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사(歷史) 마당 ♣/- 프랑스

[루이 16세 시대 재무장관]자크 네케르(Jacques Necker)

Bawoo 2020. 4. 12. 21:48




자크 네케르


자크 네케르(프랑스어: Jacques Necker, 1732년 9월 30일 ~ 1804년 4월 9일)는 프랑스의 정치인이다. 스위스 태생의 신교도로서 재무총감에 등용되기까지 제네바 은행의 총재를 지냈다. 루이 16세 통치 하인 1777년 전임자 튀르고의 후임으로 재무총감이 되었는데, 그가 제출한 개혁안은 튀르고의 그것과 유사한 것이어서, 1781년 귀족의 반대로 파면되었다. 1788년 다시 기용되어, 귀족의 요구를 받아들여서 3부회의 개최를 인정했으나, 1789년 7월, 루이 16세는 갑자기 그를 재무총감 자리에서 물러나게 했다.[1]



초년 (1732~1776)

네케르는 1732년 스위스제네바에서 태어났다. 네케르의 아버지는 브란덴부르크주의 퀴스트린(Küstrin, 현재의 폴란드 코스트신나트오드롱(Kostrzyn nad Odrą)) 출신으로, 국제법에 대한 몇 개의 논문을 출판한 후 제네바 대학교의 법학 교수로 재직하였다. 네케르는 1747년 파리로 이주하여 아버지의 친구가 경영하는 은행의 점원이 되었고, 1762년 제네바 출신 동업자와 함께 은행을 설립하기도 하였다. 은행을 경영하며 대출업과 곡물 투기를 통해서 많은 돈을 모을 수 있었다. 1763년에는 과부가 된 프랑스 공직자의 아내와 사랑에 빠졌으나, 그녀가 제네바를 방문할 때 파리로 데려온 보두아의 목사의 딸인 수잔 퀴르쇼(Suzanne Curchod.)

Suzanne Curchod와 만났고


1764년 말 퀴르쇼와 결혼하였다. 이후 이 둘은 슬하에 외동딸을 하나 두게 되고, 그 딸이 바로 후에 작가로 유명해진 안 루이스 제르멘 스탈이다.

수잔은 네케르에게 공직에 오를 것을 부추겼고, 이에 부응하여 그는 프랑스 동인도 회사의 감독관이 되었다. 그는 프랑스 정부에 돈을 빌려주기도 하였으며, 1768년에는 제네바 공화국의 파리 공사가 되었다. 수잔 역시 파리에 화려한 살롱을 열어 당대의 고위 공직자들과 많은 관계를 맺어 네케르의 출세를 도왔다. 1769년에는 앙드레 모렐레로부터의 동인도회사의 자치권에 대한 공격을 방어하는 논문을 썼다. 1773년에는 장밥티스트 콜베르를 찬양한 글로 인하여 아카데미 프랑세즈로부터 상을 타기도 하였다. 1775년에는 안 로베르 자크 튀르고의 자유주의 정책을 비판한 책인 Essai sur la législation et le commerce des grains를 출판하였다. 그의 아내는 네케르가 훌륭한 재정 전문가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하여 네케르를 설득하여 은행을 그의 동생에게 넘기도록 하였다.

재무장관 (1776~1788)

1776년 10월 네케르는 프랑스의 재무장관이 되었다. 그는 타유인두세 등을 좀 더 균등하게 배분하여 과세할 것을 추진하여 재정상황을 개선하였고, 안전하게 대출을 해주는 기관인 Mont de Piété를 설립하기도 하였다. 네케르는 프랑스의 국채를 세금을 더 거두지 않고 대출업을 통해서 해결하려고 하였고, 국가가 관리하는 연금을 설립하기도 하였다. 그는 프랑스의 재정 문제를 정치적인 경제학자의 시각에서 해결하기보다는 은행가로의 시각으로 보았는데, 이러한 측면에서는 당대의 위대한 경제학자 중 한 명이었던 튀르고를 따라잡지는 못하였다. 정치적으로 그는 프랑스 혁명을 저지하는 데 큰 역할을 하지 못하였고, 그의 지방 의회의 소집 계획 역시 튀르고의 행정구역 재구성안에 비해서는 구체적이지 못하였다.


