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 도서관 ♣/- 문학(文學)

[우리 장편소설] 소금:박범신

Bawoo 2024. 9. 14. 13:26
저자:박범신
출간:2013.4.15.
 
[읽은 소감] 이 작품을 쓴 박범신 작가의 작품은 이번이 처음이다. 워낙 유명작가여서 이름, 작품명 정도는 알고 있었다. 이 작품을 읽으면서 작가 프로필을 보니 나보다 4년 빨리 태어난 1946년 생이고 등단이 1973년이다. 내가 군대에서 뺑뺑이 돌고 있던 때여서 작가에 대해 알고자 해도 알 수가 없었던 때. 이후 제대해서 "풀잎처럼 눕다"라는 작품이 어느 신문에 연재된 걸 본 기억 정도만 남아있었다. 그러다가 KBS 라디오 독서실에서 이 작품이 낭독이 되는 걸 들은 기억이 있어-지금은 낭독 자료가 사라지고 없다-기회가 오면 읽어봐야겠다고 생각한 작품 중 하나로 자리매김해 놨었다. 그러니 작품보다는 영화 "은교"이야기와 미투 관련 언론 보도를 읽은 게 먼저이다. 

요즘 작가들의 작품 중 읽을 만한 작품 찾느라 애를 먹는 중- 아마 세대 차이 아닌가 싶다. 다루는 소재가 나에게는 좀 익숙하지 않은 때문-에 작가의 이 작품을 발견, 읽어보려고 마음먹었는데 때맞춰 2022년 판 재출간-초판은 2013년이니 작가 60대 후반일 때이고 요즘 세대를 생각하고 쓴 작품이라고 한다-으로 나와있길래 이용하는 도서관에 사서 빌려달라고 부탁-도서관에 희망도서 제도가 있다-이번에 받아 읽었다. 
 
내용은 복잡하다. 시간적 배경은 현재지만 얘기는 주로 6~70년 대 나라 가난했던 시절 이야기가 주를 이룬다. 30대 후반 이혼남인 내가 얘기를 이끌어 가지만 실제 주인공은 청동조각 김이라는 별명을 가진 선명우라는 인물이다. 나나 작가와 거의 같은 시대를 살아온 아버지가 염부-소금 만드는 사람-인 찢어지게 가난한 집의 아들. 게다가 형제가 5명이다. 이 중 둘째 형은 폐결핵에 걸려 젊은 나이에 죽고 망나니 형, 여동생은 잠깐 등장했다가 사라진다. 대학을 나온 선명우에게 손을 벌리는 표현 정도 나오는 게 전부인 게 다인 채로.
화자인 나는 젊은 시절 작가를 연상하게 한다면 청동조각 김은 나이로 볼 때 현재의 작가 모습일 것으로 생각했다. 전문적인 용어로는 모르겠으나 작가를 아버지 시대의 나와 현재의  나로 나누어 구성한 것 아닐까 싶은 생각을 읽는 내내 했다. 그만큼 작 중 두 인물에서 작가의 모습이 많이 연상됐는데 나만의 생각일 수도 있겠다. 
 
선명우라는 인물은 아버지가 염부일을 하면서 힘들게 대학까지 나오게 했는데 정작 아버지는 아들이 졸업하는 날 과로로 염전에서 죽고 만다. 아들 선명우는 이걸 한으로 안고 세 딸을 둔 가장으로 살아간다. 첫사랑은 따로 있으나 자기를 좋아한 부잣집 딸과 마지못한 결혼하여 그야말로 가족을 위한 희생적 삶을 살아간다. 그러다가 막내딸 "시우"- 사라진 아버지를 찾아 나섰다가 화자인  나하고 인연이 된다- 의 생일날 우연찮게 가출을 하게 되고 이후 가족과 소식을 끊는다. 유일하게 대학을 나온 인물.
 
