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음악 감상실 ♣/[ 기타 음악가]

[스크랩] 드뷔시 `베르가마스크 모음곡`(Debussy, Suite Bergamasque )

Bawoo 2014. 3. 31. 22:48

Debussy, Suite Bergamasque

드뷔시 베르가마스크 모음곡

Claude Debussy

1862-1918

Tamás Vásáry, piano

Akademie der Wissenschaften, München

1969.04

 

Tamás Vásáry - Debussy, Suite Bergamasque

00:00 Prélude - 04:00 Menuet - 07:29 Clair de lune - 12:45 Passepied

 

음력 대보름날 밤에 이 글을 씁니다. 드뷔시의 ‘달빛’(Clair de Lune)을 안 들을 수가 없군요. 적어도 앞으로 사나흘간은 달빛이 휘영청 밝을 겁니다. ‘달빛’은 드뷔시가 1890년 작곡에 착수했던 <베르가마스크 모음곡>(Suite Bergamasque)의 세 번째 곡이지요. 드뷔시의 피아노 음악 가운데 가장 널리 알려진 곡일 듯합니다. 드뷔시가 남긴 모든 음악을 통틀어도 이처럼 대중적 인기를 끄는 곡을 아마 찾기 힘들 것 같습니다. 영화에도 자주 등장하지요. <도쿄 소나타>의 마지막 장면에서 남자 주인공이 연주하는 곡이 바로 ‘달빛’입니다. 비교적 요즘 영화들 중에서는 <트와일라잇>이라는 영화의 배경음악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드뷔시의 <베르가마스크 모음곡>의 세 번째 곡 ‘달빛’은 피아노로 그리는 회화이다.

제 개인적 기억으로는, 베트남의 트란 안 홍 감독이 1994년에 만든 <그린 파파야 향기>에서 이 곡이 가장 인상적으로 등장했던 것 같습니다. 대사가 거의 없이, 매우 감각적인 영상을 시종일관 펼쳐내는 영화였지요. 사이공의 부잣집에서 종살이를 하던 어린 소녀 무이는 주인집 가세가 기울자 쿠엔이라는 남자의 집으로 일자리를 옮깁니다. 쿠엔은 특별히 하는 일 없이 피아노를 연주하고 작곡도 좀 하는 부잣집 아들입니다. 순진하고 착하기 이를 데 없는 무이는 그 멋진 도련님을 당연히 사랑하게 되지요. 미끈하게 잘생긴 부잣집 아들, 게다가 분위기 팍팍 잡아가며 음악까지 연주해대니, 스무 살짜리 아가씨가 어떻게 그를 연모하지 않을 수 있겠습니까. 사실, 쿠엔은 무이가 가질 수 없는 존재입니다. 하지만 쿠엔은 아주 애매한 태도로 무이의 애타는 마음을 즐기지요. 그래서 무이로 하여금 동경과 환상을 끝없이 품게 만듭니다. 바로 그렇게 무이가 가질 수 없는 것을 그리워하는 장면마다 드뷔시의 ‘달빛’이 애잔하게 흘러나오지요.

귀로 듣는 회화, 인상주의 음악의 절정

프랑스를 대표하는 작곡가 드뷔시를 거론할 때마다 빠지지 않는 것인 ‘인상주의’라는 네 글자입니다. 인상주의는 애초에 회화에서 시작된 흐름입니다. 그것이 음악으로까지 영향을 확장해 인상주의 음악(Impressionist Music)이라는 개념이 등장합니다. 바로 드뷔시에서부터였지요. 회화에서 그랬던 것처럼 음악에서의 인상주의도 자연에서 받은 순간적인 느낌을 음악으로 구현하려는 의지와 태도를 일컫습니다. 청각뿐 아니라 시각과 촉각, 후각 같은 공감각적 효과를 추구한 것도 인상주의 음악의 특징입니다. 다시 말해 음악의 시간성뿐 아니라 공간성이 매우 중요해졌다는 뜻입니다. 음악에서의 시간성은 주로 선율과 조성을 중심으로 전개되지요. 반면에 공간성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화성’과 ‘음색’이 중요해집니다. 인상주의 화가들이 붓으로 화면을 툭툭 터치해 미묘하고 몽환적인 효과를 얻어냈던 것처럼, 드뷔시의 음악에서도 허공을 둥둥 떠다니는 듯한 ‘점묘적 수법’이 빈번히 등장하는 것은 그런 이유에서입니다. ▶클로드 모네 <루앙 대성당, 햇빛 강한 오후>, 1993. 캔버스에 유채, 107x73cm, 오르세 미술관.

물론 드뷔시 본인은 ‘인상주의’라는 말을 쓴 적이 없습니다. 심지어 자신의 음악을 그렇게 부르는 것조차 못마땅해했지요. 그것은 화가들도 비슷했습니다. 그들도 자신의 작품을 인상주의라고 지칭하지 않았습니다. 그런 개념을 등장시킨 것은 평론가들에 의해서였지요. 게다가 드뷔시는 애초에 바그너 숭배자였습니다. 파리 국립음악원에 입학했던 1872년부터 십 몇 년 동안, 드뷔시는 바그너를 자신의 음악적 모델로 여겼던 것이 분명합니다. 물론 드뷔시만 그랬던 건 아닙니다. 언젠가 유명해질 날을 꿈꾸던 당시의 음악학도들은 너나없이 바그너를 동경했습니다. 한마디로 바그너 풍은 당시의 ‘대세’였습니다.

