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히 약칭해서 ‘이중 협주곡’(Double Concerto)으로 불리는 이 작품은 브람스의 마지막 협주곡이자 마지막 관현악곡이다. 브람스가 이 사실을 얼마나 의식하고 있었는지 모르겠지만, 당시 브람스의 나이 54세였고 그에게는 아직 10년의 삶이 남아 있었다. 이 작품은 여러 모로 그 의의에 걸맞은 내용을 지니고 있다.
이 작품은 브람스가 추구했던 ‘교향적 협주곡’ 양식의 근원을 가리키고 있으며, 동시에 열정적이면서도 차분하고, 치밀하면서도 중후한 울림을 지닌 그의 독자적인 관현악 세계의 한 극점을 비춰준다. 다시 말해 이 협주곡에는 브람스가 그때까지 쌓아 왔던 작곡 경험이 총체적으로 집약되어 있다고 하겠다. 아울러 그 이면에는 요아힘과의 우정에 얽힌 함의도 있는 듯하다.
우정과 화해의 협주곡
브람스는 이 협주곡을 1887년 여름 스위스의 툰(Thun)에서 작곡했다. 베른에서 남쪽으로 30km 정도 떨어진 곳에 자리한 이 작은 도시는 드넓은 툰 호수에 면해 있으며 주위에는 베르네제 오버란트의 영봉들이 병풍처럼 둘러서 있다. 브람스는 1886년부터 1888년까지 여름 시즌을 이 고장에서 보내면서 주위의 장엄하고 수려한 풍광에 어울리는 작품을 썼는데, 이 협주곡에 펼쳐져 있는 웅대한 악상 역시 그러한 환경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사실 이 협주곡은 애초에 그의 다섯 번째 교향곡으로 구성되었지만, 결국 바이올린과 첼로, 두 대의 독주악기를 기용한 협주곡으로 완성되었다. 브람스가 중도에 계획을 변경한 데에는 아마 전년도에 역시 툰에 머물면서 첼로 소나타 2번, 바이올린 소나타 2번, 피아노 3중주 3번 등을 작곡했던 경험이 크게 작용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그 결과로 이 협주곡은 고전파 시대의 ‘협주 교향곡’(Sinfonia Concertante) 또는 바로크 시대의 ‘합주 협주곡’(Concerto Grosso)을 연상시키는 형태를 취하게 되었다. 그런데 한편으론 그 변경이 한동안 소원했던 친구 요아힘과의 우정을 회복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이루어졌을 개연성도 다분하다. 그렇다면 브람스와 요아힘 사이에는 무슨 일이 있었던 것일까?
1880년 가을, 브람스는 친구 요아힘의 부부싸움에 말려든다. 요아힘의 부인은 아말리 바이스라는 매력적인 가수였는데, 그 무렵 요아힘이 아내를 의심한 나머지 간통죄로 법정에 고소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친구의 질투심 많은 성격을 잘 아는 브람스는 그 고소의 내용이 사실무근이라고 믿었다. 그래서 그는 아말리에게 장문의 편지를 보내서 그녀를 위로했는데, 공교롭게도 아말리가 그 편지를 법정에 증거물로 제출했다.
당연히 요아힘은 큰 상처를 받았고 브람스에게 절교를 선언했다. 브람스는 안타까웠다. 아말리에게 편지를 보낸 것은 그것이 바로 요아힘과의 참다운 우정을 위한 일이라고 믿었기 때문이었다. 그는 요아힘이 아내를 얼마나 사랑하는지 너무도 잘 알고 있었던 것이다. 물론 시간이 흐르면서 요아힘도 브람스를 이해하게 되었지만, 한번 틀어진 사이는 좀처럼 회복되기 어려운 법, 어떤 계기가 필요했다.
‘2중 협주곡’은 요아힘과 브람스의 우정을 가로막고 있던 벽을 허물고 관게를 회복하는 계기가 되었다.
1883년, 브람스는 세 번째 교향곡을 요아힘에게 보내면서 친구의 옛 이름(유스프)을 부른다. 요아힘은 이를 반갑게 맞아들였다. 그러나 아직은 조금 부족했다. 1887년, 새로운 협주곡을 작곡하면서 요아힘에게 도움의 손길을 청한다. 그리고 그들의 관계는 그제야 비로소 회복되었다. 두 사람이 클라라 슈만의 집에 모여 그 협주곡을 처음 연습하던 날 클라라는 일기에 다음과 같이 적었다. “이 협주곡은 일정 부분 화해의 의미를 지닌 작품이고, 요아힘과 브람스는 몇 년 만에 처음으로 대화를 나누었다.”
이렇게 보자면 이 곡의 바이올린 독주부에는 요아힘의 모습이, 첼로 독주부에는 브람스의 모습이 투영되어 있다는 식의 추측도 가능하지 않을까. 실제로 두 악기는 첫 악장에서는 서로 첨예하게 대립하면서 격렬한 언쟁을 벌이다가, 다음 악장으로 넘어가면서 한결 차분한 어조로 허심탄회한 대화를 나누는 듯한 모습을 연출한다. 그리고 마지막 악장에서는 한바탕 어우러지며 우정의 회복을 자축하는 윤무를 펼치는 것처럼 보인다.
