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음악 감상실 ♣/* 작 품

Beethoven - Symphony No. 9 in D minor, Op. 125

Bawoo 2016. 3. 17. 23:17

 

 

Beethoven

Portrait by Joseph Karl Stieler, 1820
(17 December 1770 -- 26 March 1827) 

 

Symphony No. 9 in D minor, Op. 125

 

Leonard Bernstein Wiener Philarmoniker

 

The Symphony No. 9 in D minor, Op. 125 (also known as "the Choral"), is Ludwig van Beethoven's final complete symphony. Completed in 1824, the symphony is one of the best-known works in classical music.[1] Among critics, it is almost universally considered one of Beethoven's greatest works, and many consider it one of the greatest compositions in the western musical canon.[1]

The symphony was the first example of a major composer using voices in a symphony[2] (thus making it a choral symphony). The words are sung during the final movement by four vocal soloists and a chorus. They were taken from the "Ode to Joy", a poem written by Friedrich Schiller in 1785 and revised in 1803, with additions made by the composer. Today, it stands as one of the most played symphonies in the world.

In 2001, Beethoven's autographed score of the Ninth Symphony, held by the Berlin State Library, was added to the United Nations Memory of the World Programme Heritage list, becoming the first musical score so honored.

 

A page from Beethoven's manuscript of the 9th Symphony
Portrait of Ludwig van Beethoven in 1820. Beethoven was almost completely deaf when he composed his ninth symphony.

1951년 7월 29일 바이로이트 축제 공연의 이 실황녹음은 푸르트벵글러 타계 이듬해 1955년에 LP음반으로 발매되었습니다. 녹음자가 푸르트벵글러에게 공연에 대해 묻자 “(연주는) 좋았습니다. 하지만 좋았던 만큼 (녹음은) 안 좋군요.”라고 말했다고 합니다. 이 때문인지 몰라도 푸르트벵글러는 이 실황녹음 공개를 끝내 거부했죠. 그러데 이 음반은 발매 후 상이란 상은 싹쓸이하고 지금도 베토벤 교향곡 9번 음반 중 가장 강력히 군림하고 있습니다.

 

철학자 에릭 호퍼와 ‘합창 교향곡’

철학자 에릭 호퍼(1902-1983)를 아시는지요? ‘길 위의 철학자’로 불렸던 미국의 인문학자입니다. 학교라고는 문턱도 밟아보지 못했던, 그야말로 독학의 철학자입니다. 그에게 학교란 다름 아닌 ‘책’이었지요. 부두노동자, 벌목꾼 등으로 일하면서 읽고 썼습니다. 이 정도는 돼야 ‘무학의 통찰’이라는 수식어를 붙일 수 있을 겁니다. 철학자로 명성을 얻었던 계기는 1951년 펴냈던 <맹신자들(The true believer)>이라는 저서였지요. 당시의 세계는 2차 세계대전과 나치즘의 충격을 채 지우지 못하고 있었고 미국과 소련을 주축으로 냉전 체제가 막 형성되고 있던 차였습니다. 쉰 살의 부두노동자였던 호퍼는 이 책으로 단숨에 명성을 얻습니다.

그는 이 책에서 “광신적 기독교 신자, 광신적 이슬람교 신자, 광신적 민족주의자, 광신적 나치가 서로 다른 것은 분명하지만, ‘광신’이라는 점에서는 한 부류”라고 주장합니다. 그렇다면 광신은 어디서 올까요? 아마 좌절에서 비롯할 겁니다. 그래서 호퍼는 “대중운동은 좌절한 사람들에게 호소하는 경향이 짙다”며 “대중운동의 지도자들은 그 열망을 꿰뚫어보고 대중을 선동한다”고 말합니다. 국내에도 번역돼 있는 책입니다. 저는 그 책의 서평에서 “대중운동의 동력을 ‘좌절한 영혼’에서 끌어내려는 논지에는 다소 무리가 엿보이지만, 광신적 도그마에 반대하는 정신은 여전히 유효하다”라고 쓴 적이 있습니다.

그 호퍼가 아홉 살 때의 일입니다. 당시 그는 시각장애인이었지요. 다섯 살 때 계단에서 굴러 떨어지는 사고를 당했기 때문입니다. 물론 호퍼는 평생 동안 시각장애인으로 살진 않았습니다. 다행스럽게도 15세에 시력을 회복했지요. 하지만 아홉 살의 호퍼는 거의 보지 못했습니다. 그런데 어느 날 아버지가 아들을 택시에 태워 뉴욕의 콘서트홀로 데려가지요. <에릭 호퍼 자서전-떠돌이 철학자의 삶에 관한 에피소드 27>(방대수 옮김)에 등장하는 내용입니다. 호퍼는 그때를 이렇게 회상합니다.

