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사(歷史) 마당 ♣/< 일본 >

[전국시대:우에스기 겐신이 오다 노부나가를 이긴 전투]데도리가와 전투

Bawoo 2022. 8. 24. 11:25

 

데도리가와 전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데도리가와 전투교전국지휘관병력피해 규모
센고쿠 시대의 일부
 
 
우에스기 가문
 
오다 가문
우에스기 겐신 시바타 가쓰이에
20,000명 48,000명
정확한 숫자는 알 수 없음 1,000명 이상

데도리가와 전투(일본어: 手取川の戦い)는 일본 센고쿠 시대에 일어난 전투로, 덴쇼 5년 9월 23일(1577년 11월 3일)에 가가 국 데도리강(手取川)에서 우에스기 겐신과 오다 노부나가 사이에 벌어진 전투이다.

기록이 적어서 실상이 불명확한 점에서 그 귀추(우에스기 군 대승)와 규모에 대해서는 논의가 분분한 역사이다.

 

발단

덴쇼 4년(1576년), 에치고국의 우에스기 겐신은 노토국을 자신의 지배하에 두기 위하여 2만여의 군세를 이끌고 노토로 침공하였다. 당시 노토를 지배하던 하타케야마 가문(畠山氏)은 당주가 어렸기 때문에 중신 조 쓰구쓰라(長続連)가 실권을 장악하고 있었으며, 쓰구쓰라 등의 중신들은 우에스기 겐신의 침공에 대하여 호쿠리쿠에서도 굴지의 견성으로 유명한 나나오성(七尾城)에서 농성하기로 결정하였다. 전투는 이듬해 덴쇼 5년(1577년)까지 이어졌으나, 간토에서 우에스기 가문에 대한 호조 우지마사(北条氏政)의 공세가 격화되어 간토의 제장들에게서 구원 요청을 받은 겐신은 본거지 가스가 산성으로 일시적으로 철수하였다. 그 사이에 하타케야마 군이 우에스기 군에게 빼앗겼던 노토의 각 성들을 탈환하는 등 노토의 정세이 악화되자, 겐신은 전황의 반전을 위하여 같은 해 윤 7월 노토에 재차 침공하였다.

조 쓰구쓰라는 우에스기 군에 대항하기 위하여 백성과 조닌까지도 성 안에 수용하였으나, 갑작스런 상주인구 증가로 인한 분뇨 처리 능력이 한계에 달하였으나, 전투로 미처 손을 쓰지 못하였다. 이에 성 안 여기저기에 분뇨가 방치되는 비위생적인 상태로 역병이 창궐하여, 어린 당주 하타케야마 하루오마루(畠山春王丸) 마저 전염병으로 숨지는 등, 하타케야마 군은 위기 상황에 몰리게 되었다.

쓰구쓰라는 예전부터 연락을 취하고 있던 오다 노부나가에게 구원을 요청하기 위하여, 아들 조 쓰라타쓰(長連龍)를 사자로 삼아 노부나가의 거성 아즈치 성에 파견하였다. 노부나가도 겐신의 세력 확장을 저지할 필요성을 느껴, 그 자리에서 구원군 파견을 결정하여 중신 시바타 가쓰이에를 총대장으로 18,000여의 군세를 선발대로 보내고 노부나가 자신도 3만의 군세를 이끌고 출진하였다.

그러나 오다 군이 도착하기 전인 그해 9월 15일(10월 26일), 이전부터 쓰구쓰라가 실권을 잡은 것에 불만을 품고 있던 유사 쓰구미쓰(遊佐続光), 누쿠이 가게타카(温井景隆) 등 친 우에스기 파가 우에스기 군에 내응하여 모반을 일으켜, 쓰구쓰라를 비롯한 조 일족은 몰살당하고 나나오 성도 함락되었다.

전투

시바타 가쓰이에가 이끄는 오다 군 선발대는 나나오 성 함락을 알지 못한채 진군을 계속하였으나, 도중에 이전부터 가쓰이에와 사이가 좋지 않았던 하시바 히데요시가 의견 대립을 이유로 독단적으로 진영을 이탈하는 등 내부 통제가 흐트러져 있었다.

한편, 오다 군의 접근을 알게 된 겐신은 즉시 나나오 성에서 출진하여, 데도리강 부근에 있는 맛토 성(松任城)에 입성하였다. 이에 대하여, 가쓰이에는 전군이 데도리강 도하를 마쳤을 때 처음으로 나나오 성 함락과 우에스기 군의 맛토 성 입성 소식을 알게 되어 즉시 철수를 명하였으나, 철수 도중에 겐신이 직접 이끄는 우에스기 군의 추격을 받았다. 오다 군은 도하에 신경을 써야 하는 사정도 있어 이렇다 할 반격도 하지 못하고 추격군에게 일방적으로 공격당하였다고 한다. 그 결과, 오다 군은 1,000여 명의 사상자를 내고 더욱이 데도리강 도하에서 많은 익사자를 내는 대패를 거듭했다.

