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술(美術) 마당 ♣/[ 실기,이론 방] 22

[스크랩] 공필화(工筆畵)로 본 아름다운 여인의 이미지

공필화(工筆畵)로 본 아름다운 여인의 이미지 공필화(工筆畵)는 남종화(수묵화)와 대비되는 개념으로 북종화 계열에 속하는 그림입니다. 북종화는 직업 화가들에 의하여 외면적 형사에 치중하여 그린 기교적입니다. 그리고 장식적인 그림을 지칭하여 분류한 말이기도 합니다. 다시 말하..

[스크랩] 수묵으로 읽는 한국의 국화(菊花) 이야기

수묵으로 읽는 한국의 국화(菊花) 이야기 산수화에 못지 않게 중요한 것은 사군자 그림이다. 그것은 산수화를 그리는 화가들이 사군자를 그리며 그것은 산수화와 사군자가 不可分의 관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산수화와 마찬가지로 왜 이 네 가지의 식물을 불변의 소재(不變..

[스크랩] 동양화와 서양화의 차이는 어떤 것일까요?

동양화와 서양화의 차이는 어떤 것일까요? 이 질문에 대한 여러가지 대답이 있겠지만, 저는 동양화와 서양화의 차이의 핵심은 아마도 "빛"이 아닐까 합니다. 서양화의 역사는 처음 수 백년은 "구도(공간)"를, 다음 몇 백년간은 "빛(색채)"을 쫓아다닌 역사에 다름 아니지만. 동양화는 원래 ..

[스크랩] 일본과 한국의 미인도 비교(누드화 포함)

일본과 한국의 미인도 비교(누드화 포함) 일본의 화장방(1873) 지라르 Marie Francois Firmin Girard(1838~1921) 작 캔버스에 유채, 개인 소장 이 그림은 일단 재미있는 게 사실입니다. 유럽인이 19세기의 아카데믹한 화법으로 그려낸 일본 게이샤들이라니! 정교하게 묘사된 의상이며 가구며 소품이며 ..

[스크랩] 감상을 통해 알아보는 색의 효과(펌)

회화에서 색채는 시각적 특성과 심리적 효과를 통해 화가가 표현하고자 하는 이미지의 핵심적 요소로 사용됩니다. 화가는 자신의 예술적 욕구에 의해 색을 선택하고 그 창의적 변화 또한 끝없이 전개되지만 그 결과는 체계적인 분석과 설명이 가능한 색채 시스템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