“평상시에는 차분했던 아버지가 이날만은 이상하게 들떠 있었다. 아버지는 음악을 사랑했고, 우리가 들으려 했던 베토벤에 대해서도 잘 알고 있었다. 아버지는 내게 ‘베토벤이 귀가 멀었을 때 작곡한 교향곡 9번은 천상의 멜로디로 된 태피스트리(tapestry, 회화적 직조물)’라고 얘기해 주었다. 특히 3악장은 숭고하다고 이야기하면서 그중 일부를 콧노래로 부르기도 했다. 콘서트가 얼마나 오래 걸렸는지는 기억에 없다. 3악장이 연주될 때 아버지는 내 팔을 움켜잡았고, 나는 날개라도 달고 하늘로 날아오르는 듯한 기분이 들었다.”

그렇습니다. 아홉 살 호퍼는 그날 뉴욕의 콘서트홀에서, 대단히 결정적인 음악적 경험을 했습니다. 이렇듯이 음악은 단순히 귀로만 듣는 것이 아닙니다. 호퍼는 그날의 기억을 죽는 날까지 간직했다고 하지요. 성인이 된 그는 자신이 외롭고 버림받은 기분이 들 때마다, 아버지가 불러줬던 3악장을 콧노래로 따라 불렀다고 합니다. 그의 자서전에 등장하는 회고를 조금 더 따라가 보겠습니다. “1941년 마침내 샌프란시스코에 정착하게 되었을 때 내가 제일 먼저 한 일은 축음기와 교향곡 9번이 담긴 레코드 몇 장을 산 것이었다. 그러나 그 레코드 가운데 어느 것도 내가 기억하고 있는 3악장을 제대로 연주해내지 못했다. 너무 빠르고 성의가 담기지 않은 연주여서 그 애끓는 슬픔이 제대로 전해 오지 않았다.”

그 어느 음반도 아홉 살 때의 감흥을 전해주지 않았다는 것이 호퍼의 회고입니다. 당연한 일이었겠지요. 앞 못 보는 아이의 갈망, 아무런 경계심과 의심 없이 활짝 열려 있던 아홉 살짜리의 순수한 영혼…. 어디 그뿐이었겠습니까. 말하자면 그날 호퍼에게 전해졌던 모든 감각적 경험은 베토벤 교향곡 9번으로 귀결되고 있었지요. 예컨대 바로 옆에 앉아 있던 아버지의 따스한 체온, 스킨십으로 전해 오던 아버지의 흥분감, 앞 못 보는 아들을 향한 안타까운 부성애 같은 것들이었겠지요. 하지만 어느덧 마흔 살이 된 호퍼에게 그것은 어느 정도 ‘역사화된 기억’, 다시 말해 약간은 흐릿하게 지워진 경험이었을 테니, 당연히 음악의 감흥이 옛날 같지 않았겠지요.

물론 거기에는 또 한 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호퍼가 아버지와 함께 베토벤 교향곡 9번을 뉴욕의 콘서트홀에서 들었던 때는 1910년대 초반이었지요. 이때만 해도 음악이란 당연히 연주회장에서 듣는 것이었습니다. 말하자면 ‘현장에서의 생동감’이야말로 음악의 실존이었습니다. 하지만 호퍼가 음반을 샀던 1940년대는 어땠나요? 네, 그렇지요. 스테레오 녹음은 아직 막을 올리기 전이었지만, ‘리코딩’이라고 불리는 기계적 재생이 바야흐로 보편화되고 있던 시기입니다. 그런데 실제 연주와 녹음할 때의 연주는 미묘한 차이가 있지요. 리코딩을 염두에 뒀을 때는 연주자들이 포르테시모나 피아니시모 같은 극단적인 셈여림을 피하게 됩니다. 음악의 템포도 어중간하게 될 수 있고, 휴지부에서도 충분히 연주를 멈추지 않은 채 후딱 다음 프레이즈로 넘어가게 됩니다. 특히 녹음기술이 충분히 발전하지 못했던 1940년대에는 오늘보다 이런 현상이 더 두드러졌을 거라고 짐작됩니다. 그래서 호퍼가 남긴 글, “너무 빠르고 성의가 담기지 않은 연주여서 그 애끓는 슬픔이 제대로 전해 오지 않았다”라는 문장은 적확합니다.

1951년 7월 29일 바이로이트 페스티벌에서 ‘합창 교향곡’을 지휘하는 푸르트벵글러.

자, 오늘은 아홉 살 호퍼가 벅찬 감동을 받았던 베토벤의 교향곡 9번 D단조 Op.125를 듣겠습니다. 아시다시피 ‘합창’이라는 이름으로 불리는 베토벤의 마지막 교향곡입니다. 정확히 얘기하자면 “실러의 ‘환희에 붙여서’에 의해 4악장에 합창을 수록함”으로 돼 있습니다. 4악장에서 네 명의 독창자와 혼성합창단이 등장하는데, 교향곡에서 인간의 목소리를 사용하고 있는 첫 번째 사례로 기록되고 있습니다. ‘환희에 붙여’ 혹은 ‘환희의 송가’라고도 불리는 실러(1759-1805)의 시는 1785년에 처음 쓰였지요. 18세기 후반의 청년 지식인들에게 열렬히 사랑받았던, 우리로 치자면 1970년대의 ‘아침이슬’과 비슷한 시였다는 생각이 듭니다. 물론 교향곡 9번에서 베토벤이 사용한 텍스트는 1785년의 오리지널 버전은 아니지요. 실러가 이후에 가필했을 뿐더러, 베토벤이 작곡 과정에서 부분적 수정을 가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인간 스스로의 힘으로 낙원에 들어선다는 본래의 주제에는 변함이 없습니다.

