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hubert, Impromptus D.899 & D.935
슈베르트 ‘즉흥곡’
Franz Schubert
1797-1828
Edwin Fischer, piano
1938.03.08-09
Edwin Fischer plays Schubert's Impromptus D.899 & D.935
프란츠 슈베르트의 본질을 이야기할 때 가장 먼저 거론되어야 하는 것은 아무래도 ‘소품’(Miniature)이 아닐까 싶다. 이는 슈베르트에게 가장 취약한 약점인 동시에 역사적인 업적으로 평가할 만한 그만의 장점이기도 했다. 후대 사람들은 당시 작곡가들 및 이전 작곡가들을 기억할 때 아무래도 짧은 ‘소품’보다는 길이가 긴 ‘대곡’ 위주로 연상하기 마련이다. 슈베르트 역시 대곡을 작곡하고자 필사적으로 노력했지만 소품에 더 뛰어난 능력을 발휘했다. 프란츠 리스트가 이에 대해 웅변적으로 역설한 바 있듯이, 그의 생전의 명성은 결코 그의 본질이 담긴 작품 위에 쌓아올린 것이 아니었다. 다시 말하면 출판된 슈베르트의 작품은 100여 곡 정도로 그의 전 작품의 10분의 1 수준밖에 안 되었을 뿐만 아니라, 몇몇 위대한 걸작도 포함되어 있지만 대부분 춤곡과 행진곡과 같은 마이너한 장르에 집중되어 있다.
슈베르트 음악의 구심점 - 즉흥곡
반면 당시 건반음악 작곡의 경향은 소나타와 같은 대곡 중심의 작곡 형태가 점점 쇠퇴할 무렵이었다, 베토벤과 슈베르트의 피아노 소나타 개수를 비교해보거나 이후 리스트와 슈만, 브람스, 쇼팽 등등의 피아노 소나타의 숫자를 세어보면 이를 분명히 느낄 수 있다. 후기에 접어들면서 슈베르트 또한 대곡을 작곡하기 위해 자신의 천재성에 채찍질을 가했지만, 역시 그의 음악의 중심은 음악 소비자들의 기호에 맞추어 작곡한 작은 규모의 춤곡과 미뉴에트, 왈츠, 렌틀러, 독일 춤곡, 갤럽 등이었다. 이것은 그가 사랑했던 가곡 형식에서 많은 영감을 얻었을 것이 분명하다. 이 소품에서 나타난 훌륭한 완성도와 그 누구도 생각하지 못했던 시적 감흥을 결합한 슈베르트만의 청초한 매력이야말로 19세기 건반악기 작품에 새로운 기운을 불어넣은 선구자적 업적이라고 평가하기에 모자람이 없다. 그리고 그 업적의 한 가운데에는 아름답기 그지없는 여덟 곡의 ‘즉흥곡’이 오롯이 서 있다.
슈베르트와 그의 친구들이 정기적으로 모였던 작은 음악회 ‘슈베르티아데’ 모습.
즉흥곡이라는 용어는 슈베르트가 자신의 작품을 쓰기 시작한 1820년대 후반 오스트리아의 빈에 이미 등장해 있었다. 빈의 음악적 특징을 많이 가지고 있지만, 이런 유의 작은 3부 형식으로 된 피아노의 기원은 체코인들에게서 발견된다. 요세프 옐리네크(Josef Jelinek)가 빈에서 화려한 기교로 피아노 변주곡의 마술을 갈고 닦고 있을 때, 그보다 젊은 역시 체코의 바츨라프 얀 토마셰크(Tomáŝek)는 당시에 유행하고 있던 화려한 기교를 보여주는 것에 싫증을 느끼고 가벼운 양식을 시험하고 있었다. 그의 제자인 얀 바츨라프 보르지셰크(Vořĺśek)는 1814년 프라하를 떠나 빈으로 오면서 이 ‘즉흥곡’이라는 양식을 가지고 들어왔다. 빈 음악애호가협회에서 지휘를 맡았던 보르지셰크와 슈베르트는 비슷한 집단에서 활동했고 틀림없이 서로 알고 지냈을 확률이 높다. 보르지셰크의 즉흥곡 Op.7(1822)은 음악적 소재의 측면에서는 아닐지라도 그 시적 고취감과 음악적 구조의 측면에서 슈베르트에게 영향을 주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렇다 하더라도 작곡가의 시적 감흥과 낭만적인 상상력을 음악 작품에 직접적으로 드러낸 내용적 측면에서의 그 진솔함은 슈베르트의 위대한 독창성의 발로라고 평가해야 할 것이다.
Murray Perahia plays Schubert's Impromptus D.899
Murray Perahia, piano
1982
추천음반
가장 먼저 슈베르트 피아노 음악의 서정성과 그 온전한 아름다움을 발견한 1세대인 에트빈 피셔의 역사적인 녹음(Testament)이 가장 먼저 눈에 띈다. 그의 숨 막힐 듯 영롱한 터치와 무균질적인 음향은 이 녹음이 1938년 모노 레코딩임을 잊게끔 한다. 슈베르트 피아노 음악의 진정한 르네상스 시대는 알프레드 브렌델 이후에 펼쳐진다. 그 가운데 첫손에 꼽을 수 있는 머레이 페라이어의 연주(Sony)는 이지적인 측면과 비르투오소적인 측면이 결합한 현대적인 해석의 표본이라고 말할 수 있다. 빈 사운드의 대표 악기인 뵈젠도르퍼 피아노로 투명한 색채감과 유려한 서정성을 강조한 안드라시 시프의 녹음(DECCA)도 훌륭하고, 음향과 정서의 새로운 측면을 탐구한 라두 루푸(DECCA)도 연주와 레코딩 모두 최상이다.
글 박제성(음악 칼럼니스트) <베토벤 이후의 교향곡 작곡가들>의 역자. 클래식음악 전문지 <음악동아>, <객석>, <그라모폰 코리아>, <피아노 음악>과 여러 오디오 잡지에 리뷰와 평론을 쓰고 있으며, 공연, 방송, 저널 활동, 음반 리뷰, 음악 강좌 등 클래식음악과 관련한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