우리 시절에는 그랬다. 집안의 한 명-주로 장남-을 대학에 보내는 것만이 집안을 일으킨다는 생각으로 온 가족이 희생하는 삶을 살았다. 오죽하면 대학을 우골탑이라고까지 불렀을까. 논밭, 소 팔아 대학에 보낸다는. 작품은 화자인 나가 이 인물의 행적을 추적하면서 독자인 내가 살아온 가난했던 시절의 사회상 그리고 작가의 고향인 논산, 이웃한 강경, 조금 멀리 서산 이야기가 소금 이야기를 곁들여 전개된다. 작가의  고향 과거 유명 인물 이야기는 덤. 
 
작품의 전반적인 흐름은 작가가 왜 유명작가인가를 절로 느낄 수 있게 해 준다. 선명우의 급작스러운 가출, 부잣집 딸인 아내가 가난뱅이한테  빠져 집안의 반대를 무릅쓰고 반강제로 결혼을 하고 남편 선명우가 가출을 하자 자살로 연상되는 죽음을 맞이하고 결과 세 딸 중 첫 째 딸을 빼고 두 딸-시우와 언니-가 아버지가 다니던 회사 전무의 돌봄을 받다가 급기야는 둘 다 전무와 육체적인 관계까지 갖게 되는 등 통속적인 전개는 쉽사리 긍정하기 어렵지만 작품 전체 전개는 가슴을 뭉클하게 하는  감동이 있고 잔잔한 여운도 있다. 감동은 첫사랑 세희 누나에 대한 결코 잊을 수 없는 사랑, 공순이 출신 세희의 선명우에 대한 순애보적인 사랑에서 느꼈고 여운은 주인공 나와 잠자리를 하여 임신을 한  시우가 결혼, 아이를 다 원치않는 나를 떠났다가 선명우가 사라진 아버지임을 몰래 확인하고 돌아 나올 때 나를 만나 팔짱을 끼며 "오늘은 밥 안 사줘"라고 말하는 장면에서 상처가 있는 두 사람이  결혼하게 될 것임을  느낄 수 있어서였다.
 
결론은 "작가가 왜 유명 작가인가를 확인할 수 있게 해 준 좋은 작품이라는 생각을 했다"이다. 기회를 만들어 작가의 다른 박품도 읽어봐야겠다는 생각을 할 정도로. 
 
*작품에 대한 해설은 아래 자료-출처:인터넷 교보문고-를 참고 바랍니다. 
 

책소개

‘영원한 청년작가’ 박범신이 문단 데뷔 만 40년이 되는 해에 펴낸 40번째 장편소설 『소금』. 《은교》 이후 홀연히 고향 논산으로 내려간 작가가 2년여의 침묵 끝에 발표한 작품이다. 《나의 손은 말굽으로 변하고》와 《비즈니스》로 이어지는, 자본의 폭력성에 대한 ‘발언’을 모아 펴낸 3부작 중 마지막 작품이기도 하다. 거대한 자본의 세계 속에서 가족들을 위해 ‘붙박이 유랑인’으로 살 수밖에 없는, 그래서 가출할 수밖에 없는 아버지들의 이야기를 들려준다.

가족의 희망이 되기 위해 어린 시절부터 혼자 떨어져야 했던 선명우, 선명우의 가슴 속에 언제나 있었다는 세희 누나, 자식의 성공을 위해 염전을 하다가 소금 위로 쓰러진 아버지, 우연한 사건으로 만나 특별한 가족이 된 함열댁과 신애와 지애, 아버지가 사라지고 세상의 무서움을 알게 된 시우, 아버지의 희생으로 컸지만 아버지가 되기 두려운 시인 ‘나’…. 그들의 사연과 인생이 다양한 맛을 지닌 소금처럼 펼쳐진다. 아버지가 아버지이기 이전에 한 사람이었음을, 늙어가는 우리 아버지들의 모습과 삶을 되돌아보게 한다. 출처 : 인터넷 교보문고

