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사(歷史) 마당 ♣/- 영국

[노예제 폐지론자]Thomas Clarkson/William Wilberforce

Bawoo 2020. 8. 29. 22:56

Thomas Clarkson[토마스 클라크슨]

1760. 3. 28, 잉글랜드 케임브리지셔 위즈비치~1846. 9. 26, 서퍽 입스위치 

 

영국의 노예제 폐지론자.

 

영국에서 노예 무역과 식민지의 노예제에 반대하는 운동을 효과적으로 홍보한 최초의 인물 가운데 한 사람이었다. 클라크슨은 성직에 들어가 부제로 서품을 받았지만, 1785년부터 노예제 폐지에 인생을 바쳤다. 1786년 〈노예 제도와 인간 무역에 관한 시론 An Essay on the Slavery and Commerce of the Human Species〉을 출간했는데 이를 계기로 그랜빌 샤프와 윌리엄 윌버포스를 비롯한 노예제 반대론자들과 사귀게 되었다.

1787년에 그는 이들과 함께 노예 무역 폐지를 위한 단체를 결성했다. 또한 그의 논설은 에드먼드 버크와 찰스 제임스 폭스 및 윌리엄 소(小)피트의 공감을 얻었다.

클라크슨은 〈노예 무역과 그 폐지가 가져올 수 있는 결과에 관한 소견 A Summary View of the Slave Trade and of the Probable Consequences of Its Abolition〉(1787)이라는 소책자를 쓰기 위해 영국 항구들을 방문해 자료를 수집했다. 그가 수집한 자료는 윌버포스가 이끄는 의회 내 노예제 반대운동에 활용되었다.

이 운동은 프랑스와 전쟁을 시작한 초기에는 거의 진전을 보지 못했는데 많은 의원들이 노예무역이 국부를 가져다주고 해군의 훈련에 도움이 된다고 믿었기 때문이었다. 1807년에 마침내 노예 무역 폐지 법안이 통과되었고, 이듬해 클라크슨이 쓴 2권의 노예 무역사가 출판되었다. 캐슬레이 자작이 1815년에 노예 무역에 대한 강대국들의 비난을 얻어낸 것은 클라크슨의 지속적인 노력에서 나온 결과이기도 했다. 그후 아헨 열국 회의(1818)에서는 노예제도를 국제적으로 폐지하는 강제 시행 조치가 논의되었지만, 이 논의는 아무 성과를 낳지 못했다. 아헨 회의가 끝난 뒤 클라크슨은 직접 러시아의 알렉산드르 1세에게 정신적 지원을 요청했다. 노예제 폐지 협회가 결성되었을 때(1823) 클라크슨이 부회장으로 선출되었다.[다음백과]

------------------------------------------------------------------------

William Wilberforce [윌리엄 윌버포스]

1759. 8. 24, 잉글랜드 요크셔 헐 ~1833. 7. 29, 런던 

 

1787년부터 영국의 해외점령지에서 노예무역을 폐지하고 나아가 노예제 자체를 폐지하기 위한 탁월한 투쟁을 벌였다. 케임브리지대학교 시절에는 후일 총리가 된 소 윌리엄 피트의 절친한 친구였으며 출중한 학생은 아니었지만 동료들에게 호감을 얻었다. 1780년 피트와 나란히 하원에 들어가 곧 의회개혁과 로마 가톨릭교도의 정치적 해방을 지원하기 시작하면서 급진주의자라는 명성을 얻게 되었다. 이때문에 나중에, 특히 프랑스 혁명기에 프랑스의 명예시민으로 선정되어(1792. 9) 곤란을 겪었다. 1815년부터 곡물법(수입곡물에 대한 관세조치)을 지지하고 노동계급의 선동에 대한 탄압 조치를 옹호했다. 1821년부터 토머스 포얼 벅스턴 경과 함께 모든 노예의 즉각적인 해방을 주장했다. 1823년 '영국령 전역의 노예제도 완화와 점진적 폐지를 위한 협회'를 창설하고 부회장이 되었다. 이 협회 또한 반노예제협회로 더 잘 알려져 있다. 윌리엄 윌버포스는 의회 내 노예제폐지 운동의 지도권을 벅스턴에게 넘겨주고 1825년 하원에서 은퇴했다.

목차펼치기

윌버포스(William Wilberforce)

ⓒ Karl Anton Hickel/wikipedia | Public Domain

윌리엄 윌버포스는 1787년부터 영국의 해외점령지에서 노예무역을 폐지하고 나아가 노예제 자체를 폐지하기 위한 탁월한 투쟁을 벌였다. 케임브리지대학교 시절에는 후일 총리가 된 소(小)윌리엄 피트의 절친한 친구였으며 출중한 학생은 아니었지만 동료들에게 호감을 얻었다.

1780년 피트와 나란히 하원에 들어가 곧 의회개혁과 로마 가톨릭교도의 정치적 해방을 지원하기 시작하면서 급진주의자라는 명성을 얻게 되었다. 이 때문에 나중에, 특히 프랑스 혁명기에 프랑스의 명예시민으로 선정되어(1792. 9) 곤란을 겪었다. 1815년부터 곡물법(수입곡물에 대한 관세조치)을 지지하고 노동계급의 선동에 대한 탄압 조치를 옹호했다.

윌리엄 윌버포스의 노예폐지론은 1784~85년에 받아들인 복음주의 그리스도교 사상에 일부 기반을 둔 것이다. 1787년 풍속 개혁을 위한 선언협회(Proclamation Society:외설물 출판 억제를 목적으로 함)와 노예무역폐지협회(반노예제협회라는 명칭으로 더 잘 알려져 있음) 등의 창설을 도왔다. 윌버포스는 동료 토머스 클라크슨, 그랜빌 샤프, 헨리 손턴, 찰스 그랜트, 에드워드 제임스 엘리엇, 재커리 매콜리, 제임스 스티븐 등과 아울러 보통 '성자단'으로, 1797년 이후는 클래펌파(Clapham Sect)라고 불렸으며 이 그룹의 지도자로 공인되었다.

하원에서는 달변에다 지칠 줄 모르는 반노예제 입법의 후원자로 활동했다. 1807년 3월 25일 영국령 서인도제도의 노예무역 폐지안이 법률로 확정됨으로써 첫번째 성공을 거두었다. 그러나 이 법률은 법률 확정 이전에 노예가 된 사람의 법적 지위를 변화시키지는 못했다. 몇 년 간 윌리엄 윌버포스는 다른 문제에 매달려 있다가 1821년부터 토머스 포얼 벅스턴 경과 함께 모든 노예의 즉각적인 해방을 주장했다.

1823년 '영국령 전역의 노예제도 완화와 점진적 폐지를 위한 협회'를 창설하고 부회장이 되었다. 이 협회 또한 반노예제협회로 더 잘 알려져 있다. 윌리엄 윌버포스는 의회 내 노예제폐지 운동의 지도권을 벅스턴에게 넘겨주고 1825년 하원에서 은퇴했다. 윌버포스가 추구하던 노예제도 폐지법은 그가 죽고 난 1개월 후에 통과되었다.[다음백과]

 

[정보] 책 - 노예선의 세계사:후루가와 마사히로 지음 | 김효진 옮김 (AK Trivia 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