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음악 감상실 ♣/[ 1749년 이전]

텔레만(Georg Philipp Telemann

Bawoo 2015. 12. 14. 17:56

   텔레만(Georg Philipp Telemann, 1681∼1767)

 



 18세기 초기와 중기에 활동한 게오르크 필립 텔레만(Georg Philipp Telemann)은 당시 독일 최고의 작곡가였다. 4000여 곡 이상의 방대한 작품에는 바로크와 전 고전주의 양식의 프랑스, 이탈리아, 독일 음악이 모두 포함되어 있다. 텔레만은 창작은 물론이고 연주와 이론, 음악교육 모두에 중요한 공헌을 하였다. 텔레만은 방대한 양의 작품을 창작했을 뿐만 아니라 20여 명에 이르는 당 시대 작곡가들의 작품의 편집 출판하였다.
텔레만의 오라토리오는 바로크 양식에 기초하고 있지만 전기 고전파 양식의 특징이 나타나는 진보성을 갖고 있다. 종교음악이라 해도 오페라 적인 특징이나 자신의 사상, 감정이 표현되어 있다. 바로크 적인 대위법으로 쓴 기악작품에도 기교적인 장식을 요구하지 않았고, 많은 기악작품에서 선율이 분명하고 악구가 규칙적인 양식을 보여주고 있다.
1733년에 작곡된 하프시코드 판타지들은 초기 소나타 형식의 시초가 되었다. 텔레만은 그의 교회음악과 세속음악을 모두 작곡하였다. 그는 음악회의 연주회 프로그램에서도 교회음악과 세속음악을 함께 올림으로 전통적인 연주회의 관습을 무너뜨리고 모든 종류의 음악을 즐길 수 있게 하였다. 또한 음악 교육에도 관심이 깊어서 음악의 편집과 출판에도 관여하였다.
텔레만의 이러한 시도는 교회음악이나 세속음악을 음악이라는 예술의 한 분야로 귀속시켰다는 점에서 현대의 예술관과 일치한다고 하겠다. 텔레만은 바로크 시대에 있어서 진보적인 작곡가였다. 그의 이름은 바하의 그늘에 가려져 알려지지 않았지만 20세기에 들어와서 그의 음악적인 업적이 재평가되고 있다.
* 독주 바이올린을 위한 Fantasie
바로크 기악 음악 가운데 소곡이지만 매우 중요한 범주 가운데 하나가 무반주 독주 바이올린 곡이다. 이 범주에 속하는 곡 가운데 현존하는 것은 비버(Biber)가 1681년 이전에 쓴 가 효시이며, 1720년 바흐가 쾨텐에서 쓴 <6개의 소나타와 조곡>에서 정점을 이루고 있다. 독주 바이올린을 위해 쓴 독일 작곡가들의 곡은 다성 서법이라는 특징을 지니고 있는데, 이것은 당시 바이올린이 오늘날의 바이올린보다 브리지가 낮고 활의 장력이 낮았다는 데서 가능하였다. 생애의 반 이상을 함부르크 시의 음악 감독으로 보냈던 텔레만은, 무반주 바이올린 곡인 12개의 환상곡(Fantasie)으로 된 조곡을 1735년이나 혹은 그 이전에 작곡하였다. 그는 역시 환상곡이라고 불렀던 비슷한 성격의 곡을 독주 풀루트나 합시코드를 위해서도 썼다.
텔레만의 독주 바이올린을 위한 환상곡은 윤곽이나 구조면에서는 분명히 이탈리아 소나타와 콘체르토와 연관되어 있을지언정 양식과 악상에 있어서는 독창적이다. 대다수 예48곡과 같이 빠르고 - 느리고 -빠른 3악장의 형태를 따르고 있으나, 몇 곡은 느리고 - 빠르고 - 느리고 - 빠른 4악장 형태를 취하고 있다. 느린 악장 가운데 많은 것은 이 예48곡의 느린 악장과 같이 두 개의 빠른 악장 사이에 존재하는 근접조로 된 짧은 경과부 역할 이상을 하지 않는다.
대다수 마지막 악장은 이 곡과 같이 무곡으로 되어있다. 독일 바이올린 음악의 특별한 속성이 이 곡에 잘 나타나 있는데, 말하자면 폴리포니와 더블 스톱(double stop)에 의해 나타나는 화음을 좋아한다는 점이다. 텔레만은 바이올린 주자로 유명하지는 않았지만, 그는 이 악기의 기교에 대해서는 철저히 이해하고 있었으며, 이 환상곡에서 지속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이중음은 매우 기교적이며 관용적으로 처리되어 있다. 개시부인 Vivace 부분의 구조는 바로크 시대의 콘체르토 그로소나 독주 협주곡(솔로 콘체르토)의 1악장과 매우 유사하다.
그 이유는 시작 부분이 곡 가운데서 세 번 이상 나타나며(마디 15, 34, 57), 그것은 협주곡의 투티 주제와 일반적으로 비교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투티들 사이에는 리듬 성격이 훨씬 활발한 다른 악상을 지닌 에피소드들이 존재하는데, 이러한 성격은 협주곡과의 유사성을 더욱 깊게 만드는데, 왜냐하면 그러한 패시지가 솔로적 요소를 나타내기 때문이다.
에피소드들은 비르투오소적 음형을 사용하며, 또한 이러한 음형들이 시퀀스에 의해 확대된다는 사실에 의해 주부와 다르다. 시퀀스는 주부에서는(주부를 세 번째 언급하는 곳--곡이 처음 두 마디를 시퀀스로 반복하는 마디 34~37--에서) 단 한 번 나타나는 것으로 그친다. 제2에피소드(마디 21~33)에서는 마디 29~32까지의 패시지의 종지 바로 앞에서 강한 클라이맥스를 연출한다. 그 과정을 보면 두 개의 선율선이 대위적으로 투사되는데 하나는 순차 상행, 하나는 하행하다 이어 도약 진행한다. 제3에피소드(마디 42~56)는 앞에 나오는 두 개의 에피소드의 재료를 결합시키고 있는데 처음 나올 때의 순서를 유지하고 있다. 마지막 에피소드(마디 63~72)는 화려한 코다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그것은 전혀 새로운 재료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제1에피소드(마디 7~14)가 최종 종지에 의해 확대된 변형체인 것이다.

