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인 지원병 제도
1938년부터 1944년 징병실시까지 일본 제국이 조선인을 대상으로 시행했던 제도. 일본군 육군은 1938년부터 일본군 해군은 1943년부터 실시했다. 학도 특별지원병 제도, 즉 학병과는 다르다. 단 학도 특별지원병 제도 항목은 학병과 지원병을 구분없이 함께 서술하고 있는 편이다.
지원병의 경우 장교가 아닌 병을 받았고 이들은 종전 당시에 부사관까지 승진하거나 장교화 과정을 거쳐 장교가 된 인물들이 있었다. 건군기에 군사영어학교에서 강제징병으로 오느라 응집력이 약했던 학병 출신들과 달리 지원병 출신들은 서로 동질감이 강해서 뭉쳤다. 만주군 군맥(軍脈)과 비슷한 경우였다.
일반적으로 학병은 일본에 의해 강제로 징집되어 끌려간 불행한 이들로 친일과 거리가 먼 희생양으로 생각하고 지원병 출신들을 친일파로 매도하는 경우가 많은데 일제강점기를 기준으로 살펴보면 다른 일면을 볼 수 있다.
학병은 전문, 대학재학 이상의 고학력자들 위주였고 지원병은 기껏해야 소학교 졸업이었다. 그런데 일제강점기에 자녀에게 그런 고등교육을 시킬수 있는 집안이 과연 가난한 집이었을까? 학병들은 다는 아니지만 대다수가 먹고 살만한 집안이었고 반대로 지원병은 8~90%가 소작농 자제였다. 반대로 지원병들의 선대들은 착취당하던 사람들이었다.(김윤식, 일제말기 한국인 학병세대의 체험적 글쓰기론)
조선인 청년들이 일본군에 지원하지 않을 수 없게 만든 최대원인은 조선 농민들이 처한 극한 궁핍이 이었다. 빈곤으로 소학교 이상으로 학업을 이어나갈 수 없지만, 그들의 할아버지, 아버지처럼 소작농으로 살고 싶지는 않았던데 조선인 청년들의 가장 흔한 지원 이유였다.(미야다 세즈코, 조선민중과 황민화정책) 어떻게든 군복무를 마치고 상등병으로 제대만 해도[1] 각종 사회적 지위상승과 경제적 혜택이 있었고 설령 전사한다 해도 영웅시하고 유가족에 대해 적극적인 우대책이 있다고 선전되었으니 빈농출신 저학력자들이 유일한 출세길을 잡아보고자 눈에 불을 켠 것이었다.
또한 이 시절 청년들은 대부분이 일제시대에 태어나 일제시대의 교육을 받았다. 의무교육이 아니기는 했지만 일제시대 후반부에 가면 조선인의 소학교(보통학교) 취학률은 45%, 지원병 대상자인 남자로 한정하면 70% 정도는 되었다. 통계 그렇기에 그 시대 많은 청년들은 일제의 이념이 주입되어 있는 상태였다. 또한 친일파 지식인들, 조선인들 중 일본에 협력하는 것이 조선인의 대우를 향상시키는 일이라 믿었던착각했던 사람들 역시 지원을 독려했다.
해방 이후 고등교육을 받았고, 억지로 끌려갔다는 명분이 있는 학병파는 모임도 갖고, 책도 써냈다. 하지만 지원병들은 고등교육을 받지 못해 회고록을 거의 남기지 않았고 지원했다는 부끄러움에 숨기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지원병 출신들이 일본군에 지원 입대하였다 해서 이들을 무작정 친일파나 무식하고 저열한 인간들로 보는 것은 공정한 판단이 아니다. 그들도 부자 부모밑에 태어났다면 얼마든지 대학에 들어갈 수 있었을 것이다.
지원병의 경우 장교가 아닌 병을 받았고 이들은 종전 당시에 부사관까지 승진하거나 장교화 과정을 거쳐 장교가 된 인물들이 있었다. 건군기에 군사영어학교에서 강제징병으로 오느라 응집력이 약했던 학병 출신들과 달리 지원병 출신들은 서로 동질감이 강해서 뭉쳤다. 만주군 군맥(軍脈)과 비슷한 경우였다.
일반적으로 학병은 일본에 의해 강제로 징집되어 끌려간 불행한 이들로 친일과 거리가 먼 희생양으로 생각하고 지원병 출신들을 친일파로 매도하는 경우가 많은데 일제강점기를 기준으로 살펴보면 다른 일면을 볼 수 있다.
