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술(美術) 마당 ♣/- 화가[畵家]

아메데오 모딜리아니

Bawoo 2014. 8. 14. 23:56

아메데오 모딜리아니

 
아메데오 모딜리아니

아메데오 모딜리아니(이탈리아어: Amedeo Modigliani, 1884년 7월 12일 ~ 1920년1월 24일)는 이탈리아화가이다.

 

1884년 이태리 토스카나 주 리보르노에 있는 유태인 가정에서 태어났다. 그의 어머니 에우제니아는 철학자 스피노자의 혈통을 이어받은 마르세유의 명문가 출신으로 높은 지성과 교양을 갖추고 있었다.[1] 부친의 사업이 어려워지자 직접 단눈치오의 시를 번역하거나 서평을 써 생활을 유지할 정도였다.[1] 모딜리아니가 태어났을 당시 아버지의 사업 실패로 집안은 어려웠지만 에우제니아는 어린 시절부터 그림에 대한 재능을 보인 아들을 굴리엘모 미켈리의 아틀리에에 데리고 가기도 했다. 그러나 모딜리아니는 늑막염, 폐결핵, 폐렴 등 병치레가 잦아 평생을 고통받았다. 14세에는 병으로 학교를 그만두었고, 17세에는 결핵에 걸려 이탈리아 여기저기를 돌아다니며 요양을 해야 했다.[2] 베네치아·피렌체 미술 학교에서 공부한 모딜리아니는 1906년 파리로 나가 몽마르트에 아틀리에를 빌렸고 세잔의 영향을 받았다. 독립 미술파에 속하며, 파리 화단의 특이한 화가로서 인정되었다. 조각도 하여, 브랑쿠시, 콕토 등과도 사귀었다. 그러나 돌조각에서 나오는 먼지로 폐가 나빠지자 조각을 그만두고 그림만 그렸다. 1912년 파리 가을 미술전에 작품을 출품했지만 주목받지 못했고 초상화 한 점 당 10프랑밖에 받지 못했다. 그러나 미남으로 유명했던 모딜리아니에겐 모델을 자청하는 여성들이 많이 있었다.[3] 1917년 몽파르나스의 카페에서 모딜리아니는 러시아 조각가 차나 오를로프(Chana Orloff)의 소개로 14세 연하의 화가 지망생 잔 에뷔테른(Jeanne Ebuterne)을 만났다. 잔은 모딜리아니와 같은 아틀리에를 쓰는 일본인 화가 후지타 쓰구하루의 모델이었다. 보수적인 부르주아 가정이었던 잔의 가족은 가난하고 병약하며 마약을 하는 유대인 모딜리아니와의 교제를 싫어했지만 두 사람은 동거에 들어갔다. 같은 해 모딜리아니는 폴란드 화상 레오폴트 즈보로프스키의 주선으로 개인전을 열었지만 외설적이라는 비판만 받은 채 전시회는 실패로 돌아갔다. 이듬해인 1918년 모딜리아니는 잔과 니스에서 요양을 했고 딸 지오바나를 얻었다. 1920년 파리로 돌아온 모딜리아니는 자선 병원에서 결핵성 뇌막염으로 36세에 요절하였다.[2] 당시 임신 8개월째였던 잔은 모딜리아니가 죽고 이틀 뒤에 투신 자살했다. 모딜리아니는 파리의 페르 라 셰즈 묘지에 묻혔고, 10년 뒤 잔의 가족들은 잔을 모딜리아니 곁에 뭍어주었다.[4]

화풍

모딜리아니는 폴 세잔툴루즈 로트렉의 영향을 받았다.[2] 그는 항상 인물만을 그렸는데 파리의 뒷거리에 사는 가난한 사람들 및 여성의 나체 등을 즐겨 그렸다. 그의 인물화는 가늘고 긴 목이나 달걀 모양의 얼굴을 가는 선으로 둘러 독특한 기품과 아름다움을 나타냈다. 모딜리아니는 총 314점의 작품을 남겼는데 주요 작품으로 <꽃 파는 소녀> <문지기의 아들> <벌거벗은 에리부리> <폴 기용의 초상> <잔 에뷔테른의 초상> 등이 있다.

 

      

           

 

                                                             

          영국인으로 파리 특파원이었던 비어트리스

        헤이팅스는 1014/1916년까지 모딜리아니의

        연인이었다.

 

 

 

                                         초상화는 인물의 영혼을 비추는 거울로, 등장인물의  인문학적 소양도 전달했다.

                                                그러나 모딜리아니는 가난과 궁핍속에 죽었다. 일생에 단 한번 개인전을 열었으며,

                                                끼니를 위해 레스토랑에 수많은 그의 그림을 주었다.

                                                허지만, 그의 사후 그림에 대한 평판은 널리 알려졌고 작품가격은 엄청나게 뛰었다.

                                                또한, 그에 대한 일생을 다룬 3편의 영화 한편의 다큐멘터리 아홉번의 소설과 연극으로 이어졌다.

                                                고전적이고 동시에 근대적인 모딜리아니의 그림은 서구 초상화의 전통을 매우 독창적인

                                                방식으로 해석했다. 르네상스시대부터 초상화는 모델의 내면의 이미지를 인식할 수 있는

                                                지도처럼 여겨졌다.

