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사(歷史) 마당 ♣/- 인물, 단체

[대한제국기- 덕유산을 중심으로 활동한 의병들의 무덤 및 의병장]칠연의총(七淵義塚), 신명선(申明善)

Bawoo 2021. 4. 5. 22:21

칠연의총

위치, 문화재 지정

전라북도 무주군 안성면 칠연로 608 (안성면)
[칠연의총] 전라북도 기념물 제27호(1976.04.02 지정)

칠연의총은 한 말에 일본군과 싸우다 목숨을 잃은 의병장 신명선(申明善)과 그의 부하들이 잠든 곳이다. 시위대 소속 군인이었던 신명선은 순종 융희 원년(1907) 정미칠조약이 체결되어 우리의 군대가 해산 당하자 무주에 들어와 덕유산을 거점으로 의병을 모집, 무주·장수·순창·용담·거창 등지에서 일본군과 싸우면서 많은 공을 세웠다. 융희 2년(1908) 4월 신명선은, 계속된 전투로 인해 피로에 지친 부하들과 함께 이곳 칠연계곡 송정에서 휴식을 취하고 있다가 일본군에게 기습을 당하였다. 이에 마지막까지 목숨을 걸고 싸웠으나, 숫적인 열세로 150여 명의 대원과 함께 장렬하게 최후를 마쳤다. 훗날 부근에 살고 있던 주민들은 신명선과 그의 부하들의 유해를 묻고 칠연의총이라 불렀다. 칠연의총은 기울어져 가는 조국을 수호하기 위해 목숨을 바친 선열들의 넋이 서린 곳이다.[출처:대한민국 구석구석]

--------------------------------------------------------------------------------------------------------

신명선(申明善)

미상~1908년(순종 1)

 

별명은 명선(明先). 전라북도 무주 출신.

1907년 8월 일제에 의하여 한국군이 강제 해산되자, 전라북도 무주 덕유산을 거점으로 동지를 규합해서 의거하였다.

그 해 10월 전라북도 진안군 정천면 양원사(梁院寺)에서 의병장 김동신(金東臣)의 의진과 합세하여 일본군과 교전하여 큰 타격을 주었다. 순창·무주·진안 등지에서 항일투쟁과 국권회복운동의 전개를 독려하는 활동을 적극적으로 전개하였다.

1908년 4월 무주·안성 등지로 이동하여서 그들을 추격한 일본군 부대와 최후까지 분전하면서 지휘하던 중 일본군에 의하여 수명의 동지와 함께 피살되어 순국하였다. 1977년에 건국포장, 1990년 애국장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 ・ 『신명선의병장전(申明善義兵將傳)』
  • ・ 『적성지(赤城誌)』
  • ・ 『대한민국독립유공인물록』(국가보훈처, 1997)
  • ・ 『독립운동사자료집』 3(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1)
  • ・ 『독립운동사』 1(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0)
  • ・ 『한국독립운동사』(애국동지원호회, 1956)[
  • [출처: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

신명선은 전라북도 무주군 출신으로 알려졌지만 출생년도는 알 수 없다. 그는 1907년 대한제국군이 강제해산되자 의병을 일으킬 것을 결의하고 문금서(文今西)와 함께 부하 150명을 거느리고 무주와 경상남도 안의 일대에서 활약했다. 그는 1907년 11월 30일 황덕화·황이만(黃二萬) 등 부하 8∼9명과 함께 총기를 휴대하고 전라북도 금산군에 사는 음대보(陰大甫)와 김내삼(金來三)의 집에 들어가 의병운동을 위한 군자금으로 금 23냥을 모금하였다.1908년 4월 10일에는 문태수와 함께 장수읍을 습격했다. 마침 주재소의 일경들은 모두 의병 토벌작전에 동원되어 나가고 한인순사 1명만 있을 따름이었다. 따라서 별다른 저항 없이 주재소의 기물을 취하는데 성공하였다. 이어서 학교·군청 등의 부속물의 건물, 그리고 일인가옥 13동을 불태우고 무주 방면으로 철수했다.

그러나 일본군 토벌대의 추격을 받은 그는 무주의 칠연계곡에서 기습을 받아 의병 100여 명과 함께 전사했다. 1975년 지방민들은 이 의로운 유해를 모아 묘소를 정화하고 7연백의총(七淵百義塚)이라 명명하였다.

대한민국 정부는 1977년 신명선에게 건국포장을 추서했고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했다. [나무위키]

 

[정보] 책 - 땅의 역사. 1시리즈

저자 박종인 | 상상출판 | 2021.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