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사(歷史) 마당 ♣/- 인물, 단체

[구한말 여류시인] 오효원(吳孝媛)

Bawoo 2021. 4. 6. 21:21

오효원[吳孝媛]

[1889(고종 26~미상)]

본관은 해주(海州). 경상북도 의성(義城) 출생. 초명은 덕원(德媛), 호는 소파(小坡)·수구(隨鷗). 아버지는 당시 관리였던 수양산인 경금옹(慶今翁) 오시선(吳時善)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9세부터 남자의 복장을 하고 글방에 다녔으며 얼마 되지 않아 시를 지을 줄 알았다고 한다.

1898년(광무 2)에는 의성과 이웃 두 군에서 실시하는 백일장에서 일등을 차지했다. 1902년(광무 6) 14세 때 공금을 사사로이 쓰는 일으로 인해 수감된 아버지를 용서받고자 홀로 상경했다. 판서(判書) 김종한(金宗漢)·민영선(閔泳璇) 등에게 울며 애걸해 부녀 결연과 사제 의리를 맺어 아버지를 구했다.

이때부터 시 모임에 나가기 시작해 당시의 유명했던 구로회(九老會)까지 출입하며 시로써 사랑을 받았다. 한편, 그녀는 이토히로부미[伊藤博文]에게도 접근해 그의 소이장을 가지고 1908년(융희 2) 신명여학교(新明女學校)를 건립한다고 20세 때에 일본에 건너갔다.

사교계에 어울리면서 4년간 학교건립기금을 기부 받았고 몇 천원에 달하는 돈을 모금해 돌아왔다. 1909년(융희 3) 24세 때 도쿄[東京]에 있던 한국공사대리(韓國公使代理) 신해영(申海永)과 약혼했으나 혼인 직전 신해영이 죽자 4년간 신명·숭신(崇信)·공옥(攻玉) 등 여학교에서 교편을 잡았다.

1916년 28세에는 학생복장을 하고 중국 상하이에 들어가 작품 활동을 하면서 『신신보사(申新報社)』에 시와 글을 게재해 생계를 유지했고 량치차오[梁啓超] 등 중국 명사와 사귀었다.

1918년 당시 베이징[北京]에 있던 윤명은(尹命殷)과 혼인하여 귀국했고 병이 들어 6년간 요양하며 기독교 세례를 받았다. 명신여학교를 세우고 가르쳤다고 하나 확실하지 않다.

죽은 연대는 확실치 않고, 1929년의 자서(自序)가 있는 것으로 보아 41세 이후가 될 것이다. 1929년에 그의 청으로 아버지가 시를 모아 『소파여사시집(小坡女士詩集)』을 발간했다.

 

참고문헌

  • ・ 『조선해어화사(朝鮮解語花史)』(이능화, 한남서림, 1926)
  • ・ 「소파 오효원의 사회활동과 시작」(김지용, 『아세아여성연구』17, 숙명여자대학교, 1978)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소파 오효원 여사의 가치와 의성의 의미2016.06.20.

ⓒ 의성군민신문 한성(漢城) 회고(懷古) 오효원 지음 삼천리 금수강산은 백왕(百王)의 기전(畿甸)인데 잎 떨어진 쓸쓸한 천지에 자주색 무궁화가 날리네. 초(楚) 나라의 분요(氛妖)로 남쪽 대궐이 어둑하고 진(秦...

www.usgmnews.com/default/all_news_body.php?idx=29396&part_idx=2..    의성군민신문

-----------------------------------------------------------------------------------------------------------------

除夜有感(제야유감) - 오효원(吳孝媛)2012.01.12.

除夜有感(제야유감) - 오효원(吳孝媛) 섣달 그믐날 밤의 느낌 爆竹聲高殘漏永(폭죽성고잔루영) : 밤도 이슥한지 오래건만 폭죽소리 드높고 連呼姐姐板新衣(연호저저판신...

cafe.daum.net/heartwings/RBOF/570   漢詩 속으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