베토벤은 이 시에 곡을 붙이려던 계획을 20대 초반의 청년이었던 1792년 무렵부터 가졌던 것으로 전해지는데, 구체적이고도 명확한 작곡 스케치가 발견되는 것은 1817년의 노트에서입니다. 당시는 베토벤에게 상당히 어려웠던 시절이었지요. 이때 그의 귀는 완전히 들리지 않았습니다. 평생을 독신으로 살았던 베토벤이 유난히 애착을 가졌던 조카 카를은 점점 불량소년이 되어갔고, 행실이 좋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져 있는 카를의 생모(그러니까 베토벤의 제수)와 양육권을 둘러싼 법정 공방까지 벌여야 했습니다. 게다가 당시 빈의 음악계와 청중은 베토벤의 음악을 그다지 탐탁지 않게 여겼습니다. 그들이 보기에, 베토벤의 음악은 지나치게 심오하고 무거웠던 까닭입니다. 당시는 오스트리아 빈에 반동적 기운이 팽배할 때였지요. 1815년에 빈 회의를 주도했던 오스트리아의 재상 메테르니히의 권력은 점점 공고해졌고, 베토벤이 지지했던 공화주의는 위축되고 있었습니다. 정치적 상황이 반동으로 치닫게 되면 문화와 예술은 어떻게 될까요? 점점 사탕발림으로 변해 갑니다. 그것은 예나 지금이나 마찬가지입니다.

 영화 <카핑 베토벤>에서 ‘합창 교향곡’이 연주되고 있는 장면.

“백만의 사람들이여, 포옹하라! 이 입맞춤을 전 세계에!”

교향곡 9번 ‘합창’은 바로 이런 시기에 만들어집니다. 초연은 1824년 5월 7일, 빈의 케른트너토어 궁정극장에서 있었지요. 아그네츠카 홀란드가 연출한 영화 <카핑 베토벤>을 기억하시나요? 이 영화에 바로 그날의 초연 장면이 등장합니다. 물론 영화 자체는 픽션이지만 초연에 대한 묘사만큼은 당시의 상황을 매우 그럴 듯하게 재현하고 있습니다. 베토벤은 그날 초연 무대를 지켜보고 있었지만 아무것도 들을 수 없었던 까닭에 지휘봉을 들 수가 없었지요. 오케스트라 단원들은 지휘자 미하일 움라우프(1781-1842)의 지휘봉을 따라가며 연주했습니다. 연주가 다 끝나고 객석에서 열광의 파도가 휘몰아칠 때, 누군가 객석을 향해 베토벤을 돌려세웠다고 합니다. 기록에 따르면 알토 독창자[Caroline Unger]였다고 하지요. 그때 베토벤의 눈에 들어온 것은 무엇이었을까요? 열렬하게 환호하는 청중의 모습, 그리고 허공을 향해 날아가는 손수건들이었다고 합니다.

[Although his major works had primarily been premiered in Vienna, Beethoven was eager to have his latest composition performed in Berlin as soon as possible after finishing it, since he thought that musical taste in Vienna had become dominated by Italian composers such as Rossini.[7] When his friends and financiers heard this, they urged him to premiere the symphony in Vienna in the form of a petition signed by a number of prominent Viennese music patrons and performers.[7]

Beethoven was flattered by the adoration of Vienna, so the Ninth Symphony was premiered on 7

May 1824 in the Theater am Kärntnertor in Vienna, along with the overture The Consecration of the House (Die Weihe des Hauses) and three parts of the Missa solemnis (the Kyrie, Credo, and the Agnus Dei).

 

This was the composer's first on-stage appearance in 12 years; the hall was packed with an eager audience and a number of musicians.[8]

The premiere of Symphony No. 9 involved the largest orchestra ever assembled by Beethoven[8] and required the combined efforts of the Kärntnertor house orchestra, The Vienna Music Society (Gesellschaft der Musikfreunde), along with a select group of capable amateurs. While no complete list of premiere performers exists, many of Vienna's most elite performers are known to have participated.[9]

Caroline Unger, who sang the contralto part at the first performance and who is credited with turning Beethoven to face the applauding audience.

