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로운 전쟁” 미화했던 시진핑, 미중관계 악화하자 영화, 드라마, 애니메이션으로 뒤늦게 “抗美援朝 전쟁” 홍보
한국에 끼친 상처 사과는커녕 시대착오적 역사왜곡 중단해야
시진핑 국가주석은 부주석 때인 2010년, 중국의 6·25전쟁 개입을 과거 마오쩌둥처럼 ‘위대한 항미원조전쟁’이라 부르면서 ‘평화를 지키고 침략에 맞선 정의로운 전쟁’이라고 미화해 국제적 물의를 빚었다. 당시 후진타오 정부는 그의 견해가 중국 정부의 정론(定論)이라고 해명하면서도 미국을 의식해 이 무렵부터 이 같은 표현의 사용을 자제하기 시작했다. 특별한 경우 말고는 6·25를 지칭할 때 ‘조선전쟁’이라는 중립적 용어로 부르고 ‘항미원조’를 소재로 하는 영화나 TV 드라마도 검열을 통해 일절 억제했다.
중국 정부의 6·25전쟁에 대한 공식 견해는 드라마 ‘38선’의 첫 회 도입부의 내레이션에 잘 나타나 있다. 즉, ‘1950년 6월 25일 새벽 분열된 조선반도에서 전쟁이 폭발해 미국의 공개적인 참전으로 조선반도의 내전이 국제화했다’는 것이다.
실제로는 마오쩌둥이 스탈린의 지시에 따라 처음부터 6·25전쟁에 개입했다. 이 사실은 서방 학자들과 쉬쩌룽(徐澤榮·일명 데이비드 추이·중산대 교수), 선즈화(沈志華·화둥사범대 교수) 등 양심적인 중국 학자들에 의해 소상하게 밝혀졌다. 이 때문에 쉬쩌룽은 당국의 미움을 사 간첩죄로 11년간 감옥살이를 했다. 그는 특별사면으로 석방된 다음 한국 기자와 만난 자리에서 “중국은 한국 국민에게 끼친 상처에 대해 사과하고 보상해야 하며 그것이 (한중 우호의) 출발점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둘째, 1950년 4월경 스탈린이 모스크바를 방문한 김일성에게 마오쩌둥의 지원 약속을 전제로 남침계획을 승인하자 마오는 한 달 후 베이징을 방문한 김일성에게 남침작전 때 외국 군대가 개입하면 북한군을 지원하겠다고 약속했다. 이로써 김일성의 남침은 가능해졌다. 이에 대해 쉬쩌룽 박사는 “스탈린은 한국전쟁의 연출자이자 감독이었다. 그는 육상선수를 훈련시켰을 뿐 아니라 제1주자인 김일성의 바통을 이어받을 제2주자 마오쩌둥까지 예비해 두었다”라고 지적했다.
셋째, 1950년 6월 말 미국의 파병 결정이 나자 마오쩌둥은 북한군의 남한 점령을 서둘러 완료하기 위해 조기 참전을 희망했다. 그는 중국의 즉각 참전을 간절히 바라던 김일성에게 스탈린을 설득하라고 권유했다. 그러나 스탈린은 6·25를 내전으로 가장하기 위해 유엔군의 북한 진격 이전 중국의 참전을 불허했다. 마오는 이 무렵 동북군구 소속의 조선족 장교 200명을 인민군간부 교육을 위해 북한에 보냈다.
※필자는 지난해 발간한 저서 ‘6·25전쟁과 미국’(청미디어)에서 6·25전쟁의 발발 및 전개과정에 대해 상세히 밝힌 바 있습니다.
남시욱 객원논설위원 세종대 석좌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