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촌수필은 이문구의 연작 소설로 자신의 고향인 대천 관촌부락을 배경으로 쓴 소설이다. 1972년 현대문학 5월호에 '일락서산'을 시작으로 신동아, 월간중앙, 창작과 비평, 문학과 지성, 세계의 문학에 1976년까지 8편의 소설이 관촌수필이라는 부제로 발표되었다.
구성
관촌수필은 '일락서산', '화무십일', '행운유수', '녹수청산', '공산토월', '관산추정', '여요주서', '월곡후야' 의 순서대로 총 여덟 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일락서산'에서 '공산토월'까지는 글쓴이가 고향에서 보냈던 유년 시절을 추억하는 내용으로 한국전쟁을 전후로 자신의 집안이야기가 주를 이룬다. '관산추정'은 어린시절의 친구를 만난 이야기로 대천이 변모한 것에 대한 아쉬움이 나타난다. '여요주서'와 '월곡후야'는 성인이 되어서 고향 마을을 다시 찾았을 때 겪은 이야기를 내용으로 하고 있다.[위키백과]
*줄거리
① 제1편 일락서산(日落西山) : 성묘를 하기 위해 고향을 찾은 ‘나’가 예전 모습을 찾아볼 수 없는 고향을 둘러보면서, 할아버지와 얽힌 옛 추억을 회상한다.
② 제2편 화무십일(花無十日) : 6·25 전쟁으로 인한 윤 영감 일가의 몰락을 통해 인생의 허무함을 이야기하는 한편, 그들을 따뜻하게 대하는 ‘나’의 어머니의 순박한 인정을 회상한다.
③ 제3편 행운유수(行雲流水) : 유년 시절의 고향을 배경으로 주인공과 함께 성장기를 보냈던 소녀 옹점이의 가슴 아픈 인생 유전(결혼 생활, 떠돌이 삶)을 회상한다.
④ 제4편 녹수청산(綠水靑山) : 대복이와 그 가족에 얽힌 이웃의 순박한 삶과 그 삶이 퇴색되어 가는 과정을 그리고 있다.
⑤ 제5편 공산토월(空山吐月) : 어린 시절 석공네(신 씨) 집과 ‘나’가 특별한 인연을 맺게 되었던 사연과 석공이 안타까운 죽음을 맞이했던 과정을 통해 감동적인 인간상을 그리고 있다.
⑥ 제6편 관산추정(關山芻丁) : 유년 시절의 고향 친구를 만난 이야기를 중심으로 마을 안을 흐르던 한내[大川]가 도시에서 밀려 들어온 퇴폐적 소비문화의 하수구로 전락한 실상을 그리고 있다.
⑦ 제7편 여요주서(與謠註序) : 중학 동창인 친구가 아버지의 약값을 마련하려고 꿩을 잡아 팔려다가 발각되어 자연 보호를 위배했다는 이유로 공권력의 횡포에 시달린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⑧ 제8편 월곡후야(月谷後夜) : 성년이 된 ‘나’가 고향을 둘러보며 경험한 이야기로, 벽촌에서 소녀를 겁탈한 사건을 둘러싸고 마을 청년들이 범인에게 사적인 제재를 가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충남 보령시 대천2동의 관촌(冠村. 갈머리)에서 1941년에 태어난 작자가, 해방부터 한국전쟁을 거쳐 새마을운동에 이르는 30여년 세월 동안에, 자기를 포함한 그곳 사람들이 겪어낸 삶을 그린 ‘이야기’이다. 일반적으로 소설이라고 부르지만, 전쟁의 와중에 집안이 몰락하는 서술자 ‘나’가 바로 작자임이 밝혀져 있으며, 연작소설이라고 해도 꼭지들 간의 연결성이 적어서 그 형태와 구조가 특이하다. 한마디로 소설식으로 서술한 민중의 전(傳) 모음집에 가깝다.
이 작품에 그려진 인물들은 대부분 농촌 서민이며 한국 현대사의 격랑 속에서 불행과 억압을 당해온 사람들이다. 서술자는 충청도 지역어를 구어체로 지문에까지 사용하면서, 그들의 수난과 인간적 아름다움을 그려내므로 그들 중 모자라 보이는 인물은 있어도 악인은 없다. 그는 이젠 파괴돼버린 농촌의 풍속과 농민의 순박함을 그리워한다.
서술자는 항상 작품이 발표된 1970년대 현재에서 대상을 바라본다. 따라서 그의 섬세하고 치밀한 ‘수필적’ 담화는 독재 정치와 산업화로 피폐해진 농촌 현실에 대한 비판을 함축하는데, 대상이 과거적일수록 ‘잃어버린 고향 이야기’의 서정성과 상실감의 색채를 띠며, 현재적일수록 풍자의 색채를 띤다.
[의의와 평가]
1970∼1980년대 ‘연작소설의 시대’를 대표하는 작품 중 하나인데, 다른 작품들과는 달리 전통을 살린 주체적 양식의 소설이다. 또 타락과 궁핍의 근원을 파고드는 새로운 형태의 농민소설이며, 지역의 언어와 삶에 충실하면서 보편성을 얻은 지역문학 중 대표적인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아울러 도시화로 인해 급격히 사라져가는 토속어와 속담, 격언 등을 풍부하게 살려 쓴 점이 높이 평가된다.[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다른 자료 보기 -관촌수필 - 네이버캐스트]
작가
이문구(李文求, 1941 ~ 2003)
소설가. 주제와 문체까지도 농민의 어투에 근접한 사실적인 작품 세계를 펼쳐 보여 농민 소설의 새로운 장을 개척한 작가이다. 산업화의 과정 속에서 해체되어 가는 농촌의 모습을 그림으로써 사회 현실을 비판하였다. 주요 작품으로 ‘우리 동네’, ‘으악새 우는 사연’, ‘유자소전’ 등이 있다.
'♣ 문학(文學) 마당 ♣ > - 戰前 출생 작가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디오 소설] 부초 - 한수산 (0) | 2016.02.14 |
---|---|
[오디오 소설] 북간도 - 안수길 (0) | 2016.02.12 |
[오디오 소설] 사람의 아들 - 이문열 (0) | 2016.02.10 |
[오디오 소설] 머나먼 쏭바강 - 박영한 (0) | 2016.02.08 |
[오디오 소설]청년일기 - 김남일 (0) | 2016.0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