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책 도서관 ♣/[참고용 책]

지리산의 저항운동(지리산 인문학대전 16):지리산권문화연구단 |

Bawoo 2022. 3. 28. 19:59

 

지리산의 저항운동(지리산 인문학대전 16)(양장본 HardCover)

저자: 지리산권문화연구단 | 선인 | 2015.10.31.

 

 

책소개:인터넷 교보문고에서 발췌. 전문은 위 책 제목 클릭

국립순천대학교 지리산권문화연구원과 국립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은 2007년부터 아젠다를 수행하기 위해 매년 4차례 이상의 학술대회를 개최하고, 학술세미나·초청강연·콜로키움 등 다양한 학술활동을 통해 ‘지리산인문학’이라는 새로운 학문영역을 개척하였다. 또한 중국·일본·베트남과 학술교류협정을 맺고 ‘동아시아산악문화연구회’를 창립하여 매년 국제학술대회를 개최하였다. 『지리산의 저항운동』은 지난 8년간의 연구성과를 집대성하고 새로운 연구방향을 개척하기 위해 지리산인문학대전이다.

목차

조선시대 지리산을 중심으로 한 저항운동
Ⅰ. 머리말
Ⅱ. 지리산 저항운동 전개의 배경Ⅲ. 지리산 주변의 저항운동의 실례
Ⅲ. 지리산 주변의 저항운동의 실례
Ⅳ. 맺음말

지리산권 동남부지역 동학농민혁명의 전개와 특징
Ⅰ. 다시 주목해야 할 영호대도소
Ⅱ. 1894년 9월 ���전 동학농민혁명의 전개
Ⅲ. 1894년 9월 이후 동학농민혁명의 전개
Ⅳ. 동학농민군의 조직과 참여층
Ⅴ. 영호대도소 성격과 지역성

남원지역 동학농민혁명과 士族의 대응
Ⅰ. 남원, 동학의 성지
Ⅱ. 남원지역 동학의 확산과 사족의 동학배척
Ⅲ. 동학농민혁명에서의 남원지역의 역할
Ⅳ. 동학농민혁명기 남원지역 사족의 대응
Ⅴ. 남원, 혁명의 불꽃은 사그라지고

매천 황현의 동학농민군과 일본군에 대한 인식
Ⅰ. 머리말
Ⅱ. 연구사 검토
Ⅲ. 매천의 甲午時局 인식
Ⅳ. 맺음말

한말 高光洵의 의병활동과 智異山根據地論
Ⅰ. 머리말
Ⅱ. 고광순의 의병활동
Ⅲ. 고광순의 지리산근거지론
Ⅳ. 맺음말

1945년 이후 세계체제와 한국현대사
Ⅰ. 세계사적 관점에서 다시 보는 한국현대사
Ⅱ. 1945년 이후 세계체제와 한미관계
Ⅲ. 전후 세계체제시기 한미관계의 특징과 변천
Ⅳ. 한국현대사 발전의 복합성
Ⅴ. 나아가야 할 한반도 평화체제

14연대 반군의 종착지, 지리산
Ⅰ. 여순사건 연구의 진전을 위해
Ⅱ. 서울을 향해 三分北進
Ⅲ. 사건 초기 군경은 二分北進으로 파악
Ⅳ. 반군의 목표 : 지리산유격구 창설
Ⅴ. 지리산을 향한 진격
Ⅵ. 백운산으로 우회해 지리산 입산
Ⅶ. 남겨진 민중의 비극

여순사건 참가계층의 제유형
Ⅰ. 여순사건을 일으킨 주체는 누구인가?
Ⅱ. 여수 14연대의 창설과 모병활동
Ⅲ. 참가계층의 다양한 유형
Ⅳ. 여순사건 참가계층 요약

여순사건, 그들은 누구인가?
Ⅰ. 그들은 왜 봉기했는가?
Ⅱ. 여순사건에 대한 정부의 첫 발표는?
Ⅲ. 주도인물의 변화와 정부의 의도는?
Ⅵ. 주도세력 40여 명과 총지휘자는?
Ⅴ. 빨갱이 등장의 의미는?

빨치산 사령관 ‘이영회’의 삶과 투쟁
Ⅰ. 빨치산의 등장
Ⅱ. 지리산 입산과 경남 인민유격대
Ⅲ. 57사단 사령관 이영회의 기동투쟁
Ⅳ. 빨치산의 종막

지리산권 빨치산의 형성과 활동-6·25전쟁 직후부터 1951년 ‘남부군’ 결성을 중심으로
Ⅰ. 여순사건 이후 지리산권의 빨치산 활동
Ⅱ. 6·25전쟁 직후의 상황과 유격대의 변모
Ⅲ. 경남 지역 유격대의 조직과 활동
Ⅳ. ‘남부군’의 결성과 활동
Ⅴ. 한국전쟁기 빨치산 활동 연구의 향후 과제

지리산과 남부군, 그리고 그들의 죽음
Ⅰ. 시작하는 말
Ⅱ. 남부군의 탄생과 지리산 입산
Ⅲ. 지리산과 남부군의 흥망성쇠
Ⅳ. 지리산과 남부군 : 실존과 죽음
Ⅴ. 맺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