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 도서관 ♣/- 경제, 사회

2030 반도체 지정학:오타 야스히코

Bawoo 2024. 4. 15. 14:03

 

저자:오타 야스히코
출간:2022.8.5.
 
[소감] 수출로 먹고사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중요한 수출품인 반도체. 이젠 각 나라의 가장 중요한 전략자산이기도 하다. 특히 미국의 대 중국 견제에 있어 필수품목이기도 하다. 이 때문에 삼성전자, 하이닉스는 미국에 공장을 세워야 한다. 그런데 이와 관계없이 우리나라의 입지는 불안하기만 하다. 대만의 TSMC, 네덜란드의 ASML, 영국의 암,   반도체 종주국인 미국, 잃어버린 반도체 패권을 되찾으려는 일본 그리고  반도체 자립을 위해 온 국력을 기울이는 중국에 둘러싸여 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는 앞으로도 현재의 위상을 계속 지켜나갈 수 있을 것인가? 

이 책은 이에 대한 답을 제시하지는 않는다. 우리나라의 현실이 그만큼 어렵다는 걸 보여줄 뿐이다. 미, 중, 일본 외 싱가포르 등 모두 국력을 기울여 반도체 패권경쟁에서 우위를 점하려고 온갖 힘을 기울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우리나라도 그리하고 있는 것인지 나라 돌아가는 흐름을 보면서 답답하다는 생각만 든다. 온 국력을 기울여 지원해도 시원찮을 판인데 과연 그리하고 있는 것인지. 오히려 발목을 잡고 있는 건 아닌지 걱정이다. 반도체가 없는 우리나라, 상상만 해도  피크에서 내려오는 중은 아닌 건지 하는 불안감이 앞선다. 이게 어디 나만의 생각이겠는가. 나라의 앞날을 걱정하는 이들이라면 똑같은 마음일 것이다. ㅠㅠ

* 책에 관한 내용은 아래 책소개, 목차, 서평을 참고하기 바랍니다. 
 
 
 
[참고] 내가 읽은 반도체 전쟁 관련 책.(추천)
 
1. 반도체 삼국지: 권석준 출간:2022.10.12.
 

 

 

책소개

 

치열해지는 반도체 패권 전쟁,반도체 자립을 향한 미국, 중국, 대만, 유럽의 움직임 속 우리의 생존 전략은 무엇인가?

‘반도체 굴기(崛起)’를 선언한 중국이 반도체 수입 의존도를 낮추고 자국 생산을 확대하려는 움직임을 보이자, 2021년 4월 미국 백악관에서 열린 ‘반도체 CEO 서밋’을 시작으로 중국을 향한 미국의 견제가 본격화됐다. 미국은 화웨이 제제 등으로 중국을 직접 견제하는 한편 한국, 대만, 일본 등 나라에 반도체 동맹을 제안하며 사실상 중국을 고립시키는 데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미국은 미국 내 반도체 공장을 짓는 기업에 세제 혜택 및 보조금 지원 등을 약속하며 대신 향후 10년간 중국을 비롯한 비우호 국가에 투자를 제한할 것을 조건으로 내걸기도 했다.
이처럼 미국과 중국 사이의 양자택일 구도가 첨예해진 상황에서 한국은 어떤 선택을 해야 할까? 《2030 반도체 지정학》의 저자이자 《닛케이신문》의 논설위원인 오타 야스히코는 “당장 눈앞의 경제적인 득실이 아닌 보다 거시적이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바라봐야 할 문제”라고 말한다. 출처 : 인터넷 교보문고

 

목차

추천의 글_ 강유종(SK하이닉스 일본법인장)
이 책을 펴내며_ 반도체를 통해 바라본 국제정치 게임

여는 글. 반도체 패권 경쟁의 서막
미국발 반도체 전쟁 ‘반도체 CEO 서밋’
2030 반도체의 의미
국가안보와 직결된 전략물자

1장. 바이든의 반도체 시나리오
애리조나에 몰리는 반도체 기업들
미국 중심의 반도체 공급망 구축
반도체 밸류 체인 속 핵심 기업
전 세계로 퍼진 반도체 산업정책 경쟁
Column 경제와 안보의 모호해진 경계

2장. 반도체를 둘러싼 국가 간 힘겨루기
심화된 미·중 디커플링
다시 냉전시대로, 부활한 미국 무역확장법
반도체 공급난에 멈춘 자동차 공장
한국과 일본의 충돌
Column 무기력해진 세계무역기구

3장. 대만 TSMC 쟁탈전
미·중이 대만을 차지하려는 이유
대중 견제 대열에 합류한 독일
일본-대만 반도체 동맹
TSMC 창립자의 작심 비판
Column 아쉬움 남긴 ‘일본 파운드리 구상’

4장. 시진핑의 백년전쟁
화웨이의 속내, 화웨이 일본지사 회장 인터뷰
반도체 자급자족의 꿈
중국의 다산다사 정책
일대일로의 기반, 붉은 연대 네트워크
중국의 실리콘밸리, 선전
Column 5G 일대일로
Column 7월 33일에 타결된 미·일 반도체협정

5장. 반도체 지정학
지정학으로 본 주요국들의 관계 및 전략
미국의 쇄국정책
중국의 자유무역
유럽의 특화 전략
Column 암차이나의 폭주

6장. 반도체 부활을 꿈꾸는 일본
도쿄대학과 TSMC가 설치한 기폭제
반도체전략 추진의원연맹 창설
TSMC 유치에 사활을 건 이유
광트랜지스터의 탄생
Column 일본 최후의 보루, 파워반도체

