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음악 감상실 ♣/[1860년 ~1880년]

[영국]Frederick Delius[프레더릭 딜리어스]

Bawoo 2021. 1. 2. 20:09

 

Frederick Delius

 
Delius, aged 45, photographed in 1907
(29 January 1862 – 10 June 1934) was an English composer
[영문자료 보기-Frederick Delius]
 딜리어스는 런던 북부 브래드퍼드에서 태어났지만 그의 양친은 독일인이었다. 딜리어스의 집안은 음악을 좋아했고 아버지 율리우스는 아들이 집안에 내려오는 양모와 직물 사업에 종사하기를 원했다. 딜리어스는 아버지의 일을 도왔지만 적성에 맞지 않았고, 아버지를 설득해 플로리다 주의 오렌지 과수원의 관리자로 일하겠다는 이유를 대어 미국으로 건너다. 그곳에서도 딜리어스는 음악이론을 배우며 작곡하기를 계속했고, 결국 사업을 그만둘 수 있었다.

딜리어스는 1886년부터 라이프치히 콘서바토리에서 2년간 작곡을 공부했고 1888년 이후에는 루앙에서 창작에 전념했다.

1918년 이후 그는 매독 증상에 시달렸는데, 매독은 오랜 기간에 걸쳐 시력에 영향을 미쳤고 점점 신체 마비를 오게 하여 후년에는 휠체어를 써야 하게 되었다.

그는 1928년 자신에게 팬레터를 썼던 에릭 펜비(Eric Fenby)를 비서로 고용했고, 딜리어스 최후의 몇 년 간의 작품은 펜비가 대필했다. 펜비는 나중에 딜리어스와의 작업 경험에 대해 책을 쓰기도 했는데, 이 책에 기초한 켄 러셀 감독의 TV용 영화 《Song of Summer》(1968)에서는 맥스 에이드리언(Max Adrian)이 딜리어스 역으로, 크리스토퍼 게이블(Christopher Gable)이 에릭 펜비 역으로 출연했다.

작품

그의 잘 알려진 몇몇 곡을 꼽으면 다음과 같다:

  • 봄의 첫 뻐꾸기 소리를 들으며 (On Hearing the First Cuckoo in Spring)
  • Brigg Fair
  • A Village Romeo and Juliet
  • A Mass of Life
  • 레퀴엠 (Requiem)
  • Koanga

덜 자주 연주되는 작품 중에는 바이올린 협주곡, 바이올린과 첼로를 위한 이중 헙주곡, 그리고 색채감 넘치고 회화적인 교향시 〈파리: 위대한 도시에 대한 노래〉 등이 있다.

그의 오페라에서 추린 관현악 발췌곡, 가령 《Koanga》— 1880년대에 쓴 플로리다 모음곡에서 유래한 곡 — 에서 발췌한 〈La Calinda〉나 《A Village Romeo and Juliet》에서 발췌한 〈The Walk through the Paradise Garden〉은 어느 정도 자주 연주되고 녹음되기도 하며, 〈봄의 첫 뻐꾸기 소리를 들으며〉와 같은 작품도 그러하다. 실내악곡도 다수 남겼는데, 성숙한 세 개의 바이올린 소나타와 한 개의 첼로 소나타, 그리고 현악 사중주 등이 있다.

서훈

 

주해

  1. 이동 영국에서 태어났지만 부모가 독일인이었으며, 생애 대부분을 미국과 프랑스 등지에서 보냈다.

각주

  1. 이동 “Second Supplement to The London Gazette: 1929 New Year Honours”. 《The Gazette》 (영어) (런던) (33472): 1444. 1929년 2월 26일. 2016년 10월 5일에 확인함. 

바깥 고리

 

 

1860년에 영국으로 귀화한 독일 제조업자의 아들로 태어나 브래드퍼드 그래머스쿨과 런던 아일워스에 있는 인터내셔널 칼리지에서 교육을 받았다. 아버지의 회사에서 외판원으로 일하다가, 1884년에 미국 플로리다로 가서 오렌지 농장을 경영하면서 틈틈이 오르간 연주자인 친구 토머스 워드에게 음악을 배웠다.

1886년에 플로리다를 떠나 독일 라이프치히로 가서 어느 정도 정규적인 음악 교육을 받았고, 노르웨이 작곡가인 에드바르트 그리그와 친구가 되었다. 2년 후 파리로 거처를 옮겼으며, 1897년부터는 여류 화가인 로젠과 함께 파리 근처 그레쉬르루앙(센에마른)에서 살았으며 1903년 결혼했다. 바이올린과 관현악을 위한 〈전설 Legend〉(1893)을 발표하기 전에 쓴 작품은 몇 곡의 가곡, 관현악 모음곡 〈플로리다 Florida〉, 오페라 〈이르멜린 Irmelin〉뿐이었다. 그 후 좀더 야심적인 작품들을 발표하여, 20세기 초반의 10년 동안 특히 독일에서 상당한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그가 작곡한 6편의 오페라 가운데 〈코앙가 Koanga〉(1895~97)·〈마을의 로미오와 줄리엣 A Village Romeo and Juliet〉(1900~01)·〈페니모어와 게르다 Fennimore and Gerda〉(1908~10)의 3편과 대규모 합창곡·관현악곡인 〈애팔래치아 Appalachia〉(1902)·〈해류 Sea Drift〉(1903)·〈파리, 위대한 도시의 노래 Paris, the Song of a Great City〉(1899)는 독일에서 초연되었다. 그후 그의 명성은 영국까지 퍼졌는데, 이는 주로 그의 음악을 가장 훌륭하게 해석한 토머스 비첨 경 덕분이었다.

 

딜리어스는 60년대 초반에 완전히 눈이 멀었고 온몸이 마비되어 버렸지만, 비서인 에릭 펜비에게 한 음씩 받아 적게 해서 작곡을 계속했다. 그밖에 주요작품으로는 니체의 소설에 바탕을 둔 〈인생의 미사 A Mass of Life〉(1904~05), 〈진혼곡 Requiem〉(1914~16), 관현악을 위한 〈브리그 박람회 Brigg Fair〉(1907), 다양한 악기를 위한 협주곡 4곡,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 3곡, 그리고 많은 관현악 소품과 가곡이 있다. 1929년에는 토머스 비첨 경이 주도한 '딜리어스 페스티벌'이 개최되었다.그의 음악은 표현법이 독특하고 독창적이라는 점에서 같은 시대에 살았던 엘가의 음악과 쌍벽을 이루며, 많은 사람들은 그를 엘가와 동등한 작곡가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표현 영역이 엘가만큼 넓지 못했고 창작력도 활발하지 못했다.

 

오늘날에도 계속 연주되고 녹음되는 작품은 교향시 〈언덕 너머 저 멀리 Over the Hills and Far Away〉(1895)와 관현악을 위한 〈무용 광시곡 Dance Rhapsodies〉 2곡(1908, 1916), 2곡의 관현악 소품인 〈강물 위의 여름밤 Summer Night on the River〉(1912)·〈봄 뻐꾸기의 첫 음을 듣고 on Hearing the First Cuckoo in Spring〉, 관현악·합창·독창을 위한 〈황혼의 노래 Songs of Sunset〉(1906∼07) 등이다.

[다음백과]

2017. 7. 11 1차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