1악장은 바흐의 이탈리아 협주곡을 환기시키는데, 독주 악기와 투티 악기군을 위한 협주곡의 형식과 양식을 독주 악기용 곡으로 맞춰 씌어졌다는 점에서 그러하다.
2악장인 는 관계 단조로 된 간주곡으로, 길이는 짧지만 엄숙한 성격을 지닌 점음표의 리듬, 카덴차, 그리고 풍부한 화성에 의한 분명한 음악적 성격을 지니고 있다. 네 개의 음으로 이루어진 화음이 선율선이 허락하는 한 사용되고 있다. 상성부가 a현을 연주해야 할 때는 화음은 반드시 세 음으로만 이루어진다.
3악장은 피날레로서 직설적인 지그이다. 두드러진 특징은 쾌활한 리듬을 지니고 있으며 이중음을 매우 효과적으로 사용하고 있는데 있다. 협주곡 원리는 이용하고 있지 않으며, 보편적으로 음악적 윤곽은 통상적인 2부 형식의 무곡이다. 메아리 효과를 노린 반복이 마디 6~7, 14~15, 18~19에 존재한다

 

Orchestral suites[edit]

  • Grillen-symphonie TWV 50:1
  • Ouverture (Wassermusik: Hamburger Ebb und Fluth) TWV 55:C3
  • Ouverture des nations anciens et modernes in G TWV 55:G4
  • Ouverture in G minor TWV 55:g4
  • Suite in A minor for recorder, strings, and continuo TWV 55:a2
  • Overture: Alster Echo in F, for 4 horns, 2 oboes, bassoon, strings and continuo, TWV55:F11

Chamber music[edit]

  • Sinfonia Spirituosa in D Major (2 violins, viola & continuo, trumpet ad libitum) TWV 44:1
  • Tafelmusik (1733) ('Tafelmusik' refers to music meant to accompany a meal)
  • Der getreue Musikmeister (1728), a musical journal containing 70 small vocal and instrumental compositions
  • Twelve Paris Quartets in two sets of six (Quadri a violino, flauto traversiere, viola da gamba o violoncello, e fondamento, 1730, reprinted as Six quatuors, 1736; Nouveaux quatuors en six suites, 1738) for flute, violin, viola da gamba or cello, continuo, TWV 43:G1,D1,A1,g1,e1,h1 (first set), TWV 43:D3,a2,G4,h2,A3,e4 (second set)
  • Twelve Fantasias for Transverse Flute without Bass TWV 40:2-13
  • Twelve Fantasias for Violin without Bass TWV 40:14-25
  • Six Canonical Sonatas TWV 40: 118-123
  • Six Concertos for Flute and Harpsichord TWV 42.

Concertos[edit]

Violin[edit]

Viola[edit]

  • Concerto in G Major for Viola and String Orchestra, TWV 51:G9; the first known concerto for viola, still regularly performed today
  • Concerto in G Major for Two Violas and String Orchestra, TWV 52:G3

Horn[edit]

  • Concerto for Two Horns in D Major TWV 52:D1
  • Concerto for Two Horns in D Major TWV 52:D2
  • Concerto for Horn and Orchestra in D Major 51:D8

Trumpet[edit]

  • Trumpet Concerto in D major, 51:D 7
  • Concerto in D for Trumpet and 2 Oboes, 53:D 2
  • Concerto in D for Trumpet, Violin and Violoncello, 53:D 5
  • Concerto in D for 3 Trumpets, Timpani, 2 Oboes, 54:D 3
  • Concerto in D for 3 Trumpets, Timpani, 54:D 4

Chalumeau[edit]

  • Concerto in C major for 2 Chalumeaux, 2 Bassoons and Orchestra, 52:C 1
  • Concerto in D minor for Two Chalumeaux and Orchestra, 52:d 1

Oboe[edit]

  • Concerto in A Major
  • Concerto in C Minor
  • Concerto in D Minor
  • Concerto in E Minor
  • Concerto in F Minor
  • Concerto in G Major
  • Sonata in A Minor
  • Sonata in G minor

Flute[edit]

  • Concerto in D Major, TWV51:D2
  • Concerto in E Minor for recorder & traverso, TWV51:e1

'♣ 음악 감상실 ♣ > [ 1749년 이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Late Baroque Concertos from Bohemia  (0) 2016.12.05
[오스트리아]Cristiano Giuseppe Lidarti   (0) 2016.11.21
Franz Xaver Richter  (0) 2015.03.23
Giovanni Battista Sammartini  (0) 2015.03.21
[독일] Anton Fils  (0) 2014.1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