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트리아의 마리아 카롤리나
나폴리 왕비
재위
1768년 5월 12일~1799년 1월 23일
1799년 6월 13일~1806년 5월 30일
시칠리아 왕비
재위
1768년 5월 12일~1814년 9월 8일
배우자
페르디난도 1세
본명
마리아 카롤리나 루도비카 요제파 요한나 안토니아
왕가
혼전:합스부르크로트링겐 왕가
혼후:부르봉양시칠리아 왕가
부친
신성로마제국의 프란츠 1세
모친
오스트리아의 마리아 테레지아
출생
1752년 8월 13일(1752-08-13)
오스트리아 대공국 빈
사망
1814년 9월 8일 (62세)
오스트리아 대공국 빈
종교
로마 가톨릭
오스트리아의 마리아 카롤리나 (이탈리아어: Maria Carolina d'Asburgo-Lorena, 1752년 8월 13일 ~ 1814년 9월 8일)는 신성로마제국의 황제 프란츠 1세와 그의 아내 마리아 테레지아의 열세 번째 자녀로, 스페인 국왕 카를로스 3세의 아들인 페르디난도 1세와 결혼하여 나폴리 왕국과 시칠리아 왕국의 왕비가 되었다. 그녀는 자신과 같이 부르봉 일족과 정략결혼한 파르마 공작 부인 마리아 아말리아, 프랑스 왕비 마리아 안토니아와 매우 친하였다.
나폴리의 실재 권력을 잡고 있었으며, 애인이라는 소문이 자자했던 총신 준남작 6세 존 액턴 경의 영향으로 영국을 가까이하고 프랑스를 멀리하는 정책을 폈다.
오스트리아의 여제 마리아 테레지아의 딸로 1768년 페르디난도 4세와 결혼했다.
왕은 권력의 상당부분을 아내에게 떠맡겼는데 혼인계약에 따라 마리아는 남아 상속자를 출산하면서(1777) 왕국의 통치기구인 국무위원회에 들어갔다. 그녀는 곧 자유주의 총리 베르나르도 타누치를 실각시키고 친(親)스페인 정책을 친영 정책으로 바꾸었다.
액턴의 영향을 받고 있었던 그녀는 프랑스인들이 동생인 마리 앙투아네트를 처형한 사건이 일어나자 프랑스 혁명에 대항하는 제1차 오스트리아-영국 동맹에 나폴리를 가입시켰고 나폴리 군함들을 파견해 툴롱 근처에 정박중인 영국함대에 합류하게 했다(1793). 나폴리는 제2차 동맹에도 가입했으나 프랑스군이 나폴리를 점령해 이를 파르테노페 공화국으로 선포하자(1798. 12) 마리아 카롤리나와 페르디난도는 피신해야 하는 신세가 되었다.
두 사람은 1799년 6월 공화국이 무너진 뒤 나폴리로 돌아왔으나 평화조약을 어기면서 공화국 지지자들을 대량학살하는 사건이 일어나 이 사건에 대해 적어도 부분적인 책임을 져야 했다. 1805년 영국과 러시아 함대에 지원을 요청하면서 다시 한번 대프랑스 전쟁에 참전했으나 프랑스 군대가 또 왕국을 점령하자 왕의 가족은 다시 시칠리아로 도망갔다(1806. 1). 전하는 바로는 마리아 카롤리나는 프랑스에 대항하는 유격대 지도자 프라 디아볼로에게 연금과 토지를 주었으며, 그의 뒤를 이어 유격대를 이끈 루포 추기경을 부추겨 칼라브리아를 약탈하도록 했다고 한다. 그녀는 마침내 영국 대사 조지 벤팅크 경과 불화를 일으켰고, 벤팅크에게 설득당한 페르디난도에 의해 시칠리아에서 추방되었다(1811). 그후 오스트리아로 돌아가 3년 뒤 죽었다.
자녀
마리아 카롤리나는 페르디난도 1세와의 사이에서 7남 11녀(총 18명)의 자녀가 있었다. 그중 12명의 자식이 요절하였으나, 살아남은 자식들은 프란체스코 1세, 아스투리아스 공작 부인 마리아 안토니아, 살레르노 공작 레오폴도를 제외하고는 모두 다른 나라의 군주 배우자가 된다.
이름 | 출생일 | 사망일 | 비고 |
---|---|---|---|
오스트리아 황후 마리아 테레지아 | 1772년 6월 6일 | 1807년 4월 13일 | 프란츠 1세와 혼인. |
토스카나 대공비 마리아 루이사 | 1773년 7월 27일 | 1802년 9월 19일 | 페르디난도 3세와 혼인. |
카를로 왕자 | 1775년 1월 6일 | 1778년 12월 17일 | 요절 |
마리아 안나 공주 | 1775년 11월 23일 | 1780년 2월 22일 | 요절 |
프란체스코 1세 | 1777년 8월 14일 | 1830년 11월 8일 | 오스트리아의 마리아 클레멘티나와 혼인. 스페인의 마리아 이사벨라와 재혼. |
사르데냐 왕비 마리아 크리스티나 | 1779년 1월 17일 | 1849년 3월 11일 | 카를로 펠릭스와 혼인. |
마리아 크리스티나 아말리에 공주 | 1779년 1월 17일 | 1783년 2월 26일 | 요절 |
젠나로 왕자 | 1780년 4월 12일 | 1789년 1월 2일 | 요절 |
주세페 왕자 | 1781년 6월 18일 | 1783년 2월 19일 | 요절 |
프랑스 왕비 마리아 아말리아 | 1782년 4월 26일 | 1866년 3월 24일 | 루이 필리프와 혼인. |
마리아 크리스티나 공주 | 1783년 7월 19일 | 1783년 7월 19일 | 요절 |
아스투리아스 공작 부인 마리아 안토니아 | 1784년 12월 14일 | 1806년 5월 21일 | 아스투리아스 공작 인판테 페르난도와 혼인하였으나, 그가 왕이 되기 전에 사망. |
마리아 클로틸다 공주 | 1786년 2월 18일 | 1792년 9월 10일 | 요절 |
마리아 엔리에타 공주 | 1787년 7월 31일 | 1792년 9월 20일 | 요절 |
카를로 왕자 | 1788년 8월 26일 | 1789년 2월 1일 | 요절 |
살레르노 공작 레오폴도 | 1790년 7월 2일 | 1851년 3월 10일 | 오스트리아 여대공 클레멘티나와 혼인. |
알베르토 왕자 | 1792년 5월 2일 | 1798년 12월 25일 | 요절 |
마리아 이사벨라 공주 | 1793년 12월 2일 | 1801년 4월 23일 | 요절 |
[출처: 정보-책/수집-위키, 다음백과]
'♣ 역사(歷史) 마당 ♣ > **중,서유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스트리아 제국 마지막 황비]Elisabeth von Wittelsbach (1837~1898) (0) | 2016.03.25 |
---|---|
[오스트리아]젊은 히틀러에게 영향을 준 극단적 범 게르만 주의자 - 쇠네러 [Georg Ritter von Schönerer] (0) | 2016.03.16 |
[오스트리아 장군-라데츠키 행진곡의 실제 모델]요제프 라데츠키(Joseph Radetzky (0) | 2016.01.01 |
<오스트리아-항가리 제국>호엔베르크 여공작 조피-제위 계승자 프란츠 페르디난트 대공의 배우자 (0) | 2015.06.28 |
오스트리아(Austria) (0) | 2015.06.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