黔丹寺雪景(검단사설경)
-鄭磏(정염)
山徑無人鳥不回(산경무인조불회) : 인적 없는 산길엔 새도 날아들지 않고
孤村暗淡冷雲堆(고촌암담냉운퇴) : 마을은 음산하고 찬 구름만 모여드네
院僧踏破琉璃界(원승답파유리계) : 스님은 얼음을 조심스레 걸어가
江上敲氷汲水來(강상고빙급수래) : 강 위의 얼음 깨어고 물 길러 돌아오네
[서예 습작]
鄭磏(정염)
1524(중종 19)∼1609(광해군 1).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본관은 창원(昌原). 자는 군회(君晦), 호는 만헌(晩軒). 아버지는 종석(終碩)이며, 어머니는 영광주씨(靈光周氏)로 만귀(萬貴)의 딸이다. 7세에 여숙(閭塾)에 입학하여 학문을 닦다가 23세 때 정황(丁熿)의 문하에 들어가 수학하였다.
1549년(명종 4) 진사시에 합격하고, 그해 정황의 배소인 거제도로 찾아가 학문을 강마하였다. 1560년 별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교서관에 들어갔고, 1567년 사헌부감찰에 임명되었으며, 형조좌랑을 거쳐 1569년(선조 2) 능성현령이 되었다.
그 뒤 춘추관기주관·예조정랑 등을 역임하고, 1580년 영광군수가 되었다. 그때 임씨(林氏)와 나씨(羅氏) 사이에 소송사건이 있었는데, 명석한 재판을 진행하여 왕으로부터 칭찬을 받았다. 1582년 성균관직강이 되었다가 안성군수를 역임한 뒤 1584년 광주목사(光州牧使), 1588년 고부군수를 지냈다.
그 뒤 정여립(鄭汝立)의 모반사건을 평난한 공로로 1590년 통정대부(通政大夫)의 가자(加資)를 받고 원종공신(原從功臣) 1등에 녹선되었다. 만년에는 후진교육에 힘썼고, 1603년 80세로 가선대부(嘉善大夫)에 승자(陞資)되었다. 저서로는 『만헌집』 4권 2책이 있다.
참고문헌
- 『만헌집(晩軒集)』
- 『명종실록(明宗實錄)』
- 『선조실록(宣祖實錄)』
출처
'♣ 한시(漢詩) 마당 ♣ > - 우리 漢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訪曹處士山居(방조처사산거) - 박순(朴淳) (0) | 2016.12.02 |
---|---|
대곡주좌(大谷晝坐)-성운(成運) (0) | 2016.12.01 |
등경포대(登鏡浦臺) - 박수량(朴遂良) (0) | 2016.11.30 |
舟下陽花渡(주하양화도) - 신용개(申用漑) (0) | 2016.11.29 |
제강석[題江石]-홍유손(洪裕孫) (0) | 2016.1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