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사(歷史) 마당 ♣/- 인물, 단체

다산 정약용 선생과 악연이 있는 인물- 서용보

Bawoo 2015. 6. 14. 22:49

본관은 대구(大丘). 자는 여중(汝中), 호는 심재(心齋). 고조할아버지는 영조의 장인이던 달성 부원군(達城府院君) 서종제(徐宗悌)이며, 증조할아버지는 서명백(徐命伯), 할아버지는 서신수(徐信修)이다. 아버지는 호조참판·황해도 관찰사 등을 역임한 서유녕(徐有寧)이며, 어머니는 송의손(宋宜孫)의 딸이다.


[활동 사항]
서용보(徐龍輔)[1757~1824]는 18세 되던 해인 1774년(영조 50) 증광 생원시 3등 17위 및 증광시 병과 16위로 소과·대과에 연달아 등제하면서 두각을 나타냈다. 정조 조에 들어와 본격적으로 관직 생활을 시작하여 규장각 직각·경기도 관찰사·대사헌·이조참판 등을 지냈으며, 순조가 즉위한 이후에는 우의정과 좌의정을 차례로 역임하였다.

재상으로서 순조를 보필하는 동안 서용보는 대왕대비인 정순 왕후(貞純王后)로부터 큰 신임을 받았던 것으로 보인다. 1801년(순조 1) 그가 사직을 청하고 향리로 돌아가자 정순 왕후가 서둘러 조정에 복귀할 것을 친히 하교하였다. 이후에도 서용보는 누차 귀향을 도모하였으나 번번이 순조와 정순 왕후의 만류로 뜻을 이루지 못하다가 1805년(순조 5) 사은사(謝恩使)로서 청나라를 방문하고 귀국한 후에야 비로소 향리로 물러날 수 있었다. 그러나 14년 뒤인 1819년(순조 19) 영의정에 임명되어 다시 조정으로 돌아와 국정을 총괄해야만 하였다. 이와 같이 화려한 관력(官歷)을 거치는 동안 서용보는 이재학(李在學)과 함께 도봉산을 방문하여 시회(詩會)를 개최하기도 하였다. 현전하는 『도봉첩(道峰帖)』은 서용보 등이 도봉산에서 개최한 시회를 기념하여 직접 제작한 것으로 도화서 화원 김석신(金碩臣)이 그림을 그렸다.


[상훈과 추모]
서용보가 사망하자 순조가 애석한 마음을 표하며 특명을 내려 시장(諡狀)을 기다리지 말고 장례 전에 시호를 의논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사망한 지 두 달 만에 익헌(翼獻)이라는 시호가 내려졌다.

 

[출처] 한국학중앙연구원 - 향토문화전자대전

 

<참고자료>

 

대구서씨 (大丘徐氏) 약사

 

시조 : 서한 (徐閈)
집성촌 : 경북 달성군 일원

대구 서씨(大丘徐氏)는 시조(始祖) 한 (閈:자는 인리)이 고려조(高麗朝)에서 군기소윤 (軍器少尹)을 지내고, 누대(累代)에 걸쳐 달성(達城:대구의 별호)에 정착 세거(定着世居) 하였으므로 후손들이 본관(本貫)을 대구(大丘)로 삼았다.


「조선씨족통보(朝鮮氏族統譜)」에 의하면 그는 낭장(郎將)을 지낸 영(潁)의 후손으로 기록하고 있으므로 이천 서씨(利川徐氏)에서 분적(分籍)된 계통(系統)으로 추정(推定) 되나 확실(確實)한 고증 자료가 없어 정확히 상고(詳考)할 수는 없다. 대구 서씨(大丘徐氏)는 시조(始祖) 한(閈)으로부터 7세손 익진(益進)에 이르기까지 세계(世系)가 실전(失傳)되어 최근(最近:1979년) 중간(重刊)된 「대구서씨세보(大丘徐氏世譜)」에도 기록되지 않았다.


모든 서씨(徐氏)중에서도 가장 많은 인재(人才)를 배출한 가문(家門)으로 손꼽히는 대구서씨(大丘徐氏)는 특히 조선조(朝鮮朝)에서 세도가문(勢道家門)으로 이름을 날렸다. 가문의 대표적인 인물(人物)로는 사가정(四佳亭) 거정(居正)과 약봉(藥峯) 성(省)을 들 수 있다.


