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學九
1922년(?) ~ 1963년
6.25 전쟁 당시 남침을 감행한 북한군 부대 중 하나였던 13사단의 참모장이였다[1]. 계급은 총좌[2].
13사단은 6.25전쟁 초반에 한국군과 미군을 밀어붙이며 낙동강 전선까지 진격했으나, 인천상륙작전으로 인하여 부대가 고립되었다. 이 때 리학구는 자신이 모시던 사단장인 홍용진(洪鏞鎭) 소장과 후퇴하네 마네 하면서 옥신각신했다. 리학구는 조금이라도 빨리 후퇴해서 병력이라도 살려보자는 반면, 홍용진은 결사항전으로 버티자고 해서 두 사람은 심하게 말다툼을 했다. 결국 리학구는 홍용진을 자신의 권총으로 쏴 팔에 부상을 입히고 탈출하여 1950년 9월 21일 오전 다부동 남쪽 4km 지점에 있는 삼산동 부근 길가에서 자고 있던 미 제1기병사단 제8기병연대 소속 병사를 흔들어 깨워서 투항했다. 앞서 8월 29일 13사단 포병 연대장 정봉욱(鄭鳳旭) 중좌가 한국군 1사단에 투항한데 이은 고위 장교의 투항이었다. 그 후 북한군 1사단, 3사단, 13사단은 다부동 전투에서 와해되어 상주 방면으로 후퇴했으며 특히 13사단은 유난히 많은 귀순·투항자를 내고 사실상 궤멸되었다.
미군에 투항한 뒤 이송중인 이학구.
리학구는 당시 28세의 젊은 나이였지만 전반적인 전황을 잘 아는 고위 장교로서 귀중한 존재였다. 그는
북한군의 불법남침을 증명해 주는 북한군의 작전명령 제1호 등 중요한 정보자료를 제공하였다.
그러나 미군 측에서는 투항한 리학구를 포로로 취급하여 거제도에 있는 포로수용소에 감금했다. 리학구는 거듭 대한민국에 귀순하겠다고 밝혔으나 미군 측에서 거절했다. [3] 그래도 고위 장교였기에 미군 측으로부터 상당한 예우를 받았다.[4]
리학구 등의 포로들이 수용된 거제도 포로수용소는 말 그대로 헬게이트였다. 친공포로와 반공포로가 툭하면 현피를 떴고 현피만 뜨면 반드시 사상자가 발생했다. 심지어는 친공포로들이 포로수용소장 돗트 준장을 생포해서 인질극을 벌이는 상황까지 갔다[5]. 이 상황에서 리학구는 단지 포로들 중 가장 계급이 높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친공포로의 대표자가 되었다. 이로 인해 리학구의 위장투항설이 거론되기도 했었다. 포로수용소에 수용된 전쟁 포로들은 그를 공산주의자라는 것만 빼고는 훌륭한 인격의 소유자였다고 평가하였다고.
결국 리학구는 윌리엄 F. 딘 소장과 포로교환이 이루어져[6] 북한으로 송환되었다. 송환된 후 1963년 자살로 생을 마감했다.
리학구 - 나무위키 2020.11.05.
미군을 밀어붙이며 낙동강 전선까지 진격했으나, 인천상륙작전으로 인하여 부대가 고립되었다. 이 때 리학구는 자신이 모시던 사단장인 홍용진(洪鏞鎭) 소장과 후퇴하네 마네 하면서 옥신각신했다. 리학구는 조금...
'♣ 역사(歷史) 마당 ♣ > - 인물, 단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제 강점기, 미군정기의 사회주의 운동가]박종근 (0) | 2019.08.24 |
---|---|
[임진왜란 관련- 다대포 전투에서 순절한 장군] 尹興信( ? ~ 1592년) (0) | 2019.08.10 |
[공산주의 항일운동가 겸 북한 군인] 리권무(李權武) (0) | 2019.07.29 |
[변절한 사회주의 계열 독립운동가] 오성륜(吳成崙) (0) | 2019.07.24 |
[친일 반민족 행위자 -의병대장 이강년 선생을 체포, 사형당하게 한 인물]박두영(朴斗榮) (0) | 2019.07.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