학병은 전문, 대학재학 이상의 고학력자들 위주였고 지원병은 기껏해야 소학교 졸업이었다. 그런데 일제강점기에 자녀에게 그런 고등교육을 시킬수 있는 집안이 과연 가난한 집이었을까? 학병들은 다는 아니지만 대다수가 먹고 살만한 집안이었고 반대로 지원병은 8~90%가 소작농 자제였다. 반대로 지원병들의 선대들은 착취당하던 사람들이었다.(김윤식, 일제말기 한국인 학병세대의 체험적 글쓰기론)
조선인 청년들이 일본군에 지원하지 않을 수 없게 만든 최대원인은 조선 농민들이 처한 극한 궁핍이 이었다. 빈곤으로 소학교 이상으로 학업을 이어나갈 수 없지만, 그들의 할아버지, 아버지처럼 소작농으로 살고 싶지는 않았던데 조선인 청년들의 가장 흔한 지원 이유였다.(미야다 세즈코, 조선민중과 황민화정책) 어떻게든 군복무를 마치고 상등병으로 제대만 해도[1] 각종 사회적 지위상승과 경제적 혜택이 있었고 설령 전사한다 해도 영웅시하고 유가족에 대해 적극적인 우대책이 있다고 선전되었으니 빈농출신 저학력자들이 유일한 출세길을 잡아보고자 눈에 불을 켠 것이었다.
또한 이 시절 청년들은 대부분이 일제시대에 태어나 일제시대의 교육을 받았다. 의무교육이 아니기는 했지만 일제시대 후반부에 가면 조선인의 소학교(보통학교) 취학률은 45%, 지원병 대상자인 남자로 한정하면 70% 정도는 되었다. 통계 그렇기에 그 시대 많은 청년들은 일제의 이념이 주입되어 있는 상태였다. 또한 친일파 지식인들, 조선인들 중 일본에 협력하는 것이 조선인의 대우를 향상시키는 일이라 믿었던
해방 이후 고등교육을 받았고, 억지로 끌려갔다는 명분이 있는 학병파는 모임도 갖고, 책도 써냈다. 하지만 지원병들은 고등교육을 받지 못해 회고록을 거의 남기지 않았고 지원했다는 부끄러움에 숨기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지원병 출신들이 일본군에 지원 입대하였다 해서 이들을 무작정 친일파나 무식하고 저열한 인간들로 보는 것은 공정한 판단이 아니다. 그들도 부자 부모밑에 태어났다면 얼마든지 대학에 들어갈 수 있었을 것이다.
2.1. 실상[편집]
연도 | 채용수 | 응모자 | 배율 |
1938년 | 406명 | 2,946명 | 1 :7.7 |
1939년 | 613명 | 12,348명 | 1: 20.1 |
1940년 | 3,060명 | 84,443명 | 1: 27.6 |
1941년 | 3,208명 | 144,743명 | 1: 45.1 |
1942년 | 4,077명 | 254,273명 | 1: 62.4 |
1943년 | 6,300명 | 303,394명 | 1: 48.2 |
누적 응모자 약 80만명에 총 17,664명을 뽑았다.
표를 보면 40년을 기점으로 응모자수가 폭증하는 데 이는 권력측으로부터의 철저한 강제가 취해졌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저 1941년의 응모자의 경우 자발적 지원자는 35% 정도이고 나머지 대부분은 관청의 총력전과 같은 종용에 의한 것이다 (표영수, 일제강점기 조선인 지원병제도 연구).
일제는 1943년 10월 병역법 일부를 개정하여, 고등·전문학교 이상 재학 중의 법문계(法文系) 학생에 대한 징집유예제도를 폐지하였다. 이에 따라 그간 징집유예를 받고 있던 일본의 법문계 학생들이 같은 해 11월 일제히 입대하였다.
이와 관련해 일본정부는 같은 해 10월 육군성령(陸軍省令) 제48호로써 〈쇼와(昭和) 18년도 육군특별지원병 임시채용규칙〉을 공포해, 병역의무가 없는 조선 학생들에 대해서도 법문계 재학생 또는 졸업생의 병원 동원을 강행하였다. 이 조치로 국내외를 통해 4,385명의 해당자들이 1944년 1월 20일 일제히 일본군문으로 끌려갔다.
또한 일본육군의 업무일지인 육군성 업무일지 적록에는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
육군성 국장회보에서의 무토 아키라 군무국장과 다나카 류키치 병무국장의 응답(1941년 4월 16일) (군무국장) 조선의 징병제도, 및 타이완에서는 지원병 제도에 대한 요망 높음[2], 이는 정치상의 문제도 있으므로 검토하고자 함. (병무국장) 조선의 현재 지원병 제도는 그 실질을 감안할 때 진실로 지원하는 자가 반드시 많은 것은 아니며 강압에 의해 부득이하게 지원하게 되는 자 많음. 따라서 징병제 시행은 크게 고려할 것을 요함 (일본의 군위안부 연구, 요시미 요시아키 교수) |
당시 일본군 내에서도 지원병 중 많은 수가 일제 권력기관의 강제에 의해 '지원아닌 지원'을 하게 되었다는 것을 파악하고 있었다.