7장. 일본 반도체 산업의 숨은 강자
키옥시아의 낸드플래시 메모리
후지쓰의 A64FX
소시오넥스트의 로봇카 칩
Column 높은 기술력과 그렇지 못한 경영 능력

8장. 세계 곳곳에서 벌어지는 반도체 공방전
이지스 어쇼어, 무대 뒤의 공방
싱가포르의 조용한 침공
전쟁에 휩싸인 IT 국가 아르메니아
Column 푸틴의 레트로 전략

닫는 글. 2030년 반도체 전략
환태평양 반도체 동맹
그리기, 만들기, 쓰기
실리콘 사이클을 깨다

부록 1_ 작가와의 대담(대담자: 오타 야스히코, 강유종)
부록 2_ 반도체 산업을 주도하는 핵심 주체들
옮긴이의 글_ 반도체 격전장에서 살아남기 위해

출처 : 인터넷 교보문고

출판사서평

‘반도체 굴기를 선언한 중국이 반도체 수입 의존도를 낮추고 자국 생산을 확대하려는 움직임을 보이자, 2021년 4월 미국 백악관에서 열린 ‘반도체 CEO 서밋’을 시작으로 중국을 향한 미국의 견제가 본격화됐다. 미국은 화웨이 제제 등으로 중국을 직접 견제하는 한편 한국, 대만, 일본 등 나라에 반도체 동맹을 제안하며 사실상 중국을 고립시키는 데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미국은 미국 내 반도체 공장을 짓는 기업에 세제 혜택 및 보조금 지원 등을 약속하며 대신 향후 10년간 중국을 비롯한 비우호 국가에 투자를 제한할 것을 조건으로 내걸기도 했다.
이처럼 미국과 중국 사이의 양자택일 구도가 첨예해진 상황에서 한국은 어떤 선택을 해야 할까? 《2030 반도체 지정학》의 저자이자 《닛케이신문》의 논설위원인 오타 야스히코는 “당장 눈앞의 경제적인 득실이 아닌 보다 거시적이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바라봐야 할 문제”라고 말한다.
저자는 “지금은 미국에 파운드리가 없어 TSMC와 삼성을 미국으로 초대했지만, 한편으로는 인텔과 글로벌파운드리스에 대한 지원도 급격히 늘리고 있다. 인텔과 글로벌파운드리스가 TSMC와 삼성의 기술을 따라잡으면 어떻게 될까? 혹시 중국이 TSMC와 삼성을 넘어선다면?”이라는 질문을 던지며 “상황에 따라 어떠한 동맹이라고 해도 경쟁과 긴장 관계는 발생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또한 과거 ‘미·일 반도체협정’을 예로 들며 일본의 교훈을 살려 한국은 똑같은 실수를 하지 않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1980년대 미국은 미국 반도체 시장을 위협하는 일본을 압박해 반도체협정을 맺어 일본 반도체 산업을 쇠퇴시키고 그사이 미국 내 반도체 산업을 일으켜 세운 전적이 있다.
그때의 일본 상황을 떠올리며 “일본 정부는 미국과는 정치적, 군사적 동맹이기 때문에 경제에 있어서는 시장 논리와 민간기업의 실력이 중요하다고 생각했다”고 말한 저자는 “‘신뢰관계’의 의미가 동서양에서 다르기 때문에 미국과의 관계 유지 방법도 조심해야 한다. 이 책이 그 답을 찾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격변하는 국제 정세와 21세기 지정학 리스크를 한눈에
중국 반도체를 향한 미국의 견제가 집중됨에 따라 반도체 자립의 중요성이 대두되며 그 여파가 전 세계로 확산되고 있다. 미국과 중국뿐 아니라 대만, 한국, 싱가포르, 독일 등 세계에 퍼지는 위험을 감지한 나라들은 일제히 자국의 반도체 산업을 강하게 만들겠다고 달려들고 있다. 국제정치·경제의 흐름과 자국의 이해득실을 따지며 전략적으로 계산기를 두드리는 것이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점이다.
《2030 반도체 지정학》은 반도체를 둘러싼 세계 각국의 패권 경쟁과 국제 정세를 지정학적 관점에서 바라본 책이다. 특히 기술이나 반도체 전문가가 아닌 언론인이 쓴 책으로 복잡하게 얽힌 사회적 이슈와 현안을 쉽고 명쾌하게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특별하다. 뉴스 헤드라인 뒤에 숨은 의미를 기자 특유의 시각에서 통시적으로, 그리고 공시적으로 맛깔나게 엮어냈기 때문에 반도체를 둘러싼 각국의 의도, 국가별 장단점과 전략이 일목요연하게 정리된다. ‘다 아는 내용’이라 치부될 부분도 하나하나 되짚기에 폭넓은 이해와 객관적 해석에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한국어판 출간을 기념하여 강유종 SK하이닉스 법인장과 저자가 나눈 대담이 특별 수록되었다. 반도체 산업 종사자로 업계의 변화를 기민하게 파악하는 강유종 SK하이닉스 일본법인장의 날카로운 질문과 냉철하지만 핵심을 꿰뚫는 저자의 답변이 담겨 있다.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 등 2022년 급변한 정세 상황에 대한 견해, 중국 본토 내에 투자한 기업에 건네는 조언, 미·일 반도체협정을 겪은 입장에서 한국에 전하는 당부의 말 등 현 상황을 이해하고 타개하는 데 도움이 되는 혜안을 엿볼 수 있다. 출처 : 인터넷 교보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