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몰터 : 클라리넷 협주곡 in D major (Clarinet Concrto in D Major)
Bawoo2014. 4. 4. 17:18
몰터 : 클라리넷 협주곡 in D major
Johann Melchior Molter / Clarinet Concrto in D Major
Paul Angerer (cond)Südwestdeutsches Kammerorchester Pforzheim
(South West German Chamber Orchestra Pforzheim)
몰터 : 클라리넷 협주곡 in D major
Clarinet Concrto in D Major
Thomas Friedli(Clarinet)
요한 멜히오르 몰터 (Johann Melchior Molter)
1696. 2. 10 – 1765. 1. 12 . 독일
Johann Melchior Molter (1696-1765)는 바로크 독일 작곡가이자 바이올리니스트로 Karlsruhe의 Baden-Durlach 의 궁정에서 음악활동을 한 음악가였다
Eisenach근처의 Tiefenort에서 태어났으며 Eisenach의 Gymnasium을 졸업하였다. 1717년 아이제나흐를 떠나, Karlsruhe에서 바이올린 연주자로 활동을 시작했으며, 이곳에서 Maria Salome Rollwagen와 결혼 했으며, 그녀와 사이에 8남매를 두었다. 1719년으로부터 1721년까지 이태리에서 작곡을 배웠으며, 1722년에 Karlsruhe카펠 마이스터가 되었으며,1933년 까지 이곳에 머물렀다. 1734년부터 1741년 까지 Eisenach의 Wilhelm Heinrich 공작의 궁정 악장직을 지냈다. 1737년에 그의 부인 Maria Salome Rollwagen가 사망했으며, 1742년 Maria Christina Wagner와 재혼하였다.
동년 Karlsruhe에 돌아갔으며, 이곳 Gymnasium에서 가르쳤으며, 궁정 악단을 재조직하였다. 1747년부터 삶을 마칠 때까지 그를 최초로 고용하였던 고용주의 아들이던 Baden-Durlach의 Carl Friedrich 후작을 위해 봉직했으며,1765년 Karlsruhe에서 삶을 마감하였다. 170여곡이 넘는 신포니아를 비롯하여, 몇몇 최초의 클라리넷 협주곡으로 기록되는 작품들을 포함하여 40여곡이 넘는 솔로 콘체르토, 몰터의 독특한 장르 가운데 하나인 21곡의 orchestral sonatas , 그리 또 다른 관현악 작품들, 100여곡이 넘는 실내악작품 등을 포함하고 있다. 그의 음악은 재치있는 기악법이 하나의 특징을 이루고 있으며, 다양한 영향을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후기 바로크로부터 갈랑 양식으로 전이를 보여주는 것이다. 그는 또한 몇몇 오라토리오와 칸타타, 그리고 건반악기를 위한 작품들을 작곡하였다. 남아있는 몰터의 작품으로는 한곡의 오라토리오와 몇몇 칸타타, 그리고 140여곡이 넘는 symphonies와 서곡, 아울러 최초의 클라리넷 협주곡을 비롯한 많은 협주곡 등 여타의 관현악을 위한 작품들과 다수의 실내악을 포함하고 있다.
클라리넷이라는 이름은 이탈리아의 옛 트럼펫이었던 클라리노 (clarino)에서 유래합니다. 클라리노는 높고 화려한 소리를 내는 고음 트럼펫으로서 18세기 바로크 시대에 전성기를 이루다가 내추럴 트럼펫에게 그 자리를 내준 악기입니다. 최초로 클라리넷을 개발한 사람은 1700년경 누렘베르그의 악기 제작자인 데너 (Johann Christian Denner 1655-1707)였습니다. 그는 프랑스의 옛 악기인 샬뤼모(Chalumeau)를 개량해 맑고 탁 트인 음색을 가진 악기를 만들었는데, 이 악기의 음색이 트럼펫 (정확하게 말하면 클라리노)과 유사했기 때문에 클라리넷이라는 이름을 붙여주었습니다. 샬뤼모(Chalumeau) 는 나무로 만드는데 만드는 재질에 따라 '부빙가'와 '올리브' 두 가지로 나뉜다.
<부빙가(좌)와 올리브(우)><부빙가(상)와 올리브(하)>
처음엔 그 소리가 트럼펫처럼 좀 거칠어서 작곡가들은 클라리넷을 혼(Horn) 과 함께 사용했습니다. 클라리넷이 점차 개량되면서 비발디와 텔레만이 그들의 음악에 처음 사용했으며 몰터(Johann Melchior Molter)는 1750년경 4개의 협주곡을 작곡했습니다. 글룩(Gluck) 이나 스타밋츠(Carl Stamitz) 같은 작곡가들도 그들의 오케스트라에서 클라리넷을 사용하기도 했는데 그 위치는 모짜르트 시대에 와서야 비로소 안정적인 것이 되었습니다. 모짜르트는 교향곡 제39번 K543 같은 그의 후기 교향곡들에서 클라리넷을 사용했습니다. 그는 또한 세상을 떠난 해인 1791년에 클라리넷 협주곡을 작곡했고 실내악용으로 현악 4중주와 함께 연주하는 클라리넷 5중주도 작곡했는데 그 당시 그가 존경하던 비엔나의 유명한 클라리넷 연주자였던 안톤 스타들러(Anton Stadler)가 연주해 유럽 전역에 이 악기의 명성을 떨쳤습니다.
<클라리노 (clarino) 와 클라리넷(Clarinet)>
클라리넷은 음색의 광범위함과 다양함으로 인해 곧 많은 작곡가 들이 선호하는 악기가 되었습니다. 스타밋츠, 단지(Franz Danzi),빈터(Franz von Winter), 딤러(Franz Anton Dimmler), 스포어(Louis Sphor), 베버(Weber), 로씨니, 브람스 등 많은 작곡가들이 클라리넷을 위한 작품을 썼습니다. 오늘날 정규 교향악단들은 통상 3명의 클리리넷 주자들을 갖고 있습니다. 그 중 한 명은 필요에 따라 E-flat 클라리넷이나 베이스 클라리넷으로 바뀌기도 합니다. 클라리넷은 콘서트나 마칭 밴드에서, 오케스트라에서는 바이올린에게 주어지는 역할의 많은 부분을 맡고 있는, 없어서는 안될 주요 악기가 되었습니다. 색소폰과 마찬가지로 클라리넷은 소프라노, 알토, 테너, 베이스 클라리넷 등 4가지의 기본 형태를 갖고 있습니다. 여기에 바쎗 혼 Bassett Horn 과 잉글리시 혼, 소프라노 색소폰 등이 형태나 음색에서 유사한 악기로 소개되기도 합니다.
Molter Clarinet Concerto in D major / Thomas Friedli (Clari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