거정(居正)은 1420년(세종 2) 목사(牧使) 미성(彌性)의 둘째 아들이자 대제학(大提學) 권근(權近)의 외손(外孫)으로 태어나 24세에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사재감 직장 (司宰監直長)을 시작으로 벼슬길에 올라 세종(世宗)과 성종(成宗)에 이르는 6대왕조 (六代王朝)에 걸쳐 전후 45년 간 육조(六曹)의 판서(判書)와 대제학(大提學:홍문관, 예문관의 정 2품 벼슬) 등을 지내며, 대학자(大學者)로 더욱 명성을 날렸다.
문장(文章)과 글씨에도 능한 그는 성리학(性理學)은 물론 한문학(漢文學)과 천문(天文) ㆍ지리(地理)ㆍ의약(醫藥) 등에 이르기까지 정통했고,「경국대전(經國大典)」ㆍ「동국통감 (東國通鑑)」ㆍ「대동여지승람(大東輿地勝覽)」등의 편찬(編纂)에도 참여했으며 왕명(王命) 으로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을 국역(國譯)했다.


한편 신라(新羅)이래 조선(朝鮮) 초기에 이르는 시문(詩文)을 엮은 「동문선(東文選)」과 「동인시화(東人詩話)」를 펴내는 등 조선조(朝鮮朝)의 한문학을 집대성하여 참으로 많은 업적을 남겼다. 함재공(涵齋公) 해(嶰)의 아들인 성(渻)은 당대에 이름난 석학(碩學) 이퇴계(李退溪)의 문하(門下)에서 글을 읽고 나이 20에 문명(文名)을 날려 사림(士林)의 존경(尊敬)을 받았으며, 선조(宣祖) 때 5도 (五道)의 관찰사(觀察使)와 호조(戶曹)ㆍ형조(刑曹)ㆍ 공조 판서(工曹判書)등을 두루 역임한 후 광해군(光海君) 때 계축옥사(癸丑獄事)에 연루되어 11년 간이나 유배 생활을 하였다.


1623년 (인조 1) 인조반정(仁祖反正)으로 풀려나 뒤에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중추부의 종 1 품 벼슬)에 이르렀으며 그의 자손중에서 3대(代) 정승(政丞), 3대 대제학(大提學), 3대 대학자(大學者)가 배출되어 서씨(徐氏) 가문의 전성기를 가져오게 하였다. 성(渻)의 네 아들 경우(景雨)ㆍ경수(景需)ㆍ경빈(景霦)ㆍ경주(景周) 형제중에 맏아들 경우(景雨)는 우의정(右議政)에 올랐고, 차남 경수(景需)의 현손(玄孫) 종제(宗悌)의 딸이 영조비(英祖妃)가 되었으며, 종제(宗悌)의 현손(玄孫) 용보(龍輔)는 영의정
(領議政)을 역임했다.


넷째 아들 경주(景周)는 정신옹주(貞愼翁主:선조왕의 장녀)와 혼인(婚姻)하여 선조 (宣祖)의 부마(駙馬)가 되었으며, 그의 후손에서 영의정(領議政) 6명과 좌의정(左議政) 1명, 대제학(大提學) 5명이 배출되어 경수(景需)의 후손과 함께 명문(名門)의 기반을 다졌다.


서문(徐門)이 배출한 많은 인물 가운데 대표적인 열력(閱歷)을 살펴보면 숙종(肅宗) 때 영의정(領議政)에 오른 문중(文重)과 종태(宗泰), 영조(英祖) 때 영의정 지수(志修), 순조(純祖) 때 당보(堂輔) 등이 뛰어났고, 대제학(大提學) 명응(命膺)ㆍ유신(有臣)ㆍ 영보(榮輔)ㆍ기순(箕淳)과 판서(判書)를 지낸 문유(文裕)ㆍ문익(文益)ㆍ종급(宗伋)ㆍ 종옥(宗玉)ㆍ명빈(命彬)ㆍ호수(浩修)ㆍ회수(晦修)ㆍ유방(有防)ㆍ유린(有隣)ㆍ능보(能輔)ㆍ경보(耕輔)ㆍ좌보(左輔)ㆍ유구(有榘)ㆍ유보(裕輔)ㆍ재보(在輔)ㆍ가순(嘉淳) 영순(英淳)ㆍ헌순(憲淳)ㆍ상우(相雨)ㆍ상정(相鼎)등이 대표적이다.