하지만 드뷔시는 1888년과 이듬해 두 차례에 걸쳐 독일 바이로이트를 방문한 이후, 바그너의 거대하고 웅변적인 음악은 자신과 맞지 않는다고 판단했습니다. 말하자면 자신은 바그너와 다른 길을 걸어야 한다는 ‘자아의 발견’을 했던 것이지요. 이 자각은 음악사적으로 매우 중요합니다. 드뷔시적인 음악의 출발일 뿐 아니라, 프랑스적 근대음악(모더니즘)도 결국 그 지점에서 비롯하기 때문입니다. 물론 그것은 드뷔시 개인의 결단만으로 이뤄진 것은 아니었지요. 당시 드뷔시가 몸담았던 ‘화요회’의 젊은 예술가들은 너나없이 기존의 미학을 벗어나려는 몸짓을 보여주고 있었습니다. 상징주의 시인 말라르메의 집에서 화요일마다 모였던 그 예술가들은 누구누구였을까요? 화가로는 고갱, 모네, 마네 같은 이들이 있었습니다. 문인으로는 베를렌, 발레리, 프루스트 같은 사람들이 있었구요, 음악가로는 오늘의 주인공 드뷔시가 있었습니다. ▶에두아르 마네가 그린 스테판 말라르메(Stephane Mallarmé, 1842~1898)의 초상화(1876). 예술가들의 모임인 ‘화요회’를 주도한 말라르메는 프랑스 상징주의 시를 대표하는 시인이다..

자, 조금 더 얘기를 해보지요. 시인은 ‘언어’를 먹고 사는 존재들입니다. 그렇다면 상징주의 시인들은 어떤 언어에 애착을 가졌을까요? 그들에게는 언어의 지시적 의미, 다시 말해 사전적 의미는 별로 중요하지 않았습니다. 그보다는 언어가 품고 있는 미묘한 뉘앙스가 더 중요했지요. 사실적인 줄거리보다는 언어와 언어의 조합이 펼쳐내는 신비한 분위기, 암시적이고 상징적인 효과 같은 것에 집중했던 겁니다. 예컨대 말라르메의 ‘목신의 오후’ 같은 시가 그렇지요. 그렇다면 인상주의 화가들에게는 무엇이 중요했을까요? 아시다시피 그들에게는 ‘빛’이야말로 본질적인 것이었습니다. 기존의 회화에서 나타나는 자연이 고정 불변의 것이었다면, 인상주의자들에게는 빛에 따라 시시각각 변하는 것이었겠지요. 그렇다면 동일한 풍경이나 사물도 여러 가지로 변주돼 나타날 수밖에 없습니다. 예컨대 모네가 그린 <루앙 대성당>을 떠올려 보시기 바랍니다. 모네는 새벽, 한낮, 저녁 등 햇살의 기울어짐에 따라 시시각각 변화하는 성당의 모습을 화폭에 담았지요.

Jean-Efflam Bavouzet - Debussy, 'Clair de Lune' (Suite Bergamasque No.3)

Jean-Efflam Bavouzet, piano

Potton Hall, Suffolk

2008.02

피아노로 그리는 ‘달빛’의 아름다움이란

드뷔시는 바로 이 상징주의와 인상주의를 음악으로 가져왔습니다. 그래서 그의 음악은 기존의 것과 다른 맛을 내고 있습니다. 말하자면 드뷔시의 음악은 귀로 듣는 회화라고 할 수 있습니다. 물론 그가 묘사하는 외부는 ‘객관적’이거나 고정 불변하지 않습니다. 인상주의 화가들이 시시각각 변화하는 풍경에 주목했던 것처럼, 드뷔시도 외부의 세계에서 받은 ‘어떤 순간’의 느낌을 오선지에 옮겨 놓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기존의 ‘표제음악’과 다릅니다.

<베르가마스크 모음곡>은 이탈리아 북부의 베르가모(Bergamo) 지역을 여행하고 돌아온 드뷔시가 1890년에 작곡을 시작한 음악입니다. 바그너적인 것과 결별하고 ‘화요회’에 참여하면서 새로운 예술가의 길을 걷고자 결심했던 바로 그 무렵이었습니다. 1곡은 ‘전주곡’, 2곡은 ‘미뉴에트’, 3곡은 ‘달빛’, 4곡은 ‘파스피에’(Passepied)입니다. 일단, ‘달빛’을 여러 번 들어 익숙해지시면 다른 곡도 차례로 들어보시기 바랍니다. 미끄러지는 듯한 글리산도 주법, 달빛의 확산을 묘사하는 것 같은 분산화음들이 몽롱하면서도 달콤합니다. 선율 위주의 음악에 익숙한 분들에게는 이 곡이 다소 낯설게 들릴지도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장담컨대, 드뷔시의 음악에 맛이 들리면 헤어나기가 정말 어렵습니다.

