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근현대 중국화가 당운(唐雲)의 <좌은춘도(坐隱春潮)> (1949年作, 設色紙本, 97×41cm)
誰知坐隱妙通仙 國手那能得万全
對面機關難測度 臨危一着謾爭先
(수지좌은묘통선 국수나능득만전
대면기관난측도 임위일착만쟁선)
누가 아는가 바둑은 기묘하여 신선과 통한다는 걸
국수는 어찌 그리 만전을 기하는지
바둑판에 얼굴 맞대니 예측이 어려운데
위기를 맞아 한 수 놓으며 공연히 선수를 다투네
☞ 여정(余靖/北宋), <답백공초기(答伯恭招棋))>
- 坐隱: 바둑(奕棋, 博奕, 圍棋, 手談)의 별칭.
- 國手: (장기나 바둑 등에서) 나라 최고의 인물.
- 那能: 어떻게 하다.
- 機關: 계모(計謀). 심기(心機). 여기서는 바둑판 위의 형세.
- 測度: 예상(추측, 짐작)하다.
◇ 근현대 중국화가 채학정(蔡鶴汀)의 <대혁도(對奕圖)> 경편(鏡片) (設色紙本, 113×39cm)
◇ 근현대 중국화가 강한정(江寒汀)의 <對奕圖> 성선(成扇) (1961年作, 設色紙本, 18.5×50cm)
◇ 근현대 중국화가 원송년(袁松年)의 <對奕圖> (68×36m)
◇ 근현대 중국화가 유자구(劉子久)의 <對奕圖> (設色紙本, 88.5×50cm)
◇ 근현대 중국화가 화원(花元)의 <對奕圖> (紙本, 137×67cm)
출처 : 청경우독(晴耕雨讀)
글쓴이 : 경화수월鏡花水月 원글보기
메모 :
'♣ 미술(美術) 마당 ♣ > [중국화-시와 그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심선(尋僊) (0) | 2018.11.28 |
---|---|
[스크랩] 추색무원근(秋色無遠近) (0) | 2018.11.23 |
[스크랩] 갱욕왕매이경전(更欲往買二頃田) (0) | 2018.11.19 |
[스크랩] 전당관조(錢塘觀潮) (0) | 2018.11.16 |
[스크랩] 반산모옥유인주(半山茅屋幽人住) (0) | 2018.1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