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사(歷史) 마당 ♣/- 인물, 단체

[인조반정에 성공한 서인세력에 의해 참형을 당하는 등 공보다 과만 부각되었으나 후대에 단재 신채호 선생에 의해 우리나라의 3걸(을지문덕, 이순신, 정인홍)중 한 분으로 평가받는 등 재평..

Bawoo 2021. 6. 2. 20:47

정인홍(鄭仁弘, 1535년 9월 26일 ~ 1623년 4월 3일)은 조선중기, 후기의 문신이자 성리학자이며 임진왜란 때의 의병장이다. 선조·광해군 대에 북인과 남명 조식학파(曺植學派)를 이끌며 정국을 주도했으며, 조식의 수제자이자 남명 학파의 지도자였다. 당색으로는 동인이었다가, 정철의 처벌을 놓고 동인이 남인과 북인으로 나뉠 때는 강경파로 북인이었다. 자(字)는 덕원(德遠), 호는 내암(來庵), 본관은 서산(瑞山)이다.

1573년(선조 6년) 학문과 덕행을 인정받아 황간현감으로 발탁되어 선정을 베풀었다. 제용감정 등을 지내고 임진왜란 때 합천에서 의병을 모아 합천성주대구 등지에서 활동하며 왜병을 격퇴하여 영남 의병장의 호를 받았다. 조식의 수제자로서 최영경오건김우옹곽재우 등과 함께 경상우도의 남명학파의 대표적 인물 중의 한사람이다.

왜란이 끝난 후 북인과 함께 정권을 잡았으며 북인이 분열한 후에는 이산해와 함께 대북의 영수가 되었다. 전란 종결 후 대사헌중추부동지사, 공조참판 등을 거쳐 우의정과 좌의정을 거쳐 영의정에 이르렀고 서령부원군(瑞寧府院君)에 봉군되었다. 북인이 다시 대북과 소북으로 나뉠 때는 적극 간여하지 않았으나 그의 제자인 이이첨 등이 대북이었으므로 광해군 정권의 원로로 예우받았다. 그러나 이언적이황 등의 문묘종사(文廟從祠)를 반대하다가 유생들에게 탄핵받아 청금록(靑衿錄, 儒籍)에서 삭제되는 등의 시비에 휘말리기도 한다. 1623년 능양군 등은 80세 이상의 재상은 처형하지 않는 관례를 어기고 그를 참형에 처했다. 그 뒤 서인과 노론으로부터 광해군 실정의 책임자의 한사람으로 비판을 받아오다가 1908년 순종때 가서야 복권되었다. 임훈조식의 문인이다.

목차

    ---------------------------------------------------
    [같이보기]
          1.

정인홍:그는 과연 악인이었을까 많은 사람들이 정인홍(鄭仁弘, 1536~1623) 하면 역적이라는 단어를 떠올린다. 폭군 광해군이 벌인 어지러운 정치에 가담해 한몫 거들다가 인조반정 때 죽음을 당한 인물로 여기는 것이다. 이런 생각은 꽤 뿌리 깊은 것으로, 이런 ...[이이화의 인물한국사]

  • 2. 정인홍 - 나무위키 2021.05.28.접기 ] 광해군조 제95대 이원익 제96대 이덕형 제97대 이원익 제98대 이덕형 제99대 기자헌 제100대 정인홍 제101대 박승종 제102대 이원익 인조조 제102대 이원익 제103대 윤방 제104대 신흠 제105대 오윤겸 제...[namu.wiki/w/정인홍 나무위키]

3. 내암과 도곡 집안의 파혼(破婚) 이야기2020.12.26

대한 내암의 지나친 비판, 회재 이언적과 퇴계 이황의 문묘 배향을 반대해 성균관 유생들에 의해 청금록(靑衿錄, 유학자의 명부)에서 삭제되는 등 사림(士林)의...내암의 딸은 한때 약혼자의 선영에 묻히게 되었다. 당시 도곡이 파혼하지 않았다면 그 화(禍)가 도곡은 물론 아들 숭장에게 미쳤을 것을 생각하면 많은...blog.daum.net/ljw1674/18302731   나무이야기,꽃이야기

4. 문화재청 홈피에 있는 ‘정인홍’ 및 ‘강익문’ 관련 설명문이 수정됐다.2021.02.05

의병대장·영의정 내암 정인홍(來庵 鄭仁弘, 1536~1623)은 아직도 왜곡·날조된 채 방치(?)돼 있다. 바르게 바꿔야 하지 않겠나. ​ 한스 로슬링(Hans Rosling, 1948~2017...blog.naver.com/antlsguraud/222233078537   조찬용 합천사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