영향

오다군의 시바타 가쓰이에 등 유력 무장은 모두 무사하였으나, 이 패전의 결과로 노부나가는 겐신의 존재를 두려워하게 되었다고 전해진다.

이 승리로 노토에서 가가국의 대부분을 지배하에 두고 오다 가문과의 경합에서 우위를 점하게 된 겐신은 대동원령을 발하여, 다음해 3월에는 대규모 원정을 개시하려고 하였다. (원정 목표에서는 두 가지 설이 존재한다. 1.노부나가 타도와 상락을 위한 긴키 출병. 2.호쿠리쿠에서 우위를 확보하여 여유가 생겼으므로 후방 걱정 없이 간토로 출진하여 호조 우지마자를 정벌하기 위한 간토 출병. 근년에는 간토 출병 설이 유력하게 여겨지고 있다.) 그러나, 그 직전에 겐신이 병사하여, 원정은 실현되지 않았다.

대국적으로는 이 상황을 틈타 마쓰나가 히사히데가 시기 산성(信貴山城)에서 노부나가에게 반기를 들었다(시기 산성 전투). 다케다 신겐 사후, 거의 와해되어 있던 노부나가 포위망도 겐신의 죽음까지 일시적으로 기세를 올렸다.

전쟁의 규모에 관한 의론

데도리강 전투에 대한 기록이 적어서 그 실상은 명확하게 알 수 없고, 그 귀추(우에스기 군의 대승)나 규모에 대해서는 의론이 있다.

『신장공기』(信長公記)에는 「시바타 가쓰이에 등의 출진의 기술 및 하시바 히데요시의 전선 이탈」(柴田勝家等の出陣の記述及び羽柴秀吉の戦線離脱)이라는 기술은 있지만 합전의 기술은 없고, 『초케 가후』(長家家譜)에서는 「나나오 성으로 원군으로써 오다 군세 4만이 출진하였는데, 성이 함락되었다는 보고를 접하고, 히데요시는 싸우지도 않고 군진으로 돌아와버렸다」(七尾城への援軍として織田勢4万が出陣したが、落城の報に接し、秀吉は戦わずして帰陣した)라고 기술되어 있다.

메이지 시대(明治時代)에 이르러 편찬된 『대일본사료』(大日本史料)에는 데도리강에서 합전이 벌어졌고, 오다측 군세가 대패했다고 하는 기술을 채용하지 않았다. 『덴쇼 5년 9월 23일, 우에스기 겐신、가가 미나토가와(加賀湊川)에 출진하고, 거듭, 노부나가의 장수 시바타 가쓰이에 등, 병사를 거느려, 이 날, 겐신이 이를 추격하였다』(天正5年9月23日、上杉謙信、加賀湊川に出陣す、仍りて、信長の將柴田勝家等、兵を班す、是日、謙信、之を追撃す, 역대고안 ・ 笹生文書 ・ 원본 신장기原本信長記 ・ 북월군기北越軍記 ・ 월등가삼주지越登賀三州志 ・ 상산기담)라고 기술되어 있다.

일본의 사학자 이노우에 데쓰오(井上鋭夫)는 저서 『잇코잇키의 연구』(一向一揆の研究, 깃카와 고분칸吉川弘文館)에서 덴쇼 5년 9월 25일(이노우에의 주석이 있다)에 겐신측에 대해 형부경(刑部卿) 호안(法眼)인 시모쓰마 라이렌(下間頼廉)이, 노미 군(能美郡)의 하타모토(旗本)인 우쓰로 단바(宇津呂丹波)의 내자 호리 사이조(堀才助) 앞으로 보낸 편지에서 '야습(夜襲)'에 대해 감복하는 내용을 적고 있어서, 오다와 우에스기 양측 사이에 야간 전투가 있었다고 하고 있다.

-----------------------------------------------------------------------------------------------------------------

  • 오다노부나가 vs 우에스기 겐신, 도리가 전투엣츄의 나나오성[七尾城]은 우에스기에게 함락된 후여서 시바다[柴田]는 도리가[手取川]를 등 뒤로하는 배수의 진을 칠 수 밖에 없었다. 이 당시 오다 군의...川]가 범람하는 바람에 군대의 대부분이 섬멸되는 대패를 하게 되었다 . 이 전투에서의 대승으로 우에스기는 오다를 꺾을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갖게 되었고...지식블로그블로그2020.08.24

[정보] 책:일본 전국시대 130년 지정학(지도로 읽는다)

저자 코스믹출판 | 역자 전경아 | 이다미디어 |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