 

The soprano and alto parts were interpreted by two famous young singers: Henriette Sontag and Caroline Unger. German soprano Henriette Sontag (1806–1854) was eighteen years old when Beethoven personally recruited her to perform in the premiere of the Ninth Symphony.[10][11]

lso personally recruited by Beethoven, 21-year-old contralto Caroline Unger (1803–1877), a native of Vienna, had gained critical praise in 1821 appearing in Rossini's Tancredi. After performing in Beethoven's 1824 premiere, Unger found fame in Italy and Paris. Italian composers Donizetti and Bellini were known to have written roles specifically for her voice.[12]

 
Young woman looking left with blonde curls in a black dress
Henriette Sontag as Donna Anna

 

Although the performance was officially directed by Michael Umlauf, the theatre's Kapellmeister, Beethoven shared the stage with him. However, two years earlier, Umlauf had watched as the composer's attempt to conduct a dress rehearsal of his opera Fidelio ended in disaster. So this time, he instructed the singers and musicians to ignore the almost totally deaf Beethoven. At the beginning of every part, Beethoven, who sat by the stage, gave the tempos. He was turning the pages of his score and beating time for an orchestra he could not hear.

 

There are a number of anecdotes about the premiere of the Ninth. Based on the testimony of the participants, there are suggestions that it was under-rehearsed (there were only two full rehearsals) and rather scrappy in execution. on the other hand, the premiere was a great success. In any case, Beethoven was not to blame, as violinist Joseph Böhm recalled: "Beethoven directed the piece himself; that is, he stood before the lectern and gesticulated furiously. At times he rose, at other times he shrank to the ground, he moved as if he wanted to play all the instruments himself and sing for the whole chorus. All the musicians minded his rhythm alone while playing".

 

When the audience applauded—testimonies differ over whether at the end of the scherzo or the whole symphony—Beethoven was several measures off and still conducting. Because of that, the contralto Caroline Unger walked over and turned Beethoven around to accept the audience's cheers and applause. According to one witness, "the public received the musical hero with the utmost respect and sympathy, listened to his wonderful, gigantic creations with the most absorbed attention and broke out in jubilant applause, often during sections, and repeatedly at the end of them." The whole audience acclaimed him through standing ovations five times; there were handkerchiefs in the air, hats, raised hands, so that Beethoven, who could not hear the applause, could at least see the ovation gestures.]

 

Editions

The first German edition was printed by B. Schott's Söhne (Mainz) in 1826. The Breitkopf & Härtel edition dating from 1864 has been used widely by orchestras.[13] In 1997 Bärenreiter published an edition by Jonathan Del Mar.[14] According to Del Mar, this edition corrects nearly 3,000 mistakes in the Breitkopf edition, some of which were "remarkable".[15] David Levy, however, criticized this edition, saying that it could create "quite possibly false" traditions.[16] Breitkopf also published a new edition by Peter Hauschild in 2005.[17]

 

Instrumentation

The symphony is scored for the following orchestra. These are by far the largest forces needed for any Beethoven symphony; at the premiere, Beethoven augmented them further by assigning two players to each wind part.[18]

Form

The symphony is in four movements, marked as follows:

  1. Allegro ma non troppo, un poco maestoso (D minor)
  2. Scherzo: Molto vivace – Presto (D minor)
  3. Adagio molto e cantabile – Andante moderato – Tempo primo – Andante moderato – Adagio – Lo stesso tempo (B-flat major)
  4. Recitative: (D minor-D major) (Presto – Allegro ma non troppo – Vivace – Adagio cantabile – Allegro assai – Presto: O Freunde) – Allegro molto assai: Freude, schöner Götterfunken – Alla marcia – Allegro assai vivace: Froh, wie seine Sonnen – Andante maestoso: Seid umschlungen, Millionen! – Adagio ma non troppo, ma divoto: Ihr, stürzt nieder – Allegro energico, sempre ben marcato: (Freude, schöner GötterfunkenSeid umschlungen, Millionen!) – Allegro ma non tanto: Freude, Tochter aus Elysium! – Prestissimo, Maestoso, Molto prestissimo: Seid umschlungen, Millionen!

Beethoven changes the usual pattern of Classical symphonies in placing the scherzo movement before the slow movement (in symphonies, slow movements are usually placed before scherzo[19]). This was the first time that he did this in a symphony, although he had done so in some previous works (including the quartets Op. 18 no. 5, the "Archduke" piano trio Op. 97, the Hammerklavier piano sonata Op. 106). Haydn, too, had used this arrangement in a number of his own works such as the String Quartet No. 30 in E-flat major.================================

 

1악장: 알레그로 마 논 트로포, 운 포코 마에스토소

‘합창’의 전체 연주시간은 약 70분입니다. 마음먹고 들어야 하는 대곡(大曲)입니다. 1악장은 베토벤의 다른 교향곡들과 달리 매우 흐릿한 느낌으로 시작합니다. A와 E음이 오래도록 지속음으로 울려 나옵니다. 시작부터 이렇게 지속음을 끌고 가는 장면은 훗날 말러의 교향곡 ‘거인’에서도 나타나고, 브루크너의 교향곡에서도 빈번히 등장하지요. 신비하고 몽환적인, 뭔가 불안한 느낌이 감도는 도입부에 이어서 오케스트라가 총주가 매우 단호하고 장대한 느낌의 첫 번째 주제를 연주합니다. ‘빰밤 빰밤’ 하고 터져 나오는 첫 주제, 잘 기억해 두시기 바랍니다.