1781년 네케르는 Compte rendu를 출판하였는데, 이 책에서 그는 프랑스 재정의 대차대조표를 만들어 정부가 실질적인 적자를 숨기고 있다고 주장하였다. 튀르고는 1781년 5월 19일 마리 앙투아네트의 압력을 받아 사임하였다. 퇴임한 후 네케르는 문학에 관심을 가졌고, 1786년 그의 외동딸이 스웨덴 대사인 에리크 마그누스 스탈 폰 홀슈타인 남작과 결혼하였다. 1787년 네케르는 후임인 샤를 알렉상드르 드 칼론을 공격한 것으로 인하여 파리에서 추방되었다.

프랑스 혁명기 (1788~1804)

네케르의 후임인 칼론과 에티엔 샤를 드 로메니 드 브리엔이 프랑스의 재정 위기를 구제하지 못하자 정부는 1788년 8월 26일 네케르를 복직시켰다. 네케르는 도피네에서의 반란을 그들의 회의를 법적으로 인정함으로써 중지시키고, 1789년에는 삼부회를 소집하였다. 그는 심각하게 악화된 재정상황을 타개하기 위해서 삼부회를 소집하였지만, 이를 정상적으로 진행시키지 못하였다. 네케르는 삼부회에서 제3신분이 두 배의 의석을 가지도록 허락하였지만 투표 방식에 있어서 중재에 실패하였다. 이러한 결과에 대해서 일각에서는 네케르가 개혁안을 조직화하지 못한 탓이라고 말하기도 하지만, 다른 일부는 네케르가 중재안을 준비하고 있었지만 삼부회에서 일어난 투쟁 과정에서 이것이 뒷전이 되었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삼부회의 진행 실패로 인하여 그는 법원에 의해서 혁명의 원인으로 판단되었고, 결국 7월 11일 해임당하였다.


네케르의 해임은 시민들을 심하게 분노하게 만들었고, 결국 파리에서 소요사태가 발생하여 결국은 바스티유 습격에 이르렀다. 프랑스 정부는 다시 네케르를 불러와야 했고 7월 20일 정부는 그를 복직시켰다. 그는 혼자서 프랑스를 구원할 수 있으리라고 믿고 오노레 가브리엘 리케티 미라보질베르 뒤 모티에 드 라파예트 등과 협력하는 것을 거절하였다. 그러나 그는 늘어나는 재정 적자를 감당하지 못하였으며, 혁명적인 재정개혁안을 내놓은 미라보 백작이나 샤를 모리스 드 탈레랑 페리고르 등에 가려 힘을 발휘하지 못하였다. 1790년 9월 18일 네케르는 마지막으로 사임하였다. 그 후 그는 1784년에 매입해 두었던 제네바 근처의 코페의 사유지로 이주하였으며, 이 곳에서 문학을 벗 삼아 조용히 지냈다. 아내인 수잔 네케르는 파리의 살롱에 남았고, 1794년에 사망하였다. 네케르는 그의 딸과 조카와 함께 만년을 보냈다. 1804년 코페에서 사망하였다.

각주

  1. 네케르〉.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도서출판 범한. 2004. Jacques Necker (1732 1804) 스위스 태생의 신교도로서 재무총감에 등용되기까지 제네바 은행의 총재를 지냈다. 1777년 튀르고의 후계자가 되었는데, 그가 제출한 개혁안은 튀르고의 그것과 유사한 것이어서, 1781년 귀족의 반대로 파면되었다. 1788년 다시 기용되어, 귀족의 요구를 받아들여서 3부회의 개최를 인정했으나, 1789년 7월, 루이 16세는 갑자기 그를 재무총감 자리에서 물러나게 했다.  [위키백과]

[정보]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