한말(韓末)에 와서는 법부대신(法部大臣:법부의 우두머리 되는 벼슬) 광범(光範)과 의병장(義兵將) 상렬(相烈)ㆍ병희(丙熙)가 유명했고, 독립운동가로 유명한 재필(載弼)은 독립협회(獨立協會)를 결성하여 민족독립 운동에 일생을 바쳐 명문(名門)의 전통을 이었다.

 

 

 

 

                                                                           서한 (시조)

                                                                             ㅣ

                                                                             ㅣ

                                                                             ㅣ(계대 알수없음)

                                                                         서익전                                                               7세

                                                                             ㅣ

                                                                           서의                                                                 8세

                                                                             ㅣ

                                                                         서미성                                                                9세

                                                                             ㅣ

                                                               ┏----------------┓

                                                          서거광                       서거정(대제학)                                   10세

                                                              ㅣ

                                                   ┏------------┓

                                               서팽소               서팽려

                                                   ㅣ

                                           ┏-----------------------┓

                                        서후                  서구             서고

                                                                                       ㅣ

                                                                                     서해(공조판서)

                                                                                        ㅣ

                                                                                      서성                                14대   선조왕

                                                                                        ㅣ                                                  ㅣ

                                                       ┏--------------------------------------┓ 

                                                   서경우(우의정)                  서경수        서경빈  서경주(配정신옹주)    15세

                                                            ㅣ                               ㅣ                                          

                                      ┏--------------┓                                                                    

                                  서정리                   서원리(병조참판)   서형리      

                                       ㅣ                                                    ㅣ                       

              ┏------------------┓

           서문상 서문중(영의정)  서문하                                    서문도

                          ㅣ                                                                 ㅣ   

                       서종태(영의정)                                              서종제(영조의 국구)          

                           ㅣ                                                                ㅣ

                                                                                       ┏----------┓   

                       서명균(좌의정)                                       서명백          정선왕후(配영조)              

                           ㅣ                                                          ㅣ     

                       ┏----------┓                              ┏-------------┓               

               서지수(영의정)    서무수                        서덕수   서인수   서신수                            20세

                  ㅣ                       ㅣ                               ㅣ                      ㅣ               

               서유신(대제학)    서유돈                        서유호                서유영        

                  ㅣ                       ㅣ                              ㅣ                                    

               서용보(영의정)   서당걸                        서일보             

                   ㅣ                      ㅣ                              ㅣ                      

               서기순(대제학)   서진순                        서재순              

                                            ㅣ                              ㅣ

                                         서상기                        서상익

                                            ㅣ                              ㅣ

                                         서광효                        서광범                                                    25세

                                            ㅣ

                                         서재필

 

 

<다산 선생과 서용보와의 악연>

다산이 서른두 살 되던 해인 1794년에는 경기도 관찰사 서용보가 농민들을 수탈하는 등 횡포가 심하다는 소문이 조정에까지 들려왔다. 이에 정조는 급히 다산을 경기도 암행어사로 임명하였다. 순찰을 마치고 돌아온 다산은 서용보의 협잡 사실을 그대로 보고하였다. 이 일로 인하여 벌을 받은 서용보는 두고두고 다산을 미워하게 된다.

1803년  다산을 석방시키려 는 논의가 조정에서 있었으나 당시 좌의정이던 서용보가 끝내 가로막았다.

1818년 다산이 해배되는데, 그 해는 서용보가 벼슬에서 물러난 해이기도 하다. 정약용이 해배 된 후에는 이웃에 살던 서용보가 정약용에게 서찰을 보내‘해배 되셨으니 조정에서 일을 하셔야 할텐데..’라고 말하지만  실상은  그의 조정진출을 결사 반대한다. 1819년 그 전해에 귀양지에서 돌아온 다산을 재등용하여 나라에 도움을 주게 하자는 논의가 일어나 승지(承旨) 벼슬에 임명되려던 때에 또 다시 서용보가 극력 반대하여 다산은 다시 벼슬길에 오를 기회를 얻지 못하고 말았다.

 

출처: <역사학자 이덕일 의 '정약용과 그의 형제들"이란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