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학 관련 ♣/[우리말 바루기]

[우리말 바루기] 잊혀진 계절

Bawoo 2016. 11. 3. 11:47



지금도 기억하고 있어요 시월의 마지막 밤을 / 뜻 모를 이야기만 남긴 채 우리는 헤어졌지요 / 그날의 쓸쓸했던 표정이 그대의 진실인가요 / 한마디 변명도 못하고 잊혀져야 하는 건가요~

1980년대 이용이 불렀던 ‘잊혀진 계절’이다. 10월의 마지막 밤에 애절한 의미를 부여하며 우리 가슴 속에 남아 잔잔히 흐르는 노래다. 이 노래를 들으면 가을이 ‘잊혀진 계절’로 더욱 서글프게 다가온다.

그러나 이 곡은 정상적인 표현인 ‘잊힌’ 대신 이중피동인 ‘잊혀진’이 자리 잡게 하는 데 커다란 역할을 한다. ‘잊힌 계절’이라고 하면 대부분 사람이 이상하게 느낄 정도가 됐다.

‘잊다’의 피동형은 ‘잊히다’이다. ‘히’가 첨가된 ‘잊+히+다’ 형태다. “그와의 사랑은 오래전에 잊힌 일이다” “시간이 흐르면서 차츰 잊혀 갔다”처럼 ‘잊힌’ ‘잊혀’ 등으로 쓰인다. ‘잊혀진’ ‘잊혀져’는 이미 피동이 된 ‘잊히다’에 또다시 피동을 만드는 ‘-지다’를 붙인 ‘잊혀지다’ 형태다. 즉 이중피동이다.

이런 현상은 ‘쓰여지다(←쓰이다)’ ‘보여지다(←보이다)’ ‘바뀌어지다(←바뀌다)’ 등에서도 나타난다. 피동의 뜻을 강조하려는 의도로 볼 수 있으나 무의미하게 피동을 겹쳐 쓰는 것이다.

영어나 일본어의 영향을 받아 이처럼 이중피동이 남발되고 전체적으로 피동형 문장도 늘어났다는 게 일반적 견해다.

 “모여진 성금은 불우이웃들에게 유용하게 쓰여질 것으로 보여진다”에서 ‘모여진’ ‘쓰여질’ ‘보여진다’는 모두 불필요한 이중피동이다. “모인 성금은 불우이웃들에게 유용하게 쓰일 것으로 보인다”로 해야 한다.

배상복 기자 sbbae@joongang.co.kr

[출처: 중앙일보] [우리말 바루기] 잊혀진 계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