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올린 협주곡
바이올린 협주곡은 바이올린 독주와 관현악을 위한 협주곡이다. 협주곡의 형식이 발달하기 시작한 바로크 시대부터 지금까지 쓰이고 있다. 많은 작곡가들이 썼으며, 이중 많이 알려진 것으로는 멘델스존, 베토벤, 브루흐, 브람스, 비발디, 시벨리우스, 차이콥스키의 작품이 있다.
바이올린 협주곡의 목록
- 필립 글라스
- 바이올린 협주곡 (1987)
- 펠릭스 멘델스존
-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 바이올린 협주곡 제1번 (1775년 이전)
- 바이올린 협주곡 제2번 (1775년 이전)
- 바이올린 협주곡 제3번 (1775)
- 바이올린 협주곡 제4번 (1775)
- 바이올린 협주곡 제5번 (1775)
- 요한 세바스티안 바흐
- 바이올린 협주곡 가 단조
- 바이올린 협주곡 마 장조
- 두 대의 바이올린을 위한 협주곡 (1717-23)
- 벨러 버르토크
- 바이올린 협주곡 제1번 (1908)
- 바이올린 협주곡 제2번 (1938)
- 알반 베르크
- 바이올린 협주곡 (1935)
- 루트비히 판 베토벤
- 바이올린 협주곡 라 장조 (1806)
- 요하네스 브람스
- 바이올린 협주곡 (1878)
- 막스 브루흐는 세 개의 바이올린 협주곡을 썼지만, 첫 번째 것만이 널리 알려져 있다.
- 바이올린 협주곡 제1번 사 단조 (1867)
- 바이올린 협주곡 제2번
- 바이올린 협주곡 제3번
- 스코틀랜드 환상곡
- 안토니오 비발디는 많은 협주곡을 썼다. 그 중에서도 -
- 카미유 생상스
- 바이올린 협주곡 제1번 (1859)
- 바이올린 협주곡 제2번 (1858)
- 바이올린 협주곡 제3번 (1880)
- 아르놀트 쇤베르크
- 바이올린 협주곡 (1936)
-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
- 바이올린 협주곡 제1번 (1948)
- 바이올린 협주곡 제2번 (1967)
- 로베르트 슈만
- 바이올린 협주곡 (1853)
- 장 시벨리우스
- 바이올린 협주곡 라 단조 (1904)
- 에드워드 엘가
- 바이올린 협주곡 (1910)
- 표트르 일리치 차이콥스키
- 바이올린 협주곡 라 장조 (1878)
- 니콜로 파가니니
- 세르게이 프로코피예프
- 바이올린 협주곡 제1번 (1917)
- 바이올린 협주곡 제2번 (1935)
- 파울 힌데미트
- 바이올린 협주곡 (1939)
- 드미트리 카발레프스키
- 바이올린 협주곡 다장조
-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
- 에두아르 랄로
'♣ 음악 감상실 ♣ > - 용어 해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레나데(Serenade; 소야곡; 小夜曲) (0) | 2014.12.11 |
---|---|
cello concerto, 첼로 協奏曲 (0) | 2014.12.10 |
파사칼리아 [passacaglia] (0) | 2014.11.13 |
모음곡 [suite, ― 曲] (0) | 2014.11.12 |
소나타(Sonata) (0) | 2014.1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