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음악 감상실 ♣/< 연주가 산책 >

길버트 카플란 (Gilbert Kaplan)

Bawoo 2015. 1. 12. 23:38

 길버트 카플란 (Gilbert Kaplan)

길버트 카플란 (Gilbert Kaplan) 지휘자
출생:1942년 (만 73세) | 말띠
데뷔:1983년 '아메리칸 심포니 오케스트라' 지휘

Gilbert Edmund Kaplan (born (1941-03-03)March 3, 1941, New York City, U.S.) is an American businessman, former journalist and amateur conductor.

 

He founded the magazine Institutional Investor in 1967. He was publisher of the magazine until 1990, and editor-in-chief for three more years, although he sold it in 1987 for $72 million. He then concentrated on conducting, hiring Avery Fisher Hall in New York for his debut in 1982. He set up the Kaplan Foundation dedicated to Gustav Mahler. After personal research, he has twice recorded Mahler's Second Symphony: with the London Symphony Orchestra in 1987, and with the Vienna Philharmonic in 2002. He has bought the autograph of Mahler's score of this symphony and commissioned a facsimile edition of the score. He is co-editor of the new critical edition of the Second Symphony as part of the Complete Critical Edition of Mahler's works, to appear soon.[1] He is a member of faculty of the Juilliard School (Evening Division).

 

Mahler's Second Symphony is the only complete work he conducts, although he has also recorded the Adagietto from Mahler's Symphony No. 5.

 

In February 1994, Kaplan conducted the Melbourne Symphony Orchestra in Mahler's Second Symphony. At the post-performance dinner in the Great Hall of the National Gallery of Victoria, the keynote speaker was the then Prime Minister of Australia, Paul Keating, a noted aficionado of Mahler.[2]

 

Kaplan's conducting has attracted criticism: in December 2008, The New York Times reported that New York Philharmonic musicians had complained that his recent performance with the orchestra was a "woefully sad farce", and that he should not be allowed to conduct them again.[3] Private Eye magazine claimed that Kaplan had only been allowed to conduct leading orchestras after paying them large amounts of money.[4]

 

Kaplan is the brother of the late Joseph Brooks, 73, Academy Award-winning composer who was found dead at his New York City apartment on May 22, 2011 in an apparent suicide following a criminal indictment of multiple sexual-assault and rape counts.

 

[도서]내가 사랑하는 클래식 2

박종호 저
시공사 | 2006년 04월


 

저는 두 가지 부끄러움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 기로에 서 있었습니다. 하나는 제가 남들 앞에서 지휘를 했을 때 당할 부끄러움이요, 나머지 하나는 제가 지휘를 하지 않았을 때 두고두고 제 자신이 후회하게 될 부끄러움이었습니다. 저는 전자를 택했을 뿐입니다…….”(P.147)


  길버트 카플란의 말이 오늘의 나를 부끄럽게 만든다. 동시에 용기와 희망을 선사한다. 꿈을 내려놓지 않는 자는 시간쯤은 가뿐히 이길 수 있음을 자기의 생으로 보여준 사람.


  경영을 공부하던 한 학생이 구스타프 말러 교향곡 2번 ‘부활’을 듣게 된다. 그 놀라운 선율에 휩싸인 학생은 ‘부활’을 언제가 자신의 손으로 지휘하겠다는, 어쩌면 너무도 무모한 꿈을 간직한다. 사업가로 성공하여 경제적인 안정을 찾자 마흔이 가까운 나이, 허나 그는 자기의 꿈에 충실한 사람. 악보를 읽지도, 악기 하나 다룰 줄 모르는 중년의 그는 개인 레슨을 받으며 꿈을 키워간다. 매일 하루 다섯 시간씩 음악공부를 했다고 한다. 그렇게 꿈을 쫒던 그는 머잖아 카네기홀에서 꿈을 이룬다.


  이 사건을 계기로 그는 부활 전문가로 되었다. 지휘 의뢰가 쏟아져 세계 방방곡곡 오로지 부활만 지휘하러 떠나야 했다. 2005년 성남 아트센터 개막 공연을 위해 내한하기도 했다. 물론 부활을 지휘하러. 카플란과 런던 심포니가 녹음한 부활 음반은 말러 교향곡 음반 중에 가장 많이 판매되었다고 한다.


  그는 음악을 통해 청중의 꿈을 다시금 수면 위로 띄워주었다.

 

 

'♣ 음악 감상실 ♣ > < 연주가 산책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건우  (0) 2015.05.10
Alina Pogostkina   (0) 2015.03.08
클라라 하스킬  (0) 2015.01.07
Martha Argerich   (0) 2014.12.16
하이페츠 [Jascha Heifetz]  (0) 2014.1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