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사(歷史) 마당 ♣/- 영국

[수단 반군에게 죽임을 당한 장군] 찰스 조지 고든(Charles George Gordon)

Bawoo 2019. 10. 8. 20:29




찰스 조지 고든
Charles George Gordon
이집트 옷을 착용한 고든
출생1833년 1월 28일
런던
사망1885년 1월 26일
수단 하르툼
성별남자

찰스 조지 고든(Charles George Gordon, 1833년 1월 28일 ~ 1885년 1월 26일) 는 영국의 군인이다. 다른 이름는 고든 파샤(Gordon Pasha), 고든 하르툼(Gordon Khartoum), 중국 고든(Chinese Gordon)이다. 스코틀랜드의 군인 집안에서 출생하였다.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한 후 크림 전쟁에 참가하였다. 1860년 중국에 파견된 후, 태평 천국의 난의 평정에 참가하여 공을 세웠으며, 이집트 총독, 수단 지사를 거쳐 수단 총독이 되었다. 북아프리카의 통제에 전력, 수단의 반란 토민을 토벌하던 중에 전사하여 효수당했다.[위키백과]

======================================================================

중국에서 세운 공적과 수단 반란군을 상대로 한 비극적인 하르툼 수비로 국가적인 영웅이 되었다.

포병장교의 아들로 태어나 1852년 영국 육군공병대 소위로 임관되었고 크림 전쟁(1853~56) 때는 세바스토폴 포위공격전에서 거침없는 용맹을 떨쳤다.

1859년 대위가 되었으며, 이듬해 '애로호(號)' 전쟁에서 청나라와 싸우고 있는 영국군에 지원했다. 1860년 10월 베이징 점령에 참가했고 황제의 여름별장을 불태우는 작전을 직접 지휘하기도 했다. 1862년 5월 그의 공병대는, 유럽인의 교역중심지인 상하이[上海]의 보루들을 강화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그때 상하이는 태평천국운동을 일으킨 민중들에게 함락될 위기에 있었다. 1년 후 그는 상하이 방어를 위해 조직된 3,500명의 농민군, 이른바 '상승군'을 지휘하는 사령관이 되었다. 그때부터 18개월 동안 그의 상승군은 태평천국운동 진압에서 결정적일 정도는 아닐지라도 중요한 역할을 했다.

1865년 1월 귀국했을 때, 열광한 영국민은 이미 그를 '차이니스 고든'으로 부르고 있었다. 귀국 후 5년 동안 켄트에 있는 그레이브젠드 육군공병대 사령관을 지내면서 신비주의적이고 비정통적인 자신의 그리스도교 종파를 만들어냈고 가난한 청년들을 위해 자선사업을 벌이기도 했다.

보통 유럽인만을 고용했던, 이집트의 이스마일 파샤 부왕은 1873년 그를 수단의 에콰토리아 주(州) 지사로 임명했다. 그곳에서 근무하면서 1874년 4월부터 1876년 12월까지 상나일강 지도를 만들고 강을 따라 남쪽으로 지금의 우간다에 이르는 지역까지 정박지들을 건설했다. 영국에 잠시 머문 뒤 다시 이집트 부왕 밑에서 수단 총독으로 일하기 시작했다. 그는 노예무역을 억제하고 여러 반란을 진압함으로써 이 광대한 지역에서 지배권을 다졌다. 1880년 건강이 악화되어 영국으로 돌아왔고 그뒤 2년 동안 인도와 중국, 모리티우스, 남아프리카의 케이프 식민지 등지에서 근무했다.

1884년 이슬람교도 신비주의자 무하마드 아마드 알마디가 이끄는 수단 반란군의 위협을 받고 있는 하르툼에서 이집트 군대를 철수시키라는 영국 정부의 명령을 받고 총독으로 재임명되어 그해 2월 하르툼에 도착했다. 반란군은 3월에 하르툼을 완전 포위했으며, 다음해 1월 26일 드디어 하르툼을 함락하고 그를 비롯한 방위군을 살해했다. 그가 죽자 영국 국민들은 '하르툼의 고든'을 순교한 군인 성자로 떠받들고, 포위된 그를 구하지 못했다고 정부관리들을 비난했다.

〈빅토리아 시대의 명사들 Eminent Victorians〉(1918)을 쓴 리튼 스트래치 같은 전기작가들은 포위된 마지막 순간까지 철수할 기회가 있었으나 그가 정부명령을 거역하면서 일부러 철수하지 않았다고 한다. 앤소니 너팅도 그가 쓴 〈하르툼의 고든:순교자와 부적임자 Gordon of Khartoum:Martyr and Misfit〉(1966)에서 이와 같은 견해를 나타내고 있다.[다음 백과]



〈고든 장군의 최후〉, 1893년

ⓒ George William Joy / Wikimedia Commons | Public Domain


Gordon, from a photograph taken shortly after the Crimea.

Charles Gordon as a tidu (Captain General).


General Gordon in Egyptian uniform.


Muhammad Ahmad, the self-proclaimed Mahdi.


Gordon's head shown to Slatin.


Memorials[edit]

Rebuilt Gordon Hall near Haihe River in Tianjin, China
General Charles George Gordon Statue in Gravesend
Statue in Gordon Reserve, Melbourne, Australia


Statue of Gordon, seated on a camel, which stood in front of the palace in Khartoum prior to Sudanese independence in 1956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