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음악 감상실 ♣/- 차이콥스키

Tchaikovsky - Piano Trio,in A minor op 50 ('In Memory of a Great Artist')

Bawoo 2016. 3. 20. 21:09

 

Tchaikovsky 

 

 

Piano Trio in A minor op 50

"In Memory of a Great Artist"

 

Argerich, Schwarzberg & Zhao

                   

Pyotr Ilyich Tchaikovsky's Piano Trio in A minor, Op. 50, was written in Rome between December 1881 and late January 1882. It is subtitled In memory of a great artist, in reference to Nikolai Rubinstein, his close friend and mentor, who had died on 23 March 1881. It is scored for the usual combination of piano, violin, and cello.

The work's first version was completed by late January 1882.[1] Private performances were held in March and April. The work underwent considerable revision[2] before its premiere on 30 October at a quartet concert of the Russian Musical Society in Moscow.[2][3] The piano soloist was Sergei Taneyev; the other performers are unknown

 

차이콥스키는 실내악곡을 몇 작품밖에 남기지 않았다. 우리에게 알려져 있는 그의 실내악곡이란 다섯 곡, 즉 ‘피렌체의 추억’이란 타이틀로 유명한 현악 6중주 Op.70, 2악장의 빠르기 지시어 ‘안단테 칸타빌레’(천천히 노래하듯이)가 그대로 곡명으로 통용되는 현악 4중주 1번 Op.11과 2번 Op.22, 3번 Op.30의 세 곡, 그리고 여기 소개하는 피아노 3중주 a단조 Op.50 정도이다.

“3중주곡은 내 능력 밖의 일”

‘a단조 3중주곡’ 외에 차이콥스키가 피아노 3중주곡을 더 이상 작곡하지 않은 것은 그가 이 형식을 좋아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 형식에 대한 그의 거부감이 어느 정도였는지는 그의 후원자인 폰 메크 부인과의 일화에 잘 나타나 있다. 자기 집에 개인 3중주단을 두고 있었던 폰 메크 부인은 차이콥스키에게 이 3중주단을 위해 피아노 3중주곡을 써 달라고 부탁했다. 그러나 차이콥스키는 평소와는 달리 이 요청을 정중히 거절했다. 당시 차이콥스키가 폰 메크 부인에게 보낸 편지의 내용.

“당신은 어째서 내가 3중주를 쓰지 않는지 물었지요. 나는 당신이 기뻐하는 일이라면 무엇이든 하려고 합니다만 이것만은 내 능력 밖의 일입니다. 나는 피아노와 바이올린과 첼로가 서로 결합되는 소리를 참을 수 없습니다. 내 생각으로는 이 악기들의 소리는 서로 어울리는 것 같지 않습니다. 현악기를 위한 3중주나 소나타를 듣는 일이 나에게는 참을 수 없는 고통입니다.” ▶폰 메크 부인(1831-1894)

그랬던 차이콥스키가 피아노 3중주 a조는 왜 썼을까? 이 작품에는 ‘한 위대한 예술가를 추억하며’라는 부제가 붙어 있다. 여기서 가리키는 위대한 예술가는 당대 최고의 피아니스트이자 모스크바 음악원 원장인 니콜라이 루빈스타인이다. 과거 차이콥스키는 피아노 협주곡 1번을, 그러니까 자신이 쓴 최초의 피아노 협주곡을 평소 선후배 사이로 허물없이 지내면서 존경했던 루빈스타인에게 헌정하고자 했다.

하지만 루빈스타인은 피아노 대가인 자기와 상의 없이 곡을 만든 데 기분이 상했는지 여기저기 고치지 않으면 초연을 맡지 않겠노라고 퉁명을 주고 만다. 이에 차이콥스키는 발끈해서 한 군데도 고칠 수 없노라고 하고는 그 자리에서 헌정사를 찢어버리고 만다. 훗날 루빈스타인은 차이콥스키에게 사과했고, 피아노 협주곡 1번을 자신의 주요 연주 레퍼토리로 삼음으로써 이 곡의 홍보대사가 된다.