 

 

[줄거리]
나는 배롱나무가 있는 폐교에서 시우를 처음 만난다. 시우는 스무 살이 되는 생일날, 눈이 많이 오던 날, 사라진 아버지를 찾아다니는 중이었다. 나는 우연히 강경에 갔다가 친구 텁석부리와 함께 한대수의 노래를 좋아하는 옥녀봉 꼭대기 소금집의 신비한 청동조각 김을 만나게 된다. 전신마비 남자와 함열댁, 딸 지애, 선애와 함께 사는 청동조각의 가족은 좀 특이해보였다. 청동조각을 찾아 염전에 갔다가 나는 알게 된다. ‘선기철소금’의 선기철이 시우의 할아버지 이름이라는 것을. 청동조각 김이 바로 10년 전에 시우를 버리고 사라진 시우의 아버지라는 사실을. 나는 조금씩 그의 이야기를 듣게 된다. 염전을 하던 아버지를 도와드리려고 150리나 되는 긴 길을 걸어서 갔다 온 어릴 적 이야기부터 쓰러져 있는 자신을 구해준 첫사랑 세희 누나, 추억은 잊어버리고 돈을 버는 기계로 아버지가 된 이야기까지.

 

 

 

박범신 소설가

1973년 중앙일보 신춘문예 〈여름의 잔해〉 당선으로 데뷔했다. 초기에는 주로 소외계층을 다룬 강렬한 사회 비판적 중ㆍ단편소설들이 담긴 소설집 〈〈토끼와 잠수함〉〉 〈〈덫〉〉을 펴냈고, 이어 장편 〈〈죽음보다 깊은 잠〉〉 〈〈풀잎처럼 눕다〉〉 〈〈불의 나라〉〉 등 다수의 베스트셀러를 통해 대중들에게 가장 사랑받는 작가들 중 한사람으로 활동했다. 1993년 작가란 무엇이어야 하는가 등의 근원적인 질문을 던지면서 돌연 절필을 선언, 히말라야로 떠나기도 했다. 1996년 인간영혼의 근원적인 문제를 탐구한 소설 〈흰소가 끄는 수레〉로 다시 문단에 돌아와 ‘영원한 청년작가’라고 불리면서 〈〈나마스테〉〉 〈〈외등〉〉 〈〈더러운 책상〉〉 〈〈촐라체〉〉 〈〈고산자〉〉 〈〈은교〉〉 〈〈소금〉〉 〈〈당신〉〉 〈〈유리〉〉 등을 계속 썼다. 2011년 고향 논산의 ‘臥草齋’에 깃들었다. 명지대 교수, 상명대 석좌교수를 역임했으며, 대한민국문학상, 한무숙문학상, 최우수예술가상, 만해문학상, 대산문학상 등을 수상했다. 시집으로는 〈〈산이 움직이고 물은 머문다〉〉 (2003. 문학동네)가 있다. 출처 : 인터넷 교보문고

목차

프롤로그-햇빛 살인
배롱나무
아버지
노래
고아
이상한 가족
짠맛-가출
신맛-첫사랑
연인
단맛-신세계
쓴맛-인생
눈물
매운맛-빨대론
귀가
에필로그- 시인

작가의 말

출처 : 인터넷 교보문고

책 속으로

“....아버지라는 사람이 어떻게 제 맘대로 세상을 등질 수가 있냐고. 애들이 있으면 죽을 권리도 없는 사람이 아버지야!”
그러나 사실은 모든 비극이 아버지의 부재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소금이... 어떤 맛이라고 생각하나?”
“소금은, 모든 맛을 다 갖고 있다네. 단맛, 신맛, 쓴맛, 짠맛. 단 것 신것에 소금을 치면 더 달고 더 시어져.”
“소금은 말이야, 소금은, 인생의 맛일세.”