잠시 경과부를 거친 다음, 드디어 목관이 연주하는 두 번째 주제가 등장합니다. 첫 주제가 장엄하고 생동감 있는 것에 비해 두 번째 주제는 소박하고 정적입니다. 이 두 개의 주제를 염두에 두고 이후에 펼쳐지는 변화에 귀를 기울여보시기 바랍니다. 물론, 아무 생각 없이 음악에 그냥 마음을 맡겨도 좋습니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첫 번째 주제를 장대한 분위기로 재현하는 마지막 장면까지, 끝까지 들어야 한다는 것!

[Allegro ma non troppo, un poco maestoso. Duration approx. 15 mins.

The first movement is in sonata form, and the mood is often stormy. The opening theme, played pianissimo over string tremolos, so much resembles the sound of an orchestra tuning, many commentators have suggested that was Beethoven's inspiration—but from within that musical limbo emerges a theme of power and clarity that later drives the entire movement. At the outset of the recapitulation section, the theme returns fortissimo in D major, rather than the opening's D minor. The introduction also uses the mediant to tonic relationship, which further distorts the tonic key until, finally, the bassoon plays in its lowest possible register.

The coda employs the chromatic fourth interval.]

 

2악장: 스케르초. 몰토 비바체

2악장은 1악장의 심각함을 완전히 뒤집는 스케르초 악장입니다. 현악기들이 급작스러운 느낌의 연주로 분위기를 전환하면서 팀파니가 호방하게 막을 올립니다. 이어서 바이올린이 잘게 쪼개지는 듯한 음형들을 다소 빠른 템포로 연주하지요. 그 부분이 주제입니다. 그 주제는 2악장이 끝날 때까지 여러 차례 등장하는데, 팀파니가 옥타브 연타로 거기에 호응합니다.

[Scherzo: Molto vivace – Presto. Duration approx. 12 mins.

The second movement, a scherzo and trio, is also in D minor, with the introduction bearing a passing resemblance to the opening theme of the first movement, a pattern also found in the Hammerklavier piano sonata, written a few years earlier. At times during the piece, Beethoven specifies one downbeat every three measures—perhaps because of the fast tempo—with the direction ritmo di tre battute ("rhythm of three beats"), and one beat every four measures with the direction ritmo di quattro battute ("rhythm of four beats").

Beethoven had been criticized before for failing to adhere to standard form for his compositions. He used this movement to answer his critics. Normally, a scherzo is in triple time. Beethoven wrote this piece in triple time, but punctuated it in a way that, when coupled with the tempo, makes it sound as if it were in quadruple time.

While adhering to the standard ternary design of a dance movement (scherzo-trio-scherzo, or minuet-trio-minuet), the scherzo section has an elaborate internal structure; it is a complete sonata form. Within this sonata form, the first group of the exposition starts out with a fugue before modulating to C major for the second part. The exposition then repeats before a short development section. The recapitulation further develops the exposition, also containing timpani solos. A new development section leads to the repeat of the recapitulation, and the scherzo concludes with a brief codetta.

The contrasting trio section is in D major and in duple time. The trio is the first time the trombones play in the movement. Following the trio, the second occurrence of the scherzo, unlike the first, plays through without any repetition, after which there is a brief reprise of the trio, and the movement ends with an abrupt coda.]

 

3악장: 아다지오 몰토 에 칸타빌레

3악장은 철학자 호퍼의 아버지가 “숭고하다”고 말했던 바로 그 악장. 바이올린이 아름다운 선율의 주제를 아련한 느낌으로 연주하면서 시작합니다. 관악기가 메아리처럼 간간히 울려 퍼집니다. 이어서 음악의 템포가 조금 빨라지면서 바이올린과 비올라가 어울려 역시 아름다운 선율의 두 번째 주제를 연주하지요. 이 두 개의 주제를 계속 변주하다가 마침내 우리가 기다려 왔던 4악장, 급격한 느낌의 프레스토 악장으로 들어섭니다.

[Adagio molto e cantabile – Andante Moderato – Tempo Primo – Andante Moderato – Adagio – Lo Stesso Tempo. Duration approx. 16 mins.

The lyrical slow movement, in B-flat major, is in a loose variation form, with each pair of variations progressively elaborating the rhythm and melody. The first variation, like the theme, is in 4/4 time, the second in 12/8. The variations are separated by passages in 3/4, the first in D major, the second in G major. The final variation is twice interrupted by episodes in which loud fanfares for the full orchestra are answered by octaves played by the first violins alone. A prominent horn solo is assigned to the fourth player. Trombones are tacet for the movement.]

