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ría del Mar Muñoz/JOSG - Bizet, L'Arlesienne Suite No.1 & No.2
프로방스! 프랑스의 남동부 일대, 즉 론 강 하류에서 알프스 산맥에 이르는 지방을 일컫는 명칭이다. 그러나 느낌표를 사용한 데서도 짐작할 수 있겠지만, 내가 이 지명에 대해 갖고 있는 감정은 그러한 사전상의 정의를 넘어선 것이다. 이 지명을 떠올리는 순간, 나는 언제나 그곳에 가고 싶은 충동에 휩싸이곤 한다. 이 충동은 너무나 강렬한 것이어서 거의 고통스럽기까지 하지만, 한편으론 무척 감미로운 것이기도 하다. 아마도 그곳에 대해 마음속에 품고 있는 이미지를 눈으로 직접 확인하고자 하는 열망이 이런 충동을 낳은 것이리라.
영화 <마르셀의 여름>에는 프로방스의 풍경이 아름답게 등장한다. 꼬마 마르셀이 여름을 보내기 위해 찾아갔던 프로방스…. 문학작품을 통해 막연하게 알고 있던 그 지방의 풍광은, 비록 좁은 화면 속에서였지만 나에게 강한 인상을 남겼다. 울창한 수목과 황량한 돌산이 어우러진, 그곳에 내리쬐는 햇볕만큼이나 강렬한 생명력을 느끼게 하는 풍경…. 그 풍경은 영화 줄거리 자체보다도 더 인상적이었다. 그러한 자연 속에 나고 자란 이들은 아마도 소박하면서도 정열적인 사람들이리라. 알퐁스 도데의 희곡 <아를의 여인>(‘아를르의 여인’이라고 표기하는 경우가 더 많은데, 잘못된 명칭이다)에 나오는 여인이 그랬듯이 말이다.
두 개의 모음곡으로 구성된 비제의 성공적 작품
도데의 작품 가운데 우리에게 잘 알려진 것은 <마지막 수업>과 <별>일 것이다. 그러나 그의 다른 작품들까지 기억하는 이가 얼마나 될까. <아를의 여인>만 해도 비제가 음악을 붙임으로써 구원해주지 않았더라면 지금보다 훨씬 덜 알려졌을 것이다. 음악 얘기를 하기 전에, 도데의 원작이 우리나라에 그리 잘 알려져 있지는 않은 만큼 이에 대해 대강 설명하는 편이 나을 듯하다. 3막 5장으로 되어 있으며(5막으로 보기도 한다)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아를 인근의 남프랑스 농가에 사는 청년 프레데리는 아를의 투우장에서 한 여인을 보고 사랑에 빠진다. 그러나 보수적인 집안 어른들은 여인의 과거가 불순하다는 이유로 둘의 결합에 반대한다. 고민에 빠진 프레데리는 결국 어린 시절부터 친하게 지냈던 비베트와 약혼한다. 결혼식 전날 밤에 프레데리의 집 뜰에서 축하 잔치가 벌어지는데, 여기서 잔치에 초대받아 온 아를의 여인이 춤추는 장면(실제 희곡에서는 등장하지 않는다)을 목격한 프레데리는 결국 일깨워진 고뇌에 괴로워하다 2층 창문에서 투신자살하고 만다. 더 자세한 내용을 알고 싶으면 책으로 읽을 수도 있다. 다만 희곡 버전은 국내에 번역된 것이 없고, 같은 제목의 단편으로만 구할 수 있다. 도데가 희곡으로 개작하기 몇 년 전에 쓴 단편에는 주인공 이름이 프레데리가 아니라 장으로 되어 있는 등 몇 가지 사소한 차이가 있기는 하나 내용은 동일하다.
남프랑스 아를의 추수 장면을 그린 반 고흐의 ‘추수’.
도데의 희곡은 발표된 바로 그 해인 1872년에 비제의 부수음악을 곁들여 상연되었다. 비제가 당시 창작력의 절정기에 있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 희곡과 음악의 성공 여부에 대해서는 많은 곳에서 상반되게 기술하고 있으나, 엄밀히 말하자면 둘 다 그리 성공하지 못했다. 연극은 21회에 걸쳐 공연된 뒤 그대로 묻혀버렸고, 비제의 음악에 대해서도 ‘지나치게 아기자기하다’는 등 평가가 그리 좋지 않았다. 오늘날에는 바로 그 점 때문에 인기를 끌고 있는데도 말이다. 그러나 자신의 작품이 지닌 진가를 알고 있었던 비제는 곧장 27곡에 달하는 원곡에서 일부를 추려내 편집하고 합창과 소규모의 극장 오케스트라용이었던 원래의 편성을 대규모의 정규 관현악용으로 고쳐 네 곡으로 이루어진 모음곡으로 개작했다.
이렇게 탄생한 <아를의 여인 모음곡>(현재는 1모음곡이라고 한다)은 처음부터 대단한 성공을 거두었다. 그리고 비제 사후 4년 뒤에는 작곡가의 친구이자 파리 음악원 교수인 에르네스트 기로(그는 비제의 <카르멘>에 레치타티보를 붙이고 오펜바흐의 유작 <호프만의 이야기>를 보필해 완성하기도 했다)가 다시 2모음곡을 만들어냈으며, 이 모음곡 역시 오늘날에는 1모음곡과 대등한 인기를 누리고 있다. 원곡이 27곡이라고 하지만 악상이 중복되는 경우가 많아 모두 소개할 필요는 없을 듯하며, 모음곡 버전을 기준으로 각곡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고자 한다.
Daniel Barenboim/Orchestre de Paris - Bizet, L'Arlesienne Suite No.1
Daniel Barenboim, conductor
Orchestre de Paris
Salle Pleyel, 1972
추천음반
1. 옛 녹음 가운데서는 토머스 비첨/로열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1956년 녹음(EMI)을 추천하고 싶다. 놀랄 정도로 생생한 활기와 선명한 리듬은 왜 이 영국 지휘자가 당대 프랑스 음악의 대가로 일컬어졌으며 지금도 그러한지를 깨닫게 해준다.
2. 헤르베르트 폰 카라얀/베를린 필의 1985년 녹음(DG)은 당당함과 화려함을 고루 갖추고 있어 누구에게나 무난하게 추천할 만하다.
3. 세련되고 섬세한 연주를 들려주는 정명훈/바스티유 오케스트라의 1991년 녹음(DG)도 빼놓을 수 없다.
4. 부수음악 전곡 버전에 관심이 있다면, 현재로서는 아마 미셸 플라송/툴루즈 공회당 오케스트라의 녹음(EMI)이 가장 구하기 쉽겠지만 혹시 마크 민코프스키/르 뮈지시앙 뒤 루브르-그르노블의 2007년 녹음(Naive)이 눈에 띈다면 놓치지 않길 권한다.
글 황진규(음악 칼럼니스트) 클래식 음악 전문지 <객석>, <그라모폰 코리아>, <스트라드>, <인터내셔널 번역을 기고해 온 음악 칼럼니스트이다. 말러, 브루크너, 쇼스타코비치, 닐센의 음악을 가장 좋아하며, 피아노>, <콰이어 앤 오르간>, <코다>, <라 무지카> 등 여러 잡지에 리뷰와 평론, 지휘자 가운데서는 귄터 반트를 특히 존경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