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 도서관 ♣/- 역사, 정치

[역사]동아시아 근현대통사 - 화해와 협력을 위한 역사인식

Bawoo 2018. 6. 27. 23:49

아시아 근현대통사 - 화해와 협력을 위한 역사인식

동아시아 근현대통사



[책 소개]

일본의 진보적 석학 7인, 동북아시아와 동남아시아를
아우르는 거대한 역사의 흐름을 조망하다

우리를 둘러싼 정세와 나아갈 방향을 통찰하기 위해 반드시 읽어야 할 책!

2차 세계대전이 끝난 이후 현재까지도 동아시아는 여전히 갈등과 대립의 불씨가 남아 있다. 더욱이 중국이 미국에 버금가는 초강대국으로 부상하면서 새로운 긴장의 기운이 흐르고 있다.
이 현실은 어떤 역사 흐름의 결과로 만들어진 것인가? 동아시아는 전쟁과 폭력의 시대를 넘어 ‘화해와 협력의 미래’를 어떻게 구축해나갈 것인가? 이를 통찰하기 위해서는 역사를 직시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이 책은 이런 문제의식 아래, 19세기 이후 다양하고 복잡하게 전개되어왔던 동아시아 각국의 근현대사를 서로 관련시켜 총체적으로 들여다본다. 동아시아 각국의 역사를 전문적으로 연구한 학자들이 지역사를 서술하면서도 동아시아사라는 큰 틀 속에서 상호 연관성을 강조하고, 나아가 미래를 향한 지역 통합 가능성에도 주목하고 있는 것이다.



저자소개

저자 와다 하루키

저서(총 20권)
1938년 오사카에서 태어나 1960년 도쿄대학교 서양사학과를 졸업했다. 1966년부터 도쿄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교수로 재직하면서 러시아사 및 남북한 현대사에 대해 연구했으며 1998년에 정년퇴직했다. 러시아사와 북한 현대사 연구에 뛰어난 업적을 남겼으며 학자로서의 활동뿐 아니라 1970년대부터 베트남전 반대 운동, 한국 민주화운동과의 연대 등을 주도해 일본을 대표하는 행동하는 진보 지식인으로 한국에 알려져 있다. 현재 도쿄대학교 명예교수로 있으며 동북아시아 평화를 위해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2010년 제4회 후광 김대중 학술상을 수상했고, 2012년에는 DMZ 평화상을 수상했다.저서로는 『김일성과 만주항일전쟁』 『한국전쟁』 『북조선: 유격대국가에서 정규군국가로』 『동북아시아 공동의 집』『러일전쟁과 대한제국』등이 한국에 출판됐으며, 『어느 전후정신의 형성 1938-1965』 『일러전쟁』 『개국-일러국경 교섭』 『북방영토 문제-역사와 미래』 『꼭 알아야 할 일본과 조선 100년사』 등이 있다.
저자 와다 하루키의 다른 책더보기
일본군'위안부' 문제의 해결을 위하여일본군'위안부' 문제의 해결을 위하여역사공간2017.02.09
アジア女性基金と慰安婦問題 回想と檢證アジア女性基金と慰安婦問題 回想と檢證明石書店2016.11.08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해결을 위하여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해결을 위하여역사공간2016.10.01
スタ-リン批判1953~56年スタ-リン批判1953~56年作品社2016.06.28

저자 조경달

저서(총 1권)
1954년생. 치바대학(千葉大學) 문학부 교수. 한국 근대사, 근대 한일관계사(비교사상) 전공.

저자 나카노 사토시

저서(총 1권)
1959년생. 히토쓰바시대학(一橋大學) 대학원 사회학연구과 교수. 국제관계사(미국-필리핀 관계사) 전공.

저자 가와시마 신

저서(총 1권)
1968년생. 도쿄대학(東京大學) 대학원 종합문화연구과 준교수. 동아시아 국제관계사, 중국 근현대사 전공.

저자 고토 겐이치

저서(총 1권)
1943년생. 와세다대학(早稻田大學) 명예교수. 동남아시아 근현대사, 일본-아시아 관계사 전공.

저자 기바타 요이치

저서(총 1권)
1946년생. 세이조대학(成城大學) 법학부 교수. 영국 현대사, 국제관계사 전공.