 

추천음반

1. 미셸 베로프(Michel Beroff), 1980, EMI. 베로프는 자국의 작곡가인 드뷔시와 메시앙의 음악에서 강점을 보여 왔다. 감정의 굴곡을 배제한 맑고 투명한 음색이 특징으로 손꼽힌다. 다소 차가운 듯하지만 깔끔하고 섬세한 연주다. 드뷔시 특유의 반음계와 매끄러운 글리산도 주법 등에서 그가 보여주는 테크닉은 냉정하면서도 유려하다. 인상주의적인 색채감의 표현, 곡 전체의 구조를 매끈하게 건져 올리는 힘에서 높은 점수를 받는다. 그는 1980년대 중반에 오른손을 다쳐 약 10년간 무대를 떠난 적이 있었으나 이 녹음은 그 전에 이뤄진 것이다. 1995년에도 새 녹음을 발표했으나, 1980년 EMI 녹음이 여전히 더 높은 인기를 유지하고 있다. 국내에서 구하기 용이한 음반은 2010년에 CD 4장으로 재발매된 앨범이다. <베르가마스크 모음곡> 외에 드뷔시의 대표적인 피아노곡들을 수록했다.

2. 타마시 바샤리(Tamás Vásáry), 1969, DG Brilliant Classics. 앞서 언급한 베로프와 달리 따뜻하고 로맨틱한 정감의 ‘달빛’을 만나고 싶다면 바샤리의 연주가 제격이다. 헝가리 태생의 그는 74세였던 2007년에 한국을 찾아와 호암아트홀에서 연주한 적이 있다. 노구의 피아니스트는 수없이 미스 터치를 범해 당시 청중의 마음을 매우 안타깝게 만들었다. 하지만 앙코르로 연주한 ‘달빛’은 그날의 모든 실수를 만회할 만큼 아름다운 연주였다. 그의 나이 36세였던 1969년에 DG에서 내놓은 <베르가마스크 모음곡>은 드뷔시의 음악을 가장 서정적으로 해석하고 있는 경우라고 할 수 있다. 아쉽게도 오리지널 음반을 구하긴 어렵지만, 네덜란드의 Brilliant Classics에서 내놓은 ‘A Portrait of Tamas Vasary’에 당시의 음원이 수록돼 있다. 모두 4장의 CD로 이뤄진 앨범이다. 드뷔시 외에 리스트와 브람스의 피아노곡들을 담았다.

3. 알랭 플라네(Alain Planes), 2005, Harmonia Mundi. 알랭 플라네는 아직 국내에 생소하지만, 드뷔시와 쇼팽, 슈베르트, 야나체크 등의 음악에서 빼어난 녹음을 잇달아 발표해 온 프랑스의 피아니스트다. 그가 연주하는 드뷔시는 담백하지만 베로프처럼 차갑지는 않다. 베로프에 비해 약간 더 살집이 붙은 음향을 만들어내면서 음악의 율동감을 살려낸다. 물론 그것은 피아노의 물리적 특성에서 비롯하는 측면도 있다. 플라네는 1902년 제작된 피아노로 <베르가마스크 모음곡>을 녹음했다. 현대 피아노의 크고 선명한 음향과는 다른, 약간 흐릿하고 몽롱한 느낌의 소리다. 그것이 또한 이 음반을 듣는 묘미다. 물론 가장 근래의 녹음이기 때문에 음질 자체는 나무랄 데가 없다. <베르가마스크 모음곡> 외에 <두 개의 아라베스크>, <어린이 세계>, <이미지> 1, 2집을 커플링했다.

 

문학수 1961년 강원도 묵호에서 태어났다. 까까머리 중학생 시절에 소위 ‘클래식’이라고 부르는 서양음악을 처음 접했다. 청년 시절에는 음악을 멀리한 적도 있다. 서양음악의 쳇바퀴가 어딘지 모르게 답답하게 느껴졌기 때문이다. 게다가 서구 부르주아 예술에 탐닉한다는 주변의 빈정거림도 한몫을 했다. 1990년대에 접어들면서부터 음악에 대한 불필요한 부담을 다소나마 털어버렸고, 클래식은 물론이고 재즈에도 한동안 빠졌다. 하지만 몸도 마음도 중년으로 접어들면서 재즈에 대한 애호는 점차 사라졌다. 특히 좋아하는 장르는 대편성의 관현악이거나 피아노 독주다. 약간 극과 극의 취향이다. 경향신문에서 문화부장을 두 차례 지냈고, 지금은 다시 취재 현장으로 돌아와 음악담당 선임기자로 일하고 있다. 2013년 2월 철학적 클래식 읽기의 세계로 초대하는 <아다지오 소스테누토>를 출간했다.

 

  출처: 문화웹진 채널예스>칼럼>음악>‘내 인생의 클래식 101’ 2013.02.25

  http://ch.yes24.com/Article/View/21534

 

출처 : 클래식 사랑방
글쓴이 : 라라와복래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