“아버지들 얘기야. 처자식이 딸리면 치사한 것도 견디고 필요에 따라 이념도 바꿔야지. 오늘의 아버지들, 예전에 비해 그 권세는 다 날아갔는데 그 의무는 하나도 덜어지지 않았거든. 어느 날 애비가 부당한 걸 견디지 못하고 직장을 박차고 나와 낚시질이나 하고 있어 봐. 이해하고 사랑할 자식들이 얼마나 있겠어? 강남권 초등학교에선 애들이 모여 앉아 제 애비가 죽으면 무엇 무엇을 물려받을지 셈하고 있다는 말도 들었어. 효도가 비즈니스가 된 세상이야. 그러니 어떤 애비가 배롱나무처럼 살 수 있겠느냐고.”

그녀를 태운 택시가 햇빛 사이로 아득히 흘러갔다.

모든 이름엔 그 이름으로서의 운명이 깃들어 있으며, 그러므로 입속으로 불러보면 다 눈물겨운 구석이 있었다. 전혀 피가 섞이지 않은 조합인데 하나씩 이름을 불러보자 다정하고 눈물겨웠다.

예전의 삶이 부랑이었다면 그즈음의 삶은 유랑이었고, 자유였고, 자연이었다. 그것이야말로 역시 참된 단맛이었다. 누가 인생에 대해 묻는다면 그는 말할 참이었다. “인생엔 두 개의 단맛이 있어. 하나의 단맛은 자본주의적 세계가 퍼뜨린 바이러스에 감염된 상태에서 빨대로 빠는 소비의 단맛이고, 다른 하나는 참된 자유를 얻어 몸과 영혼으로 느끼는 해방감의 단맛이야.” 그가 얻은 결론은 그랬다. 이가 썩어가기 마련인 단맛에서 새로운 생성을 얻어가는 단맛으로 그 자신의 인생을 극적으로 뒤바꾼 것이었다.

출처 : 인터넷 교보문고

출판사서평

문단 데뷔 40년, 40번째 장편소설
《은교》 이후 홀연히 논산으로 내려가 2년의 침묵 끝에 쓰다!
아버지1, 아버지2, 혹은 아버지10의 이야기!


“누구나 가슴속에 시인이 살고 있네
시인의 친구가 살고 있네
바람이 메말라 사막이 되더라도
눈물이 메말라 소금밭 되더라도
눈빛은 서글서글 속눈썹은 반짝반짝
나의 친구 시인은 어린 나무처럼 잠들지
누구나 가슴속엔 시인이 살고 있네
시인의 친구가 살고 있네.”

《소금》은 가족의 이야기를 할 때 흔히 취할 수 있는 소설 문법에서 비켜나 있다. 화해가 아니라 가족을 버리고 끝내 ‘가출하는 아버지’의 이야기가 《소금》이다. 그는 돌아오지 않는다. 자본의 폭력적인 구조가 그와 그의 가족 사이에서 근원적인 화해를 가로막고 있기 때문이다. 이 이야기는 특정한 누구의 이야기가 아니라 동시대를 살아온 ‘아버지1’, ‘아버지2’, 혹은 ‘아버지10’의 이야기다. 늙어가는 ‘아버지’들은 이 이야기를 통해 ‘붙박이 유랑인’이었던 자신의 지난 삶에 자조의 심정을 가질는지도 모른다. …… 나는 여전히 묻고 싶다. 이 거대한 소비 문명을 가로지르면서, 그 소비를 위한 과실을 야수적인 노동력으로 따 온 ‘아버지’들은 지금 어디에서 어떻게 부랑하고 있는가. 그들은 지난 반세기 무엇을 얻고 무엇을 잃었는가. 아니, 소비의 ‘단맛’을 허겁지겁 쫓아가고 있는 우리 모두, 늙어가는 아버지들의 돌아누운 굽은 등을 한번이라도 웅숭깊게 들여다본 적이 있는가. -‘작가의 말’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