이와 관련된 자료는 몇 가지 더 있다.
이와 관련된 자료는 몇 가지 더 있다.
현재 지원병 제도가 거의 지원동기가 불순하고 권력에 눌려서 낸 자도 있으며 또 지원병 대부분이 지방관청의 모집률 통계 다툼에 의한 것으로 룸펜(Lumpen)군과 같이 보이지 않을까 우려되며 명예로운 황군사상에 큰 오점을 남기니 신중히 고려해야 한다 ㅡ당시 도쿄의 잡지였던 "동아연맹"에 기재되었다가 "조선 내의 치안 방해"라는 이유로 삭제 처분을 받은 기사 樋口雄一, 『皇軍兵士にされた朝鮮人-十五年戰爭下の總動員體制の硏究』, 社會評論社, 1991, 93쪽. 징병제 실시 이전까지 군사동원은 모두 ‘지원’의 형식이었다. 하지만 병력을 동원하기 위해 일제의 행정·경찰 기구가 적극 개입하고 있었다. 조선총독부가 제출한 「제79회 제국의회 설명자료」에 보면, 1941년도 육군특별지원병 총 지원자 145,046명 중 자발적으로 지원한 자는 50,184명이고, 관청의 종용에 의해 지원한 자는 79,672명, 기타 15,190명으로 나타나고 있다. ㅡ「제79회 제국의회 설명자료」, 『조선총독부 제국의회 설명자료』 6, 不二出版社, 1994, 104쪽. . 학도지원병의 경우에도 함경북도 청진 검사정의 보고에 의하면 지원자 256명 중 “자발적으로 지원하였다고 볼 수 있는 자는 도내 겨우 10명 내외에 불과하고, 다른 대부분은 모두 농후한 지도적 격려를 더하면서 결의 지원한 자”라고 하였고, ㅡ 高等法院檢事局, 「臨時陸軍特別支援兵の動向一斑」, 『朝鮮檢察要報』 1, 1944. 3, 2쪽. |
구체적인 저항도 있었는데 경상남도 함양군 출신 하준식(河俊植)이 학병 지원을 거부, 덕유산 은신골로 피신해 징용·징병 기피자 73명을 규합, 광명당(光明黨)을 조직해 후방 교란 게릴라전을 기도한 것은 대표적인 사례라 할 수 있다. 이런 저항적인 거부운동은 전국 주요 산악지대에서 일어나고 있었다. 지리산·운문산·포천군 산악지대, 금강산 등은 주요 근거지였다.
경쟁률이 뻥튀기가 되기는 했으나 이를 감안해도 자발적 지원자들은 많은 편이었다. 순수하게 지원이었던
1938년의 통계에서 이를 알 수 있다. 일제시대 교육을 받아 황민화가 철저히 된 조선인 청년들도 많았을 테니 이상한 것은 아니다. 최종적으로 선발된 약 17000여명의 경우 일본군이 철저하게 검사하여 선발한 인원이기에 자발적 지원자도 분명 적지않게 존재했었다.
[1] 물론 상등병 제대가 쉬운 일은 아니었다.[2] 대만에서는 1942년이 되어서야 특별지원병제도가 실시된다. 한족이 대다수인 대만인이 중일전쟁에 투입되면 배반할 것이라 생각했기 때문이다.[나무 위키]
[참고] 책 간도특설대 의 조선인지원병 제도(176~181쪽) 항목에 보면 유명 문인 38명이 '특설부대 예찬' 글을 써서 친일행위를 한 내용이 나온다. 책에 나온 대표적인 이름을 보면 이광수, 최정희(김동환)부부, 모윤숙, 정비석 등 한국전쟁시 납북된 이광수를 빼곤 전후에 유명 인사로 활동한 인물들이다.
'♣ 역사(歷史) 마당 ♣ > - 사건, 제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유재란 관련]석주관 전투(石柱關戰鬪) (0) | 2019.09.25 |
---|---|
[한국전쟁 관련] 남침 유도설 (0) | 2019.08.05 |
제주 4.3 사건 관련 (0) | 2019.07.14 |
[일제 강점기- 만주 지역 조선 독립군을 조선인으로 토벌하기 위하여 만든 군대] 간도특설대(일본어: 間島特設隊 간토 토쿠세스부타이[*] (0) | 2019.07.10 |
동아일보 오보 사건- 한반도 역사상 최악의 오보 (0) | 2019.07.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