저자 야마무로 신이치

저서(총 1권)
1951년생, 교토대학(京都大學) 인문과학연구과 교수. 일본 근대정치사, 법정사상연쇄사 전공.
역서(총 12권)
역자 한철호 (역자평점 0)
현재 동국대학교 역사교육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한국근현대사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고려대학교 사학과 및 동 대학원 사학과를 졸업했으며 한림대학교 대학원 사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저서로 『친미개화파연구』, 『한국근대사강의』(공저)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동아시아 속의 한일 2천년사』, 『역사적 사고와 역사교육』, 『일본이라는 나라』, 『1905년 한국보호조약과 식민지지배책임』, 『미국의 대한 정책, 1834~1950』『한국 근대 개화파와 통치기구 연구 』『식민지 조선의 일상을 묻다』등이 있다. 「갑오개혁·아관파천기(1894~1897) 일본의 치외법권 행사와 조선의 대응」, 「우리나라 최초의 국기(‘박영효 태극기’, 1882)와 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 제작 국기(1884)의 원형 발견과 그 역사적 의의」 등의 논문을 발표했다.
역서(총 1권)
역자 이규태 (역자평점 0)
한일장신대학교 인문사회과학부에서 역사학 교수를 거쳐 현재 동국대학교 대외교류연구원 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일본 히토쓰바시대학(一橋大學) 사회학부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사회학연구과에서 석?박사학위를 받았다. 집필한 책으로 『占領改革の國際比較―日本, アジア, ヨ-ロッパ』, 『米ソの朝鮮占領政策と南北分斷體制の形成過程』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일본군 군대위안부』, 『야스쿠니 신사』, 『전쟁인가 평화인가』 등이 있다.
역서(총 1권)
역자 심재욱 (역자평점 0)
현재 제주대학교 재일제주인센터 학술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동국대학교 역사교육과를 졸업하고 동국대학교 대학원 사학과에서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함께 집필한 책으로 『식민지 조선과 매일신보―1910년대』, 『강제동원을 말한다―명부편』, 『제국 일본의 하늘과 방공, 동원 1―방공정책과 식민지 조선』 등이 있다.


목차

들어가는 글

1장 동아시아의 근대: 19세기
머리말
1. 19세기 전반의 질서 변화
2. 불평등조약의 동시대적 의미
3. 개항장 네트워크의 형성
4. 동남아시아 국가들의 식민지화
5. 19세기의 사회 변화: 이민, 종교, 군사화
6. 내륙 아시아의 변화
7. 근대국가와 만국공법
8. 일본의 대두와 동아시아
9. 청일전쟁과 동아시아
맺음말

2장 러일전쟁과 한국병합: 19세기 말∼1900년대
1. 청일전쟁 후의 동북아시아
2. 세기말의 제국주의적 아시아 분할
3. 의화단 사건과 러청전쟁
4. 영일동맹 체결에서 러일전쟁 개전으로
5. 러일전쟁과 동아시아
6. 포츠머스조약
7. 러일전쟁 후의 동아시아
8. 한국병합

3장 1차 세계대전과 개조: 1910년대
1. 일본의 대국화
2. 무단통치와 3?1운동
3. 다이쇼 데모크라시와 조선
4. 신해혁명과 그 영향
5. 5?4운동의 전개
6. 1차 세계대전과 인도
7. 1차 세계대전과 동남아시아

4장 사회주의와 내셔널리즘: 1920년대
1. 세계사 속의 1920년대
2. 동아시아의 1920년대
3. 윌슨의 14개조와 내셔널리즘
4. 국제?비국제 조직과 ‘문화’
5. 위임통치와 식민지
6. 베르사유?워싱턴체제와 동아시아
7. 코민테른과 ‘동방’
8. 소비에트연방 수립과 시베리아
9. 소비에트연방 수립과 중앙아시아
10. 만주를 둘러싼 환경
11. 일본제국과 식민지
12. 중국의 정권 교체
13. 동남아시아의 내셔널리즘
14. 1920년대 동남아시아 경제
15. 1930년대의 전망

5장 새로운 질서의 모색: 1930년대
1. 위기와 모색의 1930년대
2. 생활 개신운동과 농촌 질서의 재편
3. 식민지의 저항과 자치?독립 모색
4. 제국 일본의 전시체제화
5. 중일전쟁과 중국의 정치공간
6. 광역질서의 모색과 ‘경계를 넘나드는’ 인적 교류

6장 아시아태평양전쟁과 ‘대동아공영권’: 1935~1945년
1. 질풍노도 시대의 서막 1935~1937년
2. 중일전쟁 시기의 동아시아
3. 대동아공영권의 시대
맺음말

7장 아시아 전쟁의 시대: 1945~1960년
1. 전쟁 직후의 아시아와 일본
2. 탈식민지화 과정의 시동
3. 냉전의 도래
4. 새로운 지역질서의 모색
5. 신생 아시아 속의 일본
6. 냉전과 탈식민지화의 교착

8장 베트남 전쟁의 시대: 1960~1975년
머리말
1. 베트남전쟁으로 가는 길
2. 미국의 전쟁
3. 동아시아의 전환기
맺음말

9장 경제발전과 민주혁명: 1975~1990년
1. 베트남전쟁 종료 후의 아시아
2. 새로운 대립구도: 2개의 동맹
3. 3개의 국지전쟁
4. 경제발전
5. 신냉전의 움직임
6. 민주혁명
7. 페레스트로이카와 미소냉전의 종언
8. 걸프전쟁과 소련의 종언

10장 공동 토론 - 화해와 협력의 미래로: 1990년 이후
1. 세기전환기의 국제질서
2. 아시아에서의 민주화 조류와 역류
3. 전후처리와 역사인식 문제
4. 동아시아 세계의 행방

맺는 글
참고문헌
연표
옮긴이의 글
집필진 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