원래, 이 2중 협주곡은 제5번 교향곡을 의식하고 작곡된 곡이라 합니다.사실,이곡은 거의 브라암스의 말년에 지어진 곡으로써 나이가 점점 들어가면서 더욱 회고적이 되어가고, 보수적이 되어가던 브라암스가 얼마전엔 바이얼린 협주곡을 완성했었고, 하기에 이번엔 "바이얼린 협주곡"이 아니고 첼로도 (평소에 브라암스는 첼로란 악기를 무척 사랑했었읍니다) 독주악기로 덧붙여서 관현악 투티부가 독주 악기군으로 대립하고 있는 17,8세기의 합주 협주곡 스타일을 근대적인 정신으로 부활시켜 보고자 생각하고 지은 곡입니다. 사실, 이곡은 브라암스 자신이나,친구인 요하임, 그리고 클라라 슈만까지도 무척이나 걱정하였던 곡입니다.심지어 클라라는 그의 일기에서 "나로서는 첼로와 바이얼린을 독주악기로 같이 쓴다는 것은 반드시 좋은 일이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또한악기 자체도 광채가 없어 협주곡의 장애가 의심스럽다. 이것은작곡가에게는 지극히 흥미로운 일일지 모르지만 그의 다른 많은 작품처럼 이곡은 신선하고 온화한 필치는 되지 못할것이다" 라고 적고 있읍니다.
실지로 이곡은 2개의 악기에 모두 고도의 기교를 요하고 있으면서 무척이나 선률적이고 가장 변화가 풍부한 바이얼린과 첼로를 독주악기로 하고 있기에, 호흡이 맞고 또한 휼륭한 기교를 가진 두사람을 연주자로 쓰지 않고서는 전혀 그 가치를 발휘할수 없읍니다. 하지만 이 곡이 우수한 연주자를 맞이하여 휼륭하게 연주되었을때의 효과는 마차 브라암스가 이 작품을 아르 강이 바라보이는 방의 창가에서 베른 고지의 무엇이라 말할수 없는듯한 아름다운 빙하의 경치, 또한 알프스의 위풍당당한 풍경을 바라보며 작곡한 듯한 느낌을 우리 역시도 받을수 있는 너무나 훌륭한 곡입니다.
이곡은 1886,7,8년 3년의 여름을 스위스 베른에 가까운 토운이란 곳에서 보내면서 두번째 해인, 87년 5월중순부터 토운에 머무르던중, 7월경 부터는 그전 부터 생각해오던 5번교향곡의 계획을 바꾸어 2중 협주곡을 만들 계획을 세운 것으로 생각됩니다. 7월24일경 그당시에 불화로 사이가 조금 멀어졌던 요하임에게 편지를 보내어 이중 협주곡의 계획을 알리고 조언을 부탁하기도 하였읍니다. 그리하여 전곡은 그해 8월 초에 완성되고 원래 10월 18일 퀼른에서 가지려고 하였으나 그 3일전인 15일 공개시연을 브라암스의 지휘, 요하임과 하우스만을 독주자로 가졌기에, 이날 15일을 초연일로 보는 사람이 많읍니다. 그전에도 사적인 초연은 9월 21일과 22일에 바덴바덴의 클라라 집에서 브라암스가 피아노를, 요하임과 하우스만이 독주로 하긴 하였읍니다. 하여튼 이곡은 그 곡의 독특한 구성 때문에 초연후 곧 여러 곳에서 짧은 시간안에 무척 널리 알려 지게 되었읍니다.<웹사이트>
A단조, 4/4박자. 이 악장의 개시부는 인상적인데, 특히 형식면에서 이례적인 모습이 돋보인다. 즉 통렬한 관현악의 총주로 시작된 직후 두 독주악기가 주도하는 카덴차 등의 부분이 상당히 길게 이어지는 것이다. 이것은 물론 베토벤이 피아노 협주곡 4번과 5번에서 선보였고 브람스 자신도 피아노 협주곡 2번에서 시도했던 기법이지만, 여기서는 그것을 더욱 발전시켜 거의 서주에 준하는 수준으로 확장해 놓은 것으로 볼 수 있다.
제시부는 이 카덴차 풍의 서주가 지나간 다음에야 본격적으로 나타나는데, 제1주제는 첫머리에 총주로 나타났던 동기를 확장시킨 것으로 강렬하고 웅대한 느낌을 주며, 바이올린과 목관이 제시하는 제2주제는 보다 경쾌하고 여유로운 인상이다. 그런데 이 제2주제는 브람스와 요아힘이 젊은 시절에 함께 즐겨 연주했던 비오티의 <A단조 협주곡>에서 유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 작품의 곡에는 두 사람의 오랜 우정의 모토에서 착안한 ‘F-A-E’(Frei, aber, einsam: 자유롭다, 그러나 고독하다) 동기가 변형되어 녹아 있기도 하다.
2악장: 안단테
D장조, 3/4박자. 호른이 그윽한 울림을 꺼내놓으면 목관이 메아리처럼 응답하는 시작 부분은 이 곡이 작곡된 알프스의 풍광을 환기시킨다. 그 수려하고 한가로운 경치 속에서 두 독주악기가 나누는 대화는 은근하면서도 뜨거운 열기로 가득하며, 정점에 다다르면 한껏 고양된 감흥을 분출한다.
3악장: 비바체 논 트로포
A단조, 2/4박자. 이 춤추는 듯한 론도 악장에서 관현악만으로 진행되는 부분은 전체 340여 마디 가운데 60여 마디에 지나지 않는다. 하지만 전체의 짜임새는 매우 섬세하고 치밀하여 관현악과 각 독주악기 사이에 철저한 균형과 조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아울러 투입된 악상의 종류도 다채롭고 그 전개도 흥미진진하고 절묘하기에, 그야말로 브람스의 관현악곡의 대미에 어울리는 멋진 피날레라 하겠다.
추천음반
1. 다비드 오이스트라흐(바이올린), 므스티슬라프 로스트로포비치(첼로)/클리블랜드 오케스트라/조지 셀(지휘). EM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