니콜라이 루빈스타인의 죽음

이처럼 차이콥스키와는 여러 모로 인연을 맺었던 루빈스타인이 파리에서 쉰 나이로 숨을 거둔 것은 1881년 3월 23일. 그의 후임으로 차이콥스키가 모스크바 음악원 원장 물망에 올랐으나, 그는 이를 사양하고 그 해

11월 로마로 떠난다. 그곳에서 차이콥스키는 폰 메크 부인에게 이런 편지를 보냈다. “부인께서 언젠가 피아노와 바이올린과 첼로를 위한 3중주곡을 써보라고 하셨죠. 그리고 제가 그런 악기의 조합은 별로 내키지 않는다고도 분명히 말씀드렸어요. 그런데 갑자기 저는 그런 종류의 음악을 한번 써보고 싶습니다.”

그로부터 한 달도 되지 않아 1882년 1월 차이콥스키는 피아노 3중주곡의 스케치를 끝냈다. 그리고는 완성된 원고 위에 ‘한 위대한 예술가를 추억하며’라는 문구를 적어 넣었다. 그렇게 해서 탄생한 것이 바로 피아노 3중주 a단조 Op.50이다. 루빈스타인의 죽음은, 조울증에 가까울 만큼 감정 기복이 컸던 차이콥스키에게 상실감 또는 인생무상을 상당히 안겨주었을 것이다.

존경하는 선배의 죽음을 애도하여 작곡된 만큼 그렇지 않아도 특유의 감상으로 채색되고 있는 차이콥스키의 음악은 이 곡에서 더더욱 구슬픈 정서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면서도 치밀한 구성을 취한 점에서 이 곡은 그의 실내악 작품 5곡 중 가장 뛰어나다는 평을 듣는다. 특히 피아노 파트가 웅장하고 화려한데, 이는 당대의 명 피아니스트를 추모하는 것인 만큼 당연한 귀결일 터이다. ◀니콜라이 루빈스타인(1835-1881)

실내악 작법에 여전히 익숙하지 않았기 때문인지 차이콥스키는 이 작품을 처음부터 오케스트라 곡처럼 썼고, 피아노 파트는 거의 협주곡에 가까운 모양새로 갖추어 놓았었다. 차이콥스키는 작품을 다 쓴 다음 주위 사람을 모아 한 번 연주를 시켜본 후에 많은 부분을 수정하여 출판했다. 그러니까 작품의 현재 모습은 차이콥스키가 여러 번 수정 작업을 하여 연주자의 부담을 상당히 덜어 놓은 것이다.

곡은 단 2악장으로 되어 있으나 변주곡인 2악장이 2개의 부분으로 나뉘어 있어 3악장 형식으로 생각할 수도 있다. 즉, 마지막의 변주와 코다는 그 자체만으로도 하나의 부분을 이루는 대규모여서, 악상은 이미 모두 나왔던 것이기는 하지만 실질적으로 3악장 구조로 볼 수 있다.

This was the only work Tchaikovsky ever wrote for the combination of piano, violin, and cello. In 1880, his benefactress Nadezhda von Meck, had asked for such a piece, but he refused, saying in his letter to her of 5 November 1880:

You ask why I have never written a trio. Forgive me, dear friend; I would do anything to give you pleasure, but this is beyond me ... I simply cannot endure the combination of piano with violin or cello. To my mind the timbre of these instruments will not blend ... it is torture for me to have to listen to a string trio or a sonata of any kind for piano and strings. To my mind, the piano can be effective in only three situations: alone, in context with the orchestra, or as accompaniment, i.e., the background of a picture.[1]

A year later, he composed the piano trio without being asked to do so, when any number of other genres or instrumental combinations were also available to him.

In a letter to von Meck of 27 December 1881, he again referred to his "antipathy for this combination of instruments". He wrote: ... in spite of this antipathy, I am thinking of experimenting with this sort of music, which so far I have not touched. I have already written the start of a trio. Whether I shall finish it and whether it will come out successfully I do not know, but I would like very much to bring what I have begun to a successful conclusion ... I won't hide from you the great effort of will required to set down my musical ideas in this new and unusual form. But I should like to overcome all these difficulties....[2]

He completed his rough sketches on 20 January 1882,[2] and completed the scoring by 25 January. on that day he wrote to von Meck again: The Trio is finished ... now I can say with some conviction that my work is not all bad. But I am afraid, having written all my life for orchestra, and only taken late in life to chamber music, I may have failed to adapt the instrumental combinations to my musical thoughts. In short, I fear I may have arranged music of a symphonic character as a trio, instead of writing directly for the instruments. I have tried to avoid this, but I am not sure whether I have been successful.[1]