 

4악장: 프레스토 - 알레그로 아사이

관악기들의 소란한 음향이 한 차례 울려 퍼지고, 첼로와 베이스가 뭐라고 말을 건네 오는 듯합니다. “자, 지금부터 하는 얘기를 들어보십시요.” 오페라나 오라토리오에 등장하는 해설자의 레치타티보(recitativo)와도 같은 악구입니다. 이어서 그 유명한 ‘환희의 송가’ 테마가 목관에 의해 잠시 나타났다가, 첼로와 베이스, 이어서 현악기 전체, 마지막으로 오케스트라 총주로 점점 확장되면서 얼굴을 드러냅니다.

그리고 드디어 노래가 등장합니다. 베이스(바리톤이 부르기도 함)가 던지는 첫 번째 노랫말, “오 벗이여, 이런 음들이 아니라네! 더 기쁘고 즐거운 노래를 부르세”를 기억해 두시기 바랍니다. 이 가사는 실러의 시에는 등장하지 않습니다. 베토벤이 새롭게 첨가한 노랫말입니다. 합창은 “백만의 사람들이여, 포옹하라! 이 입맞춤을 전 세계에!”라고 노래합니다. 처음부터 끝까지, 시간을 내서 전체 악장을 들어보시길 권합니다. 교향곡 9번의 벅찬 감동을 맛보기 위해서는 당신의 시간과 열정을 투자해야 합니다.

[Presto; Allegro molto assai (Alla marcia); Andante maestoso; Allegro energico, sempre ben marcato. Duration approx. 24 mins.


\new Score {
  \new Staff {
    \relative c {
      \time 4/4
      \key d \major
      \clef bass

      fis2\p( g4 a) | a4( g fis e) | d2( e4 fis) | fis4.( e8) e2 |
      fis2( g4 a) | a4( g fis e) | d2( e4 fis) | e4.( d8) d2 |
    }
  }
}

The famous choral finale is Beethoven's musical representation of Universal Brotherhood. American pianist and music scholar Charles Rosen has characterized it as a symphony within a symphony, played without interruption.[20] This "inner symphony" follows the same overall pattern as the Ninth Symphony as a whole. The scheme is as follows:

  • First "movement": theme and variations with slow introduction. The main theme, which first appears in the cellos and basses, is later recapitulated with voices.
  • Second "movement": 6/8 scherzo in military style (begins at "Alla marcia," words "Froh, wie seine Sonnen fliegen"), in the "Turkish style"—and concludes with a 6/8 variation of the main theme with chorus.
  • Third "movement": slow meditation with a new theme on the text "Seid umschlungen, Millionen!" (begins at "Andante maestoso")
  • Fourth "movement": fugato finale on the themes of the first and third "movements" (begins at "Allegro energico")

The movement has a thematic unity, in which every part is based on either the main theme, the "Seid umschlungen" theme, or some combination of the two.

The first "movement within a movement" itself is organized into sections:

  • An introduction, which starts with a stormy Presto passage. It then briefly quotes all three of the previous movements in order, each dismissed by the cellos and basses, which then play in an instrumental foreshadowing of the vocal recitative. At the introduction of the main theme, the cellos and basses take it up and play it through.
  • The main theme forms the basis of a series of variations for orchestra alone.
  • The introduction is then repeated from the Presto passage, this time with the bass soloist singing the recitatives previously suggested by cellos and basses.
  • The main theme again undergoes variations, this time for vocal soloists and chorus.[21]

Text of the fourth movement

The text is largely taken from Schiller's "Ode to Joy", with a few additional introductory words written specifically by Beethoven (shown in italics).[22] The text without repeats is shown below, with a translation into English.[23] The score includes many repeats. For the full libretto, including all repetitions, see German Wikisource.[24]

