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력으로 선천적 재능을 따라잡을 수 있을까. 국제적 권위의 심리학 학술지인 ‘심리과학’은 최근 과학계의 해묵은 논쟁을 잠재울 수 있는 연구 논문을 발표했다고 인터내셔널뉴욕타임스(INYT)가 16일 전했다. 논문의 결론은 아무리 노력해도 선천적 재능을 따라잡기 힘들다는 것이다.
잭 햄브릭 미시간주립대 교수 연구팀은 노력과 선천적 재능의 관계를 조사한 88개 논문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지금까지 진행된 이 분야 연구 중 가장 광범위한 것이다. 연구 결과 학술 분야에서 노력한 시간이 실력의 차이를 결정짓는 비율은 4%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음악·스포츠·체스 등의 분야는 실력의 차이에서 차지하는 노력 시간의 비중이 20~25%였다. 어떤 분야든 선천적 재능이 없으면 아무리 노력해도 대가가 될 수 있는 확률은 그리 높지 않다는 결론이다. 햄브릭 교수는 “한 분야에서 최고가 되기 위해서는 꾸준한 노력이 필수적이지만 선천적 재능과 비교했을 때 대부분의 사람이 생각하는 것만큼 절대적인 요소는 아니다”고 설명했다.
연구에 따르면 선천적 재능과 함께 나이도 성공의 주요 요인이다. 예를 들어 어린 시절부터 두 가지 언어를 사용하는 환경에서 자란 아이는 언어 능력과 직결된 두뇌를 자유자재로 사용하기 때문에 늦게 언어를 배운 사람보다 더 뛰어나다는 것이다. 바이올린 등 악기를 연주하거나 축구 등 운동을 할 때도 조기 교육이 큰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일의 성과를 꾸준히 확인할 수 있는 환경이 뛰어난 실력을 기르는 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사람들과 체스 경기를 꾸준히 한 선수가 홀로 체스를 배운 선수보다 뛰어난 기량을 발휘한다는 설명이다. 연구에 따르면 한 분야를 배울 때 관련 분야와 함께 배우면 학습 진도도 빠르고 실력 향상에도 도움이 된다. 일례로 자유영과 배영을 동시에 배워 수영 실력을 키운 사람은 자유영이나 배영만 배운 사람보다 더 빨리 기술을 연마하고 기량도 뛰어났다.
햄브릭 교수는 “노력에 쏟은 시간의 중요도는 분야마다 차이가 나는데 각 분야에서 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해 필요한 이상적인 노력의 양을 구하는 것은 앞으로 연구해야 할 분야”라고 말했다. 미국의 창의력 연구기금인 이매지네이션 인스티튜트의 과학 이사인 스콧 카우프만(펜실베이니아대 심리학 교수)는 “이 연구를 바탕으로 앞으로 인내와 동기, 영감 등의 요인들이 높은 수준의 성취를 이루는 데 얼마나 기여하는지 연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햄브릭 교수팀의 연구는 1993년 앤더스 에릭슨 플로리다주립대 교수가 주도한 기념비적인 연구의 결론을 뒤집는 것이다. 에릭슨 교수는 음악가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일급 연주자와 아마추어 연주자 간 차이의 80%는 연주 시간에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미국 시사주간지 타임이 2005년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100인에 꼽은 맬컴 글래드웰은 에릭슨 교수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아웃라이어』를 집필해 세계적 베스트셀러 작가가 됐다. 글래드웰이 이 책에서 제시한 ‘1만 시간의 법칙’은 선천적 재능보다 꾸준한 노력이 대가를
만든다고 주장해 전 세계에 큰 반향을 일으켰다.
< 출처: 중앙일보-하선영 기자 >
* 머리나 출신이나 타고나는 것이 최고의 복이군요. 인간의 삶을 운이 더 지배한다는 아이러니-노력은 못가진 자나 하는 것이라는 자조감이 듭니다. 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