He put the finishing touches to the Trio by 9 February (the score is annotated "Rome 28 January-9 February 1882"), and sent it to his publishers on 11 February, asking that Sergei Taneyev appear as piano soloist at the first performance.[2] Taneyev, the cellist Wilhelm Fitzenhagen and the violinist Jan Hřímalý were given access to the score, and they made a number of suggestions for improvement, which Tchaikovsky accepted.[2]

A private performance with the above-named soloists was held at the Moscow Conservatory on 23 March, the first anniversary of Nikolai Rubinstein's death, while Tchaikovsky was in Italy. He returned to Russia in April and heard the Trio for the first time, at another private performance, after which he made revisions. These included inserting a break before the Andante coda and rewriting the piano part in the Finale. Taneyev also rewrote Variation VIII, a change Tchaikovsky approved]

 

 

 

Livan, piano
Zenas Hsu, violin
Yina Tong, cello
[Trio Concorde]
Recorded February 14th, 2013Caveman Music

              

 

The piece is marked by a tragic perspective and is in two movements:

I. Pezzo elegiaco (Moderato assai – Allegro giusto) (in A minor) (approx 18:00)
II.(A) Tema con variazioni: Andante con moto (in E major) - (B) Variazione Finale e coda
(in A major - A minor) (approx 29:00)

Total timing: approx 47:00.

 

1. 페초 엘레지아코

1악장은 소나타 형식의 비교적 스케일이 큰 악곡이지만, 슬픔으로 가득한 일종의 엘레지이다. 고요하게 흐르는 피아노의 분산화음을 타고 첼로가 풍부한 표정으로 1주제를 연주하면서 시작되는데, 피아노와 첼로 사이에 기다란 대화는 시종 부드럽고 슬프고, 그 분위기는 점점 더 깊은 슬픔의 감정으로 고조되어 간다.

2. 테마 콘 바리아지오니 - 바리아지오네, 피날레 에 코다

2악장은 두 개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1부는 ‘주제와 11개의 변주’로, 2부는 ‘변주, 피날레와 코다’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피아노가 폭넓고 유려한 20마디의 주제를 제시하며 시작한다. 이 주제는 루빈스타인을 포함한 모스크바 음악원 교수들과 함께 교외에서 농부들의 춤과 노래를 들었을 때의 추억에서 얻어낸 것이라고 하는데, 그 행복감은 거품처럼 끓어오르는 제3변주 스케르초의 앞부분까지 이어진다. 제6변주는 작곡가의 오페라 <예브게니 오네긴>에 대한 회상을 담고 있으며, 제10변주는 마주르카 형식으로 된 매혹적인 곡이다.

2부의 ‘변주, 피날레와 코다’는 상당한 활력을 갖고 시작된다. 1악장의 1주제와 2주제를 연결하는 경과부의 악상 편린으로 격정적인 분위기를 이끌어 가는데, 원래는 좀처럼 가라앉지 않는 감정의 여운만큼이나 상당히 길었다. 너무 장황하다는 느낌이 들어서인지 차이콥스키는 초연 후 앞부분 100여 마디를 삭제하고 뒷부분만 남긴 현재의 모습으로 만들었다. 하지만 ‘비창 교향곡’에서처럼 피날레의 감정은 슬픔의 심연으로까지 이끌려간다. 상실감으로 괴로워하는 모습을 담았고, 결국은 떠나버린 사람에 대한 슬픔과 체념의 심정을 담아 장송 행진곡으로 조용히 맺는다.

The pezzo is a darkly brooding and rather conventional romantic first movement with a beautiful opening cello solo with a theme that returns for a final funeral march. The second movement is rather more unusual: it opens with an almost classical melody, much like Tchaikovsky's Variations on a Rococo Theme for cello, and then proceeds with an assured set of variations, also like the Rococo Variations. After working itself into more and more ecstatic heights culminating with the final variation, it suddenly goes through a surprising modulation to the original minor key, and the theme from the first movement returns with an even greater gravity, and the entire piece concludes with yet another death march.

The work, and the second movement in particular, is arguably the most difficult piece Tchaikovsky wrote for piano, whether solo, with orchestra, or in a chamber group. It remains popular, in spite of its length (it plays for more than 45 minutes), for its breathtaking lyricism and the cosmic finality of its final stat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