O Freunde, nicht diese Töne!
Sondern laßt uns angenehmere anstimmen,
und freudenvollere.
Oh friends, not these sounds!
Let us instead strike up more pleasing
and more joyful ones!
Freude!
Freude!
Joy!
Joy!
Freude, schöner Götterfunken
Tochter aus Elysium,
Wir betreten feuertrunken,
Himmlische, dein Heiligtum!
Deine Zauber binden wieder
Was die Mode streng geteilt;
Alle Menschen werden Brüder,
Wo dein sanfter Flügel weilt.
Joy, beautiful spark of divinity,
Daughter from Elysium,
We enter, burning with fervour,
heavenly being, your sanctuary!
Your magic brings together
what fashion has sternly divided.
All men shall become brothers,
wherever your gentle wings hover.
Wem der große Wurf gelungen,
Eines Freundes Freund zu sein;
Wer ein holdes Weib errungen,
Mische seinen Jubel ein!
Ja, wer auch nur eine Seele
Sein nennt auf dem Erdenrund!
Und wer's nie gekonnt, der stehle
Weinend sich aus diesem Bund!
Whoever has been lucky enough
to become a friend to a friend,
Whoever has found a beloved wife,
let him join our songs of praise!
Yes, and anyone who can call one soul
his own on this earth!
Any who cannot, let them slink away
from this gathering in tears!
Freude trinken alle Wesen
An den Brüsten der Natur;
Alle Guten, alle Bösen
Folgen ihrer Rosenspur.
Küsse gab sie uns und Reben,
Einen Freund, geprüft im Tod;
Wollust ward dem Wurm gegeben,
Und der Cherub steht vor Gott.
Every creature drinks in joy
at nature's breast;
Good and Bad alike
follow her trail of roses.
She gives us kisses and wine,
a true friend, even in death;
Even the worm was given desire,
and the cherub stands before God.
Froh, wie seine Sonnen fliegen
Durch des Himmels prächt'gen Plan,
Laufet, Brüder, eure Bahn,
Freudig, wie ein Held zum Siegen.
Gladly, just as His suns hurtle
through the glorious universe,
So you, brothers, should run your course,
joyfully, like a conquering hero.
Seid umschlungen, Millionen!
Diesen Kuß der ganzen Welt!
Brüder, über'm Sternenzelt
Muß ein lieber Vater wohnen.
Ihr stürzt nieder, Millionen?
Ahnest du den Schöpfer, Welt?
Such' ihn über'm Sternenzelt!
Über Sternen muß er wohnen.
Be embraced, you millions!
This kiss is for the whole world!
Brothers, above the canopy of stars
must dwell a loving father.
Do you bow down before Him, you millions?
Do you sense your Creator, o world?
Seek Him above the canopy of stars!
He must dwell beyond the stars.

Towards the end of the movement, the choir sings the last four lines of the main theme, concluding with "Alle Menschen", before the soloists sing for one last time the song of joy at a slower tempo. The chorus repeats parts of "Seid umschlungen, Millionen! ...", then quietly sings, "Tochter aus Elysium". And finally, "Freude, schöner Götterfunken, Götterfunken!"]

 

Influence

Many later composers of the Romantic period and beyond were influenced specifically by Beethoven's Ninth Symphony.

 

An important theme in the finale of Johannes Brahms' Symphony No. 1 in C minor is related to the "Ode to Joy" theme from the last movement of Beethoven's Ninth symphony. When this was pointed out to Brahms, he is reputed to have retorted "Any fool can see that!" Brahms's first symphony was, at times, both praised and derided as "Beethoven's Tenth".[45]

 

The Ninth Symphony influenced the forms that Bruckner used for the movements of his symphonies. Bruckner's Symphony No. 3 is in the same D minor key as Beethoven's 9th and makes substantial use of thematic ideas from it. The colossal slow movement of Bruckner's Symphony No. 7, "as usual", takes the same A–B–A–B–A form as the 3rd movement of Beethoven's symphony, and also uses some figuration from it.[46]

 

In the opening notes of the third movement of his Symphony No. 9 (The "New World"), Antonín Dvořák pays homage to the scherzo of this symphony with his falling fourths and timpani strokes.[47]

 

Likewise, Béla Bartók borrows the opening motif of the Scherzo from Beethoven's Ninth symphony to introduce the second movement Scherzo in his own, Four Orchestral Pieces, op. 12.[48][49]

One legend is that the compact disc was deliberately designed to have a 74-minute playing so that it could accommodate Beethoven's Ninth Symphony. Kees Immink, Philips' chief engineer, who developed the CD, recalls that a commercial tug-of-war between the development partners, Sony and Philips, led to a settlement in a neutral 12-cm diameter format. The 1951 performance of the Ninth Symphony conducted by Furtwängler was brought forward as the perfect excuse for the change.[50] A Philips news release on 16 August 2007, celebrating the 25th anniversary of the Compact Disc, mentioned the parties—Philips and Sony—extended the Compact Disc capacity to 74 minutes to accommodate a complete performance of Beethoven's Ninth Symphony.[51]

 

In the film The Pervert's Guide to Ideology, the psychanalytical Communist philosopher Slavoj Zizek comments on the use of the Ode use by Nazism, Bolshevism, the Cultural Revolution, the East-West German Olympic team, South Rhodesia, Abimael Guzmán and the European Union. The beginning of the Ode is an epic music that is easy to infuse with ideology, however the latter part is more personal.[52]

Use as anthem

During the division of Germany in the Cold War, the "Ode to Joy" segment of the symphony was also played in lieu of an anthem at the Olympic Games for the Unified Team of Germany between 1956 and 1968. In 1972, the musical backing (without the words) was adopted as the Anthem of Europe by the Council of Europe and subsequently by the European Communities (now the European Union) in 1985.[53][54] The "Ode to Joy" was used as the national anthem of Rhodesia between 1974 and 1979, as "Rise, O Voices of Rhodesia".[55]

 

Use as a hymn melody

In 1907, the Presbyterian pastor Henry van Dyke wrote the hymn "Joyful, Joyful, we adore thee"

while staying at Williams College.[56] The hymn is commonly sung in English-language churches to the "Ode to Joy" melody from this symphony.