   

 

 

    

       

        

      

 

                     안나[한카 즈보르스카]의 초상

                                         로마 근대 국립미술관

          폴란드의 옛 귀족인 부유한 가정에서 태어난 즈보로스카는

         1914년 유럽 대전이 발발하던 해에 파리로 피신 했으며, 

         그 후 파리장들은 프랑스식으로 안나라고 불렀다.

         모딜리아니의 최상의 이해자였던 레오 폴드 즈보로스키를

         알게되어 그녀는 결혼하게되며 앞으로 모딜리아니에게는

         없어서는 안될 부부가된다.

         이 작품은 이들 부부가 모딜리아니를 알게된 1년 후에

         그려진 것으로 병약한 몸매의 즈보로스카였지만 그녀의

         마음씨 고운자태가 모딜리아니의 심상을 통해 불가사의

         할 정도로 우아하게 표현되어 있다.

         기품있게 흐르는 목의 사선과 맑게 가라앉은 얼굴표정이

         검은 의상과 검은 머리의 대비를 통해 긴장된 구도로서

         표현되어 있다.

         1917년에 그린 이 초상화는 인물의 표현 방식은

         모딜리아의회화를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긴 목에 긴얼굴, 선이 분명한 얼굴에 꿈꾸는 듯한 표정 모딜리아니가

                                                   그린 인물들의 내면은 투명하게 들여다 보이는 듯하면서도 두터운

                                                   베일에 싸여 있기도 하다. 그들의 마음 속에는 속된 감정과 신비로운

                                                   꿈이 동시에 들어 있다. 보들레르가 인간의 우울과 이상을 동시에

                                                   그리려고 했던 것처럼 랭보가 감각을 활짝 열어서 보이지 않는 세계

                                                    들여다 보려고 했던 것처럼 보딜리아니는 감가적인 세계를 추구하

                                                     면서도 감각 너머의 세계를 그렸다

 

 

                                 슈미즈 차림의 여인 1919

 

 

     자신만의 독창적이고 직관적인 작품세계를

    가진 모딜리아니는 스케치와 형상을 표현하는

    데 매우 뚜어난 재능을 지녔던 그는 현대인의

    심금을 울리는 새로운 이미지를 그려냈다.

    단순한 선으로 그려진 선정적인 누드와는

    매우 강열한 표현력을 지니지만 동시에 섬세하고

    약해 보이며 보는 사람의 영혼을 어루만지고 있다.

    대부분 모딜리아니 그림에서 나타나는 사람들

    표정을 단아하고 깊은 우수에 찬 눈을 갖고 있다.

    이 그림에서도 예외없이 아름답지만 슬픈 그녀의

    표정을 우리는 놓치 수 없다.

    앙 다문 입에서 의지를 읽기 보다는 세상을

    관조하며 마주 앉은 사람의 내면을 들여다 보는

    것을 알 수 있다.

    모딜리아니가 나부를 그리기 시작한 것은 1916

    년경 부터이며 그가 죽기 전의 1919년경까지

    적지 않은 작품을 남겨 놓은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의 모델이 된 나부들은 안나 즈보르스카,

    비아트리스, 잔느 에브테른등이다.

 

 

  

                            앉자 있는 나부

   

 

 

 

 

 

                                           

                                              

 

 

  

[석조두상]

   1909년부터 1914년까지 모딜리아니는 조각가로서 여러 가지

   예술적 실험을 했으며 미켈란젤로의 고향이었던 피렌체 근교의

   작은 도시인 피에트라산타에서 생활 했다.  모딜리아니는

   몽마르트르에서 브랑쿠시를 만나면서 조각에 빠져 들었다.

   조각을 사랑했던 모딜리아니는 파리 시절에도 끊임없이 조각을

   하였으나,  물감을 살 수 없을 정도로 가난했던 그에게 조각을

   하기 위한 재료를 구하는 것이 쉽지 않았다.

   그는 건축현장에서 돌을 가져와 조각을 하면서 자신의 앞날이

   열리기를 희망했다.

   그러나, 조각할 때 날리는 미세한 가루 때문에 폐에 문제가

   생겨 조각을 중단하는 수모를 겪기도 했다.

   그의  대표적인 조각 작품은 [석조 두상]이다.

   이 작품은 1912년 살롱 도뜨느에 출품했던 7점의 석상 가운데

   하나로서 아프리카 미술의 영향을 받아 여인의 얼굴을 수직으로

   길게 뻗은 코, 원통형 목으로 표현했다.

   모딜리아니는 이 작품을 제작하면서 석고나 진흙으로 먼저

   틀을 뜨는 방식을 마다하고 처음부터 돌을 직접 조각하는

   방식으로 제작다.  

 

 

 

 

 

 

 

 

 

       

  

 

                                                                     

 

 

 

'♣ 미술(美術) 마당 ♣ > - 화가[畵家]'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스 멤링 Hans Memling  (0) 2014.08.16
다비트 Gérard David   (0) 2014.08.15
르누아르와 그의 그림들  (0) 2014.08.12
벨라스케스의 작품들  (0) 2014.08.08
<베르메르> The Milkmaid   (0) 2014.08.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