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촌(退村) 김식(金埴. 1579 ~ 1662)
1579(선조 12년) ~ 1662(현종 3년). 조선 중기의 선비화가.
본관은 연안(延安). 초명은 윤(允). 자는 중후(仲厚). 또는 치온(致溫).
호는 퇴촌(退村). 청포(淸浦). 죽창(竹窓) 혹은 죽서(竹西). 시(示+是)의 손자이며,
아버지 봉선(奉先)은 원래 안로(安老)의 삼남인 휘(徽)의 차남으로 태어났다.
작은아버지인 시의 후사가 없어 양자로 출계했기 때문에 그의 양손자가 되었다.
1606년에 진사가 되었고, 1635년에 원종어진 제작에 참여했으며 숭은전(崇恩殿)
묘례(廟禮) 때 일자(一資)가 가해졌다. 벼슬은 찰방을 지냈으며 후년에는 선산(善山)에서 살았다.
그는 산수도 잘 그렸으나, 그를 유명하게 해준 것은 독특한 소 그림이다.
조선 중기의 가장 유명한 소 그림 전문화가였기 때문에 웬만한 소 그림은 모두 그의 작품으로 불리어왔다.
그의 소 그림들은 할아버지 시의 절파화풍(浙波畵風)과 영모화풍(令+羽毛畵風)을 토대로 간일한 산수를
배경으로 묘사되는 게 상례인데, 음영(陰影)으로 표현된 소의 퉁퉁한 몸이나 X자형의 주둥이, 달무리진 듯
선량한 눈매, 그리고 무엇보다도 평화롭고 따뜻한 그림의 분위기 등을 특징으로 하고있다. 이러한 그의 소
그림들은 전형적인 한국적 특색을 띠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중국이나 일본의 소 그림들과는 현저하게 다른
특색을 지니고 있다. 대표작으로 <고목우도 枯木牛圖>와 <영모도> 등이 있다.
이 쌍폭의 우도와 고목우도는 비록 관서(款署)나 도인(圖印)이 없긴 하지만,
그의 회화세계를 가장 잘 보여 주는 대표작이며, 이 그림에 등장하는 소는
선종화(禪宗畵)의 십우도(十牛圖)와도 밀접한 관련을 지닌 것으로 중국
강남지방의 물소를 소재로 삼았지만, 표현방식은 한국적인 특색으로 넘쳐있다.
선염(渲染)의 음영으로만 간결하게 묘사된 포동포동하고 매끈한 몸매라든지,
하얀 테두리를 남긴 눈매, 그리고 뿔과 콧등과 꼬리 털, 발굽등 신체 각 부분의
끝을 짙은 먹으로 액선트를 주어 소의 특징과 생동감을 살려낸 묘사법 등이
그러하다. 이 그림의 어미소와 송아지의 천진난만한 모습이 흑백대비를 특징으로
하는 절파풍의 간일한 배경산수와 더할 수 없이 잘 조화되어 우리나라 특유의
서정적 정취를 한층 더 짙게 풍겨주고 있다는데 그 귀중함이 있다.
'♣ 미술(美術) 마당 ♣ > - 화가,그림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역사스페셜.E69.110526.윤두서 자화상의 비밀 (0) | 2013.10.20 |
---|---|
[스크랩] 불이선란(不二禪蘭)- 추사 김정희 (0) | 2013.10.20 |
[스크랩] 蕙園 신윤복 ..남녀의 애정표현의 풍속화.. (0) | 2013.10.19 |
[스크랩] 천문학이 밝힌 `월하정인` 제작시점은? (0) | 2013.10.16 |
오총(五總)의 지혜 (0) | 2013.1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