Year-end's tradition in Japan

The Ninth symphony is traditionally performed throughout Japan at the end of year. In December 2009, for example, there were 55 performances of the symphony by various major orchestras and choirs in Japan.

It was introduced to Japan during World War I by German prisoners held at the Bandō prisoner-of-war camp. Japanese orchestras, notably the NHK Symphony Orchestra, began performing the symphony in 1925 and during World War II, the Imperial government promoted performances of the symphony, including on New Year's Eve. In an effort to capitalize on its popularity, orchestras and choruses undergoing economic hard times during Japan's reconstruction, performed the piece at years-end. In the 1960s, these year-end performances of the symphony became more widespread, and included the participation of local choirs and orchestras, firmly establishing a tradition that continues today.

 

추천음반

1. 빌헬름 푸르트벵글러(Wilhelm Furtwängler)/바이로이트 페스티벌 오케스트라, 1951, EMI. 2차 세계대전 종전 후 처음으로 열린 바이로이트 페스티벌에서 연주했던 실황이다. 영국의 애비로드 스튜디오에서 리마스터링했다. 가장 권위 있는 ‘합창’으로 평가받는 기념비적인 녹음이다. 독창자로는 엘리자베스 슈바르츠코프(소프라노), 엘리자베스 횡겐(알토), 한스 호프(테너), 오토 에델만(베이스)이 포진했다. 음색은 전반적으로 어둡고 무겁다. 고난을 뚫고 환희로 나아가는 드라마틱함, 아울러 중후한 낭만성이라는 측면에서 단연 1순위에 놓이는 음반이다. 나치 시절을 힘겹게 살아내야 했던 푸르트벵글러의 생애가 오버랩되는 연주이기도 하다. 모노녹음이다.

2. 페렌츠 프리차이(Ferenc Fricsay)/베를린 필하모닉, 1957. DG. 베를린 필하모닉이 연주한 ‘합창’을 대표하는 지휘자는 물론 카라얀일 것. 하지만 헝가리 태생의 지휘자 페렌츠 프리차이는 카라얀과는 완전히 다른 분위기의 ‘합창’으로 또 하나의 드라마를 남겼다. 말하자면 이 녹음에는 카라얀 이전의 베를린 필하모닉에서 느낄 수 있었던 향취가 담겼다. 게다가 프리차이 특유의 소박하면서도 강인한 음악성, 그가 짧은 생애를 통해 보여줬던 음악적 진정성은 듣는 이의 마음을 온전히 음악에 집중케 한다. 독창진도 좋다. 이름가르트 제프리트(소프라노), 마우렌 포레스터(알토), 에른스트 회플리거(테너), 디트리히 피셔-디스카우(바리톤)가 포진했다.

3. 헤르베르트 폰 카라얀(Herbert von Karajan)/베를린 필하모닉, 1976, DG. 카라얀이 남긴 ‘합창’ 녹음은 여러 편이다. 어느 것이나 들을 만한 연주다. 오늘 추천하는 1976년 리코딩은 독창진이 특히 돋보인다. 안나 토모바 신토프(소프라노), 아그네스 발차(콘트랄토/알토), 페터 슈라이어(테너), 호세 반 담(바리톤)이 포진했다. 카라얀 특유의 섬세하고 유려한 장기가 잘 드러나는 연주일 뿐 아니라, 1980년대의 녹음에 비해 오히려 강렬한 맛이 한층 부각되고 있다. 2악장에서 팀파니가 전해주는 음향적 쾌감, 또 3악장에서 들려주는 선율미도 빼어나다. SACD로도 출시돼 있다.

 

 

문학수 1961년 강원도 묵호에서 태어났다. 까까머리 중학생 시절에 소위 ‘클래식’이라고 부르는 서양음악을 처음 접했다. 청년 시절에는 음악을 멀리한 적도 있다. 서양음악의 쳇바퀴가 어딘지 모르게 답답하게 느껴졌기 때문이다. 게다가 서구 부르주아 예술에 탐닉한다는 주변의 빈정거림도 한몫을 했다. 1990년대에 접어들면서부터 음악에 대한 불필요한 부담을 다소나마 털어버렸고, 클래식은 물론이고 재즈에도 한동안 빠졌다. 하지만 몸도 마음도 중년으로 접어들면서 재즈에 대한 애호는 점차 사라졌다. 특히 좋아하는 장르는 대편성의 관현악이거나 피아노 독주다. 약간 극과 극의 취향이다. 경향신문에서 문화부장을 두 차례 지냈고, 지금은 다시 취재 현장으로 돌아와 음악담당 선임기자로 일하고 있다. 2013년 2월 철학적 클래식 읽기의 세계로 초대하는 <아다지오 소스테누토>를 출간했다.

 

  출처: 채널예스 칼럼>음악>내 인생의 클래식 101 2013.06.10

  http://ch.yes24.com/Article/View/22320

 

가져온 곳 : 
카페 >클래식 사랑방
|
글쓴이 : 라라와복래| 원글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