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 도서관 ♣/[참고용 책]

건건록:동학혁명 100주년 기념 출간 - 무쓰 무네미쓰

Bawoo 2021. 5. 7. 23:17

     건건록:  무쓰 무네미쓰 |

건건-록 [蹇蹇錄]

  • 고종 31년(1894)에, 갑오농민전쟁의 발생에서 고종 32년(1895) 청일(淸日) 강화 조약을 맺을 때까지의 외교 문제를 일본 중심으로 저술한 책. 무쓰 무네미쓰(陸奧宗光)가 저술하였다. 이토 히로부미 내각의 외무대신이었던 저자가 조선 파병부터, 청ㆍ일 양국의 교섭 및 구미(歐美) 각국과의 교섭, 조선의 내정 개혁 문제, 삼국 간섭의 경위 따위를 상세히 기록하였다. 1책. 

[소감] 출판사 책 정보를 보니 1994년에 발간했던 것을 이번(2020년)에 재출간했다. 굳이 전공자가 아니라도 읽어볼 만한 책이지만, 내 경우는 많이 남지 않은 세월 탓에 책을 선별해서 읽을 수밖에 없기에 참고용으로 분류했다. 이런 책이 있다는 걸 안 소득만으로 만족하고서 ㅠㅠ .......]

 

 

책소개- 인터넷 교보문고

 

〈건건록〉은 청일전쟁을 전후하여 일본 제국주의 정부의 외교 노선 및 각국의 역학적인 외교 구조와 이해관계 등을 당시 이토 히로부미 내각의 외무대신이었던 저자가 회고록 형식으로 기록한 외교 비망록이다. 일본의 외무대신이 현직에 있으면서 아주 대담하게 외교지도의 전말을 기술하여 일본 내에서는 명저로 알려져 있다. 뿐만 아니라 중국어, 영어로 번역되어 근대 극동연구사 연구에 빼놓을 수 없는 자료로 평가받는 책이다. 따라서 이 책은 일본 근대 외교사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될 뿐 아니라 격동기의 대한민국 근대사를 살피는 데 있어서 매우 귀중한 자료로서 가치를 지닌다.

 

저자 : 무쓰 무네미쓰(陸奧宗光 ; 1844~1897)
일본 메이지 시대의 정치가. 10대 중반에 에도에 유학.
메이지 유신 때는 개국진취 정책을 역설함.
1863년 이와쿠라의 천거로 처음 관직에 오름.
다음해 세쓰현 지사, 효고현 지사로 재임하다가
그해 8월 정부 내분으로 면직되었다.
그 뒤 와카야마 번정의 개혁에 전념, 외국병제 도입을 성공시켰다.
1878년 원로원 감사로 재직중 반정부 운동에 가담했다는 이유로
징역 5년 선고, 1882년 12월 특사로 석방됨.
1883~86년까지 유럽 여러 나라에서 공부하고,
1886년 10월 변리공사라는 직위로 외무성에 들어감.
1892년 8월~1896년까지 제2차 이토 히로부미 내각에서
외무대신으로 재직(이때 조약개정을 맡음).
1895년 청일전쟁시의 공로로 백작 작위를 받음.
폐질환을 얻은 데다가 청일전쟁 때 심심을 소진한 까닭에
비교적 이른 나이에 사망함(53세).

역자 : 김승일
1955년생으로 경기 안성 출신이며, 동국대 사학과(문학학사), 대만국립정치대(문학석사),
일본 규슈대(문학박사) 등에서 중국역사를 연구하고 귀국한 후, 동아시아경제연구원
수석연구원을 거쳐 국민대와 동아대 교수를 역임하였다.
현재는 동아시아미래연구원 원장으로 연구와 강연활동에 매진하고 있다.
한중일 3개국에서의 생활과 경험을 통해 동아시아세계의 문화교류, 사회경제 교류를
중심으로 한 동아시아의 역사와 동아시아 지역의 교류와 협력에 필요한 정책을 연구하여
동아시아의 정체성을 재구성하는데 진력하고 있다.
그러한 결과물로서 〈한중일 삼국의 근대화 좌절과 성공의 사상적 배경 비교연구〉,
〈에도시기, 일본의 조선 성리학 수용과 그 의의에 대한 연구〉, 〈21세기 동아시아
협력의 이념과 전략〉 등 논문 150여 편을 발표하였고, 《한민족과 동아시아 세계》,
《한중관계의 오해와 진실》, 《중국혁명의 기원》 등 저서 35권, 《모택동 선집》,
《등소평 문선》, 《한중관계사》 등 130여 권의 역서를 출간하였다.
중국 연구에 대한 공로를 인정받아 중국정부로부터 2012년 제6회 “중화도서특수공헌상”을
수상했으며, 2015년에는 ‘중화인민공화국 국가신문출판광전총국’ 해외전문위원에 발탁되어
활동하고 있다.

 

목차

□ 이 책을 읽는 분에게 13
건건록 출간에 즈음하여 19
추천사 22
저자 머리말 27

제1장 동학당의 난 31
제2장 조선에 대한 일청 양국의 군대파견 41
제3장 오도리 특명전권공사의 귀임 및 취임 후의 조선 형세 50
제4장 조선국의 내정 개혁을 위한 일청 양국 공동위원의 파견에 대한 제안 56
제5장 조선의 개혁과 청한 종속의 문제에 관한 개설 64
제6장 조선 내정개혁의 제1기 71
제7장 구미 각국의 간섭 82
제8장 6월 22일 이후 개전하기까지 이홍장의 위치 107
제9장 조선사건과 일영조약의 개정 120
제10장 아산 및 풍도에서의 전투 134
제11장 조선 내정개혁의 제2기 153
제12장 평양과 황해전투에서의 전승결과 173
제13장 영사재판제도와 전쟁과의 관계 183
제14장 강화담판 개시 전에 있어서 청국 및 구주강국들의 거동 197
제15장 일청강화의 발단 214
제16장 히로시마 담판 232
제17장 시모노세키 담판(상) 246
제18장 시모노세키 담판(하) 267
제19장 러 독 프 삼국의 간섭 (상) 295
제20장 러 독 프 삼국의 간섭 (중) 317
제21장 러 독 프 삼국의 간섭 (하) 350

건건록 대사일지 359
□ 참고 문헌 369

------------------------------------------------------------------------------------------------------------

[참고할 만한 서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