한을 뒤로하고 1943년 병고로 홀로 세상을 떠났다.
대한민국 정부는 박자혜 여사의 공훈을 기리기 위해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위키백과 정리]
-----------------------------------------------
[상세 해설 보기]
- 1. 박자혜 - 나무위키2021.06.06.성명 박자혜(朴慈惠) 생몰 1895년 12월 11일 ~ 1943년 가족 남편 신채호 자식 장남 신수범 차남 신두범 출생지 경기도 고양시 또는 양주시 매장지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남상면 신채호 묘소 추서 건국훈장...[namu.wiki/w/박자혜 나무위키]
2. 단재 사당에서 박자혜 여사를 만나다 : 청주 신채호 사당과 묘소2021.06.15
이런 역작들을 집필할 수 있었던 것은 중국과 조선을 오가며 옥바라지를 한 부인 박자혜(1895.12.11.~ 1943) 여사의 공이 컸다. 당시의 풍습에 의해 1895년 16...[blog.naver.com/malgmi73/222398572317 오늘도 내일도 맑음]
[정보] 책: 베이징 후통의 중국사:저자 이창구 | 생각의길 | 2019.10.25.
제1장 독립운동가의 숨결이 깃든 거리
후통 답사 1번지, 난뤄구샹에서 만난 신채호 / 신채호·박자혜 부부가 신접살림을 차린 곳, 진스팡제
'♣ 역사(歷史) 마당 ♣ > - 인물, 단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동 출신 독립운동가 :김대락 (0) | 2024.10.03 |
---|---|
[정여립 모반 사건에 연루되어 본인은 물론 동생, 노모, 어린 아들까지 처형당한 인물] 이발(李潑) (0) | 2021.09.08 |
[한일합방에 분개하여 자결한 인물, 임꺽정의 저자 홍명희 선생의 아버지]홍범식(洪範植) (0) | 2021.08.16 |
[세종 시대- 첩, 노비를 학대하거나 살해하여 처벌받은 문신]권채, 이명균, 오승 외 (0) | 2021.08.13 |
[러시아 국적의 공산주의 계열 여성 독립운동가]김 알렉산드라[알렉산드라 킴] (0) | 2021.07.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