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성령 이암杜城令 李巖)의 모유구도(母乳狗圖)
(1499~ ?)
자(字)는 정중(靜仲), 본관(本貫)은 전주(全州).
세종의 넷째 아들 임영 대군(臨瀛大君) 이구(李璆, 1418~1469)의 증손(曾孫)으로,
벼슬은 두성령(杜城令)을 제수(除授)받았다.
1545년 인종 초 선왕 중종의 어용(御容)을 추화(追畫)할 때 참여하였다.
조선 초기의 대표적인 영모화(翎毛, 새와 짐승 등을 소재로 그린 그림) 화가로,
특히 착색한 강아지 그림을 좋아하였으며, 화조(花鳥)와 동물을 잘 그렸다.
기록에 따르면 매[鷹] 그림에도 능하였다고 하는데 남아 있는 작품은 개와 고양이를
소재로 한 것이 많다. 동물화를 그리는 데 중국 남송(南宋, 1127~1279)의 모익의
화풍(畫風)을 따랐다고 하지만, 실제로 두 사람의 그림에는 공통점이 없다.
그림을 그려도 가장 그림의 격이 낮다고 여기는 개나 고양이 그림을 종실 인사가
그렸으니 당시 양반들의 손가락질이 심했을것이나 이암은 개나 고양이 매 그림을
잘 그렸고 거기다 정중靜仲이라는 낙관까지 큼직하게 찍어서,“너희가 뭐라 해도
나는 내가 좋아하는 그림을 그린다.”는 무언의 시위를 한듯 합니다.
작품으로 [당견도(唐犬圖)]⋅[모견도(母犬圖)](42.2×73cm, 서울 국립 중앙 박물관)⋅
[화조구자도(花鳥狗子圖)](44.9×86cm, 경기도 용인 호암 미술관)⋅[화조묘구도
(花鳥猫狗圖)] 등이 있다.
그림인지 글인지 모를 애매한 모습의 대나무나 난을 치던 시대에 천하게 여기는
개를 저렇듯 사실적으로 그리고 애틋한 모성을 담은 마치 동화속 한장면을 연상
케하는 포근한 작품입니다.
우리를 한 순간 저 어미개의 머리를 쓰다듬고 싶은 애틋함과 행복을 느끼게도
합니다.그가 그린 동물들의 표정은 귀엽고 천진하며 정감이 가득합니다.
<모견도(母犬圖)>는 그의 영모화 중 대표작으로 꼽히는 작품으로 문자 그대로
어미개의 그림인데, 나무 그늘 아래 앉은 어미개 한 마리가 다정한 표정으로
강아지들을 내려다보고 있고 세 마리 강아지가 천진난만한 표정으로 어미개의
품 속을 파고드는 정겹고 포근한 장면의 그림입니다.
쌍구자도 (雙狗子圖 ) 76 x 40㎝
화조구자도(花鳥狗子圖) 86x44.9cm,
이 그림 역시 일본에서 보존되고 있던 것을 다시 역수입해온 작품입니다.
삼성회장이었던 호암 이병철이 사들여서 호암미술관에 소장했으며, 현재
보물로 지정되어 보호되고 있는 그림입니다.
위의 모견도에 출연한 같은 강아지들인 것 같습니다. 색깔이나 얼굴이
똑같아보이는군요. 모견도에서 어미개의 등에 업혀 자고 있던 회색 강아지는
이 그림에서도 콜콜 자고 있습니다. 젖을 빨던 검둥 강아지는 잠자는 형제의
옆에 앉아 어딘가 먼 곳을 바라보고 있고, 흰둥이는 여치인지 방아깨비인지를
앞발로 잡아 누르고 장난을 치고 있군요.
강아지들의 표정이나 움직임이 참
귀엽습니다. 나무에는 꽃이 화사하게 피어 있고 두 마리의 새가 앉아 있는데,
검은 나비와 벌이 꽃송이를 향해 날아들고 있습니다.
조그만 벌까지 한 마리 그려넣은 것이 앙증맞네요. 복사꽃 곱게 핀 봄날
오후의 풍경인가 봅니다.
화조도(花鳥圖) 84.5 x 50.3cm,
군조도. 150.5 x 71.3cm.
가응도(架鷹圖) .
힘의 상징으로 널리 알려진 매의 형상을 사실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금방이라도 날개를 펴고 창공을 향해 날 것만 같은 매에서는 생동감이 느껴진다.
원숭이와 사슴
화조묘구도(花鳥猫狗圖)〉
16세기, 종이에 채색, 폭당 87 x 44.2cm
북한 평양 조선미술관 소장
서로 대칭을 이루는 두 폭으로 마치 병풍처럼 구성되어 있습니다.
각 폭이 서로 비슷한 정경과 구도로 유사하게 묘사되었습니다.
꽃과 새의 생생한 묘사로 지금도 살아있는 것처럼 생기가 넘쳐납니다.
새들은 모두 짝을 이룬 두 쌍이며, 몸짓이 너무도 다정하여 화사한 꽃송이들의 축하를 받는 듯합니다.
강아지와 고양이의 모습이 뒷 배경의 꽃들과 한 화폭 속에 어우러져 화사한 봄 날
의 낭만적인 분위기를 물씬 자아냅니다
'♣ 미술(美術) 마당 ♣ > - 화가,그림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단원 김홍도 그림에는 중팔선도(中八仙圖)가 숨어 있다 (0) | 2014.01.19 |
---|---|
[스크랩] 추사(秋史) 김정희 선생의 난초그림 (0) | 2014.01.17 |
[스크랩] 단원 김홍도의 풍속화 (0) | 2014.01.03 |
[스크랩] 조선 말 임당(琳塘) 백은배의 동양화 (0) | 2013.12.31 |
[스크랩] 조선 중기 학림정 이경윤(學林正 李慶胤